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억불 들여 22억불 '대박', '산유국' 꿈 이룬 동해가스전

머니투데이 세종=유영호 기자 2019.02.05 06:00
글자크기

해외메이저 포기한 광구 독자적 탐사·시추 성공 '새역사'… "산유국 명맥 잇자" 대륙붕 탐사·시추 추진

울산 남동쪽 58㎞ 해상에 위치한 동해-1 가스전 해상 플랫폼. 플랫폼 상단에 설치된 플레어스택에서 내뿜는 불꽃이 현재 가스전이 가동 중임을 나타내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울산 남동쪽 58㎞ 해상에 위치한 동해-1 가스전 해상 플랫폼. 플랫폼 상단에 설치된 플레어스택에서 내뿜는 불꽃이 현재 가스전이 가동 중임을 나타내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울산 남동쪽 58㎞ 해상. 검푸른 동해 바다 한복판에 거대한 철제 구조물이 자리 잡고 있다. 한국 최초이자 유일한 생산광구인 ‘동해 가스전’ 해상 플랫폼이다. 한국은 동해 가스전 개발에 성공하면서 세계에서 95번째로 산유국 대열에 이름을 올렸다.

동해 가스전의 역사는 곧 한국 자원개발의 역사다. 1970년대부터 미국과 일본, 프랑스의 석유 메이저기업이 수차례 시추 작업을 진행했지만 석유·가스전 발견에 실패하고 철수한 것을 석유공사가 독자적으로 탐사·시추·개발에 성공했기 때문이다.



한국석유공사는 1998년 7월 가스층을 발견한 이후 경제성 평가, 생산정 시추, 생산시설 건설 등의 과정을 거쳐 2004년 7월 11일 최초로 천연가스 생산을 개시했다. 1970년 처음 국내 대륙붕 탐사에 나선 지 34년 만에 이룩한 쾌거였다.

동해 가스전에서 하루에 생산되는 천연가스는 5000만 입방피트(1100톤), 초경질유는 1000배럴 규모다. 천연가스는 34만 가구, 초경질유는 승용차 2만 대가 하루에 사용할 수 있는 양이다.



2억불 들여 22억불 '대박', '산유국' 꿈 이룬 동해가스전
최초에 개발했던 동해-1 가스전은 지난해 말 생산이 종료됐다. 현재는 동해-1 가스전 플랫폼을 남쪽 5.4㎞ 지점(고래 Ⅷ 구조)에서 2016년 10월 상업개발에 상공한 동해-2 가스전과 연결해 천연가스와 초경질유 등을 생산하고 있다.

동해-2 가스전에서 채굴한 가스와 원유는 해저배관으로 동해-1 가스전 플랫폼으로 보내져 1차 처리 과정을 거친 후 다시 해저배관을 통해 울산 울주군 온산읍 육상 생산시설로 옮겨줘 2차 처리 과정을 거쳐 울산 일대의 공급된다.

동해-1, 동해-2 가스전 개발에 투자한 비용은 약 2억달러 수준. 지난해 말 기준 누적 매출액은 21억2200만달러로 투자비의 10배가 넘는다. 최문규 석유공사 홍보팀장은 “해외 메이저기업이 포기했지만 산유국의 열망을 담아 결국 독자개발에 성공한 동해 가스전은 한국 자원개발사(史) 기념비와 같다”며 “우리나라는 에너지 해외의존도가 96%인데 동해 가스전 생산량 모두 수입대체 효과로 이어진다”고 설명했다.


단순히 ‘돈’으로 환산할 수 없는 무형적 가치도 크다. 석유공사는 지금도 동해 가스전 건설·유지·보수 과정에서 독자적 노하우를 축적하며 해외 메이저들과 경쟁하고 있다.

울산 남동쪽 58㎞ 해상에 위치한 동해-1 가스전 해상 플랫폼. 플랫폼 상단에 설치된 플레어스택에서 내뿜는 불꽃이 현재 가스전이 가동 중임을 나타내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울산 남동쪽 58㎞ 해상에 위치한 동해-1 가스전 해상 플랫폼. 플랫폼 상단에 설치된 플레어스택에서 내뿜는 불꽃이 현재 가스전이 가동 중임을 나타내고 있다./사진=한국석유공사 제공
하지만 동해 가스전의 생산은 2021년 6월 종료된다. 동해 가스전이 문을 닫으면 한국도 ‘산유국’ 명패를 반납해야 한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석유공사는 산유국의 명맥을 이어나가기 위해 추가 대륙붕 개발을 추진 중이다.

먼저 동해-1 가스전에 인접한 동해-2 가스전을 개발한 것과 같이 동해-2 가스전을 중심으로 인접 구조에 원유·가스층을 수평정 형태로 탐사한다. 물리탐사가 끝난 6-1 동부 광구는 시추에 나설 계획이다. 이 지역은 석유공사와 호주 우드사이드사가 2007년부터 2016년까지 정밀탐사를 실시한 결과 경제성 있는 석유·가스의 부존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석유·가스 부존 가능성이 큰 것으로 분석된 8광구의 경우 물리탐사를 진행한다.

양수영 석유공사 사장은 “동해 가스전 생산 종료 이후에도 산유국 지위를 유지하기 위해 대륙붕 신규 탐사권을 출원 중”이라며 “리스크를 줄이기 위해 국내외 에너지기업의 지분 참여를 유도해 공동으로 진핼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