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차부터 火車까지'…2018년 달군 車 5대 뉴스

머니투데이 김남이 기자 2018.12.29 10:30
글자크기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현대차 지배구조 개편 철회 등 자동차업계 '다사다난'

2018년 자동차 업계는 다사다난(多事多難)했다. 말 그대로 여러가지 일도 많고, 어려움도 많았다. 연초 수소전기차 ‘넥쏘’ 출시 등 반가운 소식도 있었으나 한국GM 군산공장 폐쇄, BMW 화재 발생 등 궂긴 소식이 많았다.

‘반값 연봉’으로 자동차 업계에 혁신을 불러올 것으로 기대됐던 ‘광주형 일자리’는 아직 진행 중이다. 한 해를 돌아보며 ‘2018년 자동차 업계의 5대 뉴스’를 꼽아봤다.



'수소차부터 火車까지'…2018년 달군 車 5대 뉴스



◇현대차, 수소전기차 '넥쏘' 출시...‘수소사회’ 진입의 기폭제

현대차는 올 1월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린 ‘2018 CES’에서 수소전기차 ‘넥쏘’의 차명과 상세제원을 공개하며 한해를 시작했다. 1회 충전으로 609km를 주행할 수 있는 기술력으로 세계를 사로 잡았다. 현대차는 3월부터 국내시장에 본격 판매를 시작했다.



‘넥쏘’는 궁극의 친환경차라는 것 외에도 국내 ‘수소경제’의 불씨를 당겼다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0월 프랑스 파리에서 직접 ‘넥쏘’를 시승하며 세계에 우리나라 연료전지 기술을 알렸다.

정의선 현대차그룹 수석부회장은 12월 충주에서 열린 현대모비스 연료전지시스템 생산 신공장 착공식에서 2030년 수소전기차를 50만대 생산하겠다는 ‘FCEV 비전 2030’을 발표했다. 정 수석부회장은 “수소경제의 ‘퍼스트 무버’로서 역할을 하겠다”고 공언했다. 정부도 이에 맞춰 2022년까지 수소전기차 보급대수 목표를 1만5000대에서 6만5000대로 4.3배나 늘렸다.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공식 폐쇄한 지난 5월 31일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 정문이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사진=뉴스1 한국지엠 군산공장이 공식 폐쇄한 지난 5월 31일 전북 군산시 한국지엠 군산공장 정문이 적막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사진=뉴스1

◇한국GM 철수설이 결국 군산공장 폐쇄로...산업은행 8090억원 투입


몇 년간 이어졌던 한국GM 철수설이 올해 터졌다. GM은 올 2월 가동률이 20%를 밑돈 한국GM 군산공장을 폐쇄(5월)하겠다고 전격 발표했다. 이와 함께 경영상의 어려움을 이유로 한국 정부에 지원을 요청했다.

GM과 2대주주인 KDB산업은행은 추가 지원 방안을 두고 끊임없이 줄다리기 했고, GM이 향후 10년 이상 한국법인을 유지한다는 조건으로 산은이 7억5000만달러(8090억원)를 투자하기로 합의했다. 대신 GM은 한국GM에서 받아야 할 대출금 27억달러를 출자전환하고, 신규자금 36억달러를 투입하기로 했다.

하반기에는 법인분리 문제가 한국GM의 발목을 잡았다. GM이 한국법인을 생산·정비·판매법인(기존)과 R&D법인(신설)으로 분리하기로 하면서 노조 및 산은과 마찰을 빚었다. 소송으로까지 번진 법인분리 문제는 산은이 12월 분리 찬성으로 돌아서면서 일단락됐다. 하지만 노조는 현재까지 법인 분리에 반대하고 있다.

11일 현대모비스 충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공장을 방문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첫번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 세번째) 등이 공정 내 청정도 유지를 위해 방진복을 착용한 채 수소연료전지 및 관련 부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뉴스111일 현대모비스 충주 수소 연료전지시스템 공장을 방문한 성윤모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왼쪽 첫번째), 정의선 현대자동차그룹 수석부회장(왼쪽 세번째) 등이 공정 내 청정도 유지를 위해 방진복을 착용한 채 수소연료전지 및 관련 부품에 대한 설명을 듣고 있다./사진=뉴스1

◇현대차그룹, 지배구조 개편 철회...경영 정의선 수석부회장 체제로

현대차그룹은 3월 현대모비스 분할해 최상위 지배회사로 두는 방식의 지배구조 개편안을 발표했다. 현대모비스→현대차→기아차→현대모비스로 이어지는 순환출자를 해소하고, 지배구조를 단순화하겠다는 내용이었다. 공정거래위원회도 현대차그룹의 지배구조 개선안을 환영했다.

