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터질게 터졌다" 용인·김포 등 다시 '미분양 무덤' 우려

머니투데이 신현우 기자 2015.12.29 14:09
글자크기

12월, 수도권서 브랜드 내건 대형사도 청약미달… "미분양 더욱 증가할 듯"

"터질게 터졌다" 용인·김포 등 다시 '미분양 무덤' 우려


과거 미분양 무덤으로 불렸던 경기 용인·파주·김포 등이 올해 분양시장 호황으로 분위기가 일시적으로 개선됐으나 과잉공급 등의 영향으로 다시 미분양의 늪에 빠지고 있다.

전문가들은 공급과잉 등으로 집값 상승 기대치가 적은 곳의 미분양이 크게 늘었다는 지적과 함께 앞으로 이들 지역의 집값 하락을 우려하고 있다. 특히 미분양 증가의 영향으로 수요자들은 청약 등에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는 실정이다.



29일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11월 경기도 미분양 가구수는 2만1809가구로 전달(1만2510가구)보다 74.3% 증가했다.

같은 기간 미분양 증가는 지역별로 △용인시 4236가구(3920가구→8156가구) △김포시 986가구(2008가구→2994가구) △파주시 971가구(574가구→1545가구) △남양주시 912가구(88가구→1000가구) 등으로 나타났다.



공급과잉 탓 '용인' 등 미분양 무덤 다시 전락…"올 3분기보다 4분기 집값 상승 둔화"
미분양 증가가 크게 늘어난 경기도의 올 1월부터 11월까지 공동주택 분양실적은 19만1890가구로 지난해 같은 기간(7만9779가구) 140.5% 늘었다.

특히 같은 기간 △용인시 3134가구→2만7744가구 △김포시 6331가구→1만1가구 △파주시 1006가구→9051가구 △남양주시 2702가구→8463가구 등으로 증가했다.

실제 이 지역 아파트 매매가 상승은 둔화되고 있다. KB국민은행에 따르면 경기 용인시 m²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은 올 3분기 2.0% 상승했으나 4분기 1.0% 상승하는데 그쳤다.


같은 기간 △김포시 3.2%→1.2% △남양주시 2.6%→1.7% 등으로 m²당 아파트 평균 매매가 상승률이 낮아졌다.

김규정 NH투자증권 부동산연구위원은 "전체적으로 공급이 대폭 늘어 미분양 증가는 피할 수 없는 상황이었다"며 "김포·용인 등이 과거 대표적인 미분양 지역이었는데 미분양이 다시 급격히 늘어 당분간 (미분양) 위험지역으로 다시 꼽힐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어 "미분양 지표가 부동산 경기에 실질적인 영향을 주는 지료로 작용했던 만큼 엄청난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며 "집값 하락 위험 등의 위험 등이 존재할 수 있는 만큼 청약자들의 주의가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12월, 수도권서 대형사도 청약미달…"청약 미달단지 속속등장, 미분양 더욱 증가할 듯"
건설업체들이 12월까지 분양에 적극 나서고 있는 상황에서 수도권 청약미달 단지가 속속 등장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미분양 물량이 수도권 외에도 전국적으로 더 늘어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금융결제원에 따르면 12월 민영주택 청약을 접수 중이거나 마감한 89개 단지 중 23곳에서 평균 청약경쟁률이 1 미만을 기록했다. 12월 분양 단지 중 26% 가량이 '청약미달'을 기록한 것.

이중 서울을 포함한 수도권 미분양 단지는 8곳인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브랜드 파워를 내세워 수도권 분양에 적극 나섰던 대형 건설업체마저 고전하고 있는 상황이다.

수도권 청약 미달 단지는 △동탄2 A100 신안인스빌 리베라4차 0.52대 1 △동탄2 A99 신안인스빌 리베라3차 0.53대 1 △브라운스톤 당산(서울) 0.66대 1 △안성 푸르지오 0.02대 1 △원곡제일오투그란데(안성) 0.001대 1 △인천 논현동 이안 라온파미에하우스 0.09대 1 △파주 힐스테이트 운정 0.17대 1 △포천2차 아이파크 0.65대1 등으로 나타났다.

함영진 부동산114 리서치센터장은 "내년에도 경기도 등의 지역에서 공급이 계속될 수 있다는 점에서 당분간 미분양 현상은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수요 위축이 발생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특히 현재 미분양 물량이 준공 후 미분양인 '악성 미분양'으로 전락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노희순 주택산업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미분양 숫자 증가가 수요자들에게 심리적 압박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는 만큼 정부가 공급량을 조절해야 한다"며 "현재 준공 전 미분양이 앞으로 준공 후 미분양으로 넘어갈 가능성있다는 점에서 우려가 크다"고 강조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