6월말 '서울 회담'…김정은에 보내는 文·트럼프 메시지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19.05.16 15:09
글자크기

[the300] 정상회담 한달반 앞두고 이례적 동시 발표..."남북정상 먼저 만나자" 신호

【워싱턴(미국)=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19.04.13. pak7130@newsis.com【워싱턴(미국)=뉴시스】박진희 기자 = 문재인 대통령이 11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워싱턴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한미 정상회담을 하고 있다. 2019.04.13. [email protected]


한미가 16일 6월 말 '서울 정상회담'을 동시에 발표한 것은 그 자체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보내는 '대화 메시지'로 읽힌다.

청와대와 백악관은 정상회담을 한 달 반 가량 앞둔 이날 오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6월 하순 방한 계획을 동시에 발표했다. 구체적인 일정을 확정하지 않은 상황에서 정상회담 사실을 공개한 것이다.



트럼프 대통령의 방한은 다음달 28~29일 일본 오사카 G20(주요20개국) 정상회의(다음달 28~29일) 참석 후 귀국길에 서울을 찾는 일정이 될 가능성이 커 보인다.

한미 정상회담은 지난 4월11일(현지시간) 워싱턴 회담 이후 두 달 남짓 만에 열리는 것이다. 두 정상은 워싱턴에서 만나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한 한미 공조를 재확인하고 남·북·미 정상의 '톱다운' 대화 방식으로 협상 동력을 살려 나가기로 합의했다.



아울러 4차 남북정상회담을 통해 트럼프 대통령의 대화 의지를 김 위원장에게 전달하고 3차 북미정상회담을 추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 트럼프 대통령이 김 위원장에게 보내는 '비공개 메시지'를 문 대통령에게 전달한 사실이 회담 직후 공개되기도 했다.

하지만 김 위원장은 연말을 시한으로 미국에 '새 계산법'을 요구하며 협상 테이블로 복귀하지 않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의 양보 없이는 대화에 응하지 않겠다는 것이다. 트럼프 행정부가 국제사회의 공조를 통한 최대한의 제재 압박에 나서자 지난 4일과 9일에는 각각 단거리 발사체와 탄도미사일 추정 단거리 미사일을 발사해 무력시위 수위를 되레 높였다.

이런 상황에서 한미 양국이 정상회담을 이례적으로 조기에 발표한 것은 '하노이 노딜' 이후 악화일로인 한반도 정세를 타개하려는 다목적 대북 메시지로 읽힌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한미정상회담 개최 사실을 조기에 발표한 데 대해 "더 늦게 발표했어도 됐겠지만 양국 협의 하에 확정돼 굳이 미룰 이유가 없었다"고 설명했다.


특별히 의미를 둘 사안은 아니라는 얘기다. 하지만 북한의 추가 무력시위에 나설 수 있는 만큼 두 정상의 변함없는 대화 의지를 다시 한번 김 위원장에게 전달해 협상의 문을 열겠다는 목적이 있어 보인다.

북미 비핵화 협상이 재개되려면 무엇보다 남북 정상이 만나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과 메시지를 김 위원장에게 전달해야 한다. 정상회담까지 남은 한 달 이상의 시간에 남북 정상이 마주앉자는 신호로도 해석할 수 있다. 우리 정부도 본격적으로 남북정상회담 성사를 위한 대북 접촉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앞서 취임 2주년을 앞두고 지난 9일 KBS와 대담하면서 "하노이 회담 이후 (김 위원장이) 나름의 입장을 정리할 시간이 있었을 것"이라며 "이제는 지속적으로 회담을 제안하고 대화로 이끌어내겠다"고 말했다. 청와대와 정부가 최근 대북 식량지원을 공식화하고 조속한 전달을 위해 여론 수렴에 나선 것도 같은 맥락으로 풀이된다.

굳건한 한미 공조와 동맹을 강조해 추가 군사 도발 등 북한의 오판을 막고 '레드라인'(금지선)을 지키겠다는 의도도 있어 보인다. 청와대 관계자는 "(문 대통령 취임 이후) 2년 동안 7번의 (정상간) 만남이 있었다"며 "그 어느 때보다 한미공조가 탄탄하게 유지되고 있다"고 했다.

이번 한미 정상회담의 핵심 의제는 역시 비핵화 해법이다. 한미 정상은 북한의 완전한 비핵화를 위해선 로드맵(일정표)이 필요하다는 데 뜻을 같이 한다. 영변 핵시설 폐기를 시작으로 단계적 비핵화 접근법을 고수하고 있는 김 위원장을 설득하는 해법을 마련하는 것이 핵심 관건이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