하지만 미국 헤지펀드인 엘리엇이 딴죽을 걸었다. 지배회사가 아닌 지주회사 체제로 전환할 것을 요구했고, 현대모비스의 분할 비율에도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글로벌 의결권 자문사도 연이어 개편안에 반대하면서 현대차그룹은 5월 지배구조 개편안을 철회했다.

하지만 경영의 중심에 정의선 부회장을 두는 작업은 계속됐다. 지난 9월 정의선 부회장은 그룹 전반을 아우르는 총괄 수석부회장 자리에 올랐고, 12월 임원 인사를 통해 경영체계를 공고히 했다. 그간 현대차를 이끌었던 부회장이 대부분 물러나거나 계열사로 자리를 옮겼고, 새로운 인물들이 중심에 배치됐다. 명실상부 ‘정의선의 시대’가 열렸다는 평가다.

김경욱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BMW 차량 화재사고 원인 규명 민관합동조사단(단장 박심수, 류도정)이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화재결함 원인조사 최종 결과 발표에 앞서 사고 차량의 구멍난 EGR 쿨러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김경욱 국토교통부 교통물류실장, BMW 차량 화재사고 원인 규명 민관합동조사단(단장 박심수, 류도정)이 24일 오전 정부서울청사 별관에서 화재결함 원인조사 최종 결과 발표에 앞서 사고 차량의 구멍난 EGR 쿨러를 들어보이고 있다./사진=김휘선 기자
◇한 여름 뜨거웠던 BMW ‘火車 게이트’...과징금에 검찰 고발까지


독일 BMW는 올해 화재 이슈로 뜨거웠다. 올 여름(7~8월) 하루걸러 한 번꼴로 화재가 발생하면서 전 국민적인 문제로 떠올랐다. ‘BMW 포비아’ 현상이 나타나면서 일부 주차장에서는 BMW 차량의 출입을 금지했고, 급기야 국토교통부는 안전진단을 받지 않은 차량에 대해 운행정지 명령까지 내렸다. 특정 차량을 운행 정지 시킨 첫 사례였다.

국토부와 민관합동조사단에 따르면 화재의 원인은 EGR(배기가스재순환장치) 결함이었다. EGR 내 냉각수 누수가 화재로 이어졌다. BMW는 두 번에 걸쳐 총 17만2080대를 리콜하는 결정을 내렸다. 국내에 등록된 BMW 차량 중 40% 이상이 리콜대상이 됐다.

문제는 BMW의 결함 은폐·축소와 늑장리콜로 이어졌다. BMW가 결함 사실을 미리 알고 있었음에도 이를 숨겼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국토부는 12월 의혹이 사실인 것으로 결론을 내렸다. 국토부는 112억원의 과징금을 BMW에 부과함과 동시에 검찰에 고발했다. BMW는 "의혹을 해소하기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밝혔다.

 이용섭 광주시장이 9일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형 일자리 협상팀 구성과 기능을 보완해 직접 협상에 나서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뉴스1 이용섭 광주시장이 9일 광주시청 브리핑룸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열어 "광주형 일자리 협상팀 구성과 기능을 보완해 직접 협상에 나서 반드시 성공시키겠다"며 굳은 표정을 짓고 있다./사진=뉴스1

◇‘반값 연봉’ 광주형 일자리, 결국 원점으로...새해에는 풀릴까

2014년부터 논의가 진행된 ‘광주형 일자리’가 6월 현실화되는 듯했다. 현대차가 '완성차 공장 설립 투자 의향서'를 제출한 것이다. 국내에 완성차 공장이 설립된 것은 1998년 가동된 르노삼성 부산공장이 마지막이다.

광주형 일자리는 자동차 업계의 절반 수준인 임금으로 생산 경쟁력을 높이는 것이 핵심이다. 대신 광주시가 함께 복지와 교육, 주거 등 편의시설을 지원하는 방식이다. 문재인 대통령의 주요 공약으로도 명시된 내용이다. 하지만 결국 ‘반값 임금’이 발목을 잡았다.

특히 향후 5년간 임금을 동결한다(35만대 생산 시까지)는 내용에 노동계 반발하며 광주시와 현대차 간의 투자협상이 어그러졌다. 현대차 노조가 부분 파업까지 강행하며 반대한 것도 부담이다. 광주시는 이용섭 광주시장이 직접 나서 새해 협상을 다시 시작할 계획이다. 이용섭 시장은 "내년 완성차 공장 투자유치를 반드시 성공시겠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