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yond Line'='메신저 넘어 플랫폼 거듭나기'

머니투데이 최광 기자 2014.03.21 05:00
글자크기

가입자 확보·비즈니스 고도화·현지화 모두 노린 라인 신규서비스 3종으로 대변신 시도

편집자주 네이버 모바일 메신저 라인의 전 세계 가입자가 3억7000만명을 돌파했다. 네이버 주가는 고공행진을 하며 기업가치를 30조원까지 끌어올렸다. 라인은 일본을 거점으로 동남아와 중남미로 세력을 확장하고 있다. 사업모델도 스티커(이모티콘), 게임에서 연관 앱으로 외연을 넓히고 있다. 최근 일본에서는 'Beyond Line'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차세대 라인을 이끌 3가지 사업모델을 발표했다. 한국 시장의 한계를 넘지 못하고 번번이 글로벌 무대에서 쓴잔을 마셨던 한국 인터넷 기업에게 라인은 부러움의 대상이자 벤치마킹 해야 할 모델이 됐다. 하지만 라인이 처한 상황은 결코 녹록치 않다. 페이스북에 190억 달러에 인수된 왓츠앱과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한 중국 텐센트 위챗의 협공 속에서 변신을 시도해야 하기 때문. 네이버를 재조명하게 한 라인의 성공 포인트는 어디에 있을까. 한국의 핵심 기술진과 네이버의 일본법인이 합작해 성공가도를 달리게 한 라인의 성공 비결을 살펴본다. 게임사업 분사(NHN엔터테인먼트) 후 제 2창업기를 맞은 네이버의 글로벌 성공은 한국 인터넷 산업이 새로운 전환점을 맞는 계기가 됐다는 점에서도 주목할 일이다.

가입자 3억7000만명을 확보한 라인은 1등 모바일 메신저로 가기 위해 대변신을 시도하고 있다.

서로 다른 통신사 가입자끼리도 통화나 메시지 전달이 가능한 이동통신과 달리 모바일 메신저는 서비스 간 연동이 되지 않기 때문에 1등 메신저가 아니면 살아남기 어렵기 때문이다.

라인은 1등을 차지하기 위해 이용자를 확대해야 하고, 1위를 차지한 지역에서는 서비스의 활용도를 확장시켜 경쟁 서비스와 차별화를 이뤄야 하는 두 가지 숙제를 안고 있다.



라인이 지난 2월 신규서비스 3종을 발표하는 쇼케이스를 열면서 '라인 뛰어넘어(Beyond Line)'이라는 슬로건을 내건 이유도 지금까지 성공한 라인 이후를 준비하겠다는 라인의 각오를 보여준다.

라인 쇼케이스에서 밝힌 서비스는 라인 콜, 라인 비즈니스 커넥트, 라인 크리에이터스 마켓은 이용자 확보와 현지화, 그리고 서비스 고도화를 의도를 담고 있다. 라인의 두 가지 숙제를 해결하겠다는 의지가 담겨있는 것이다.
라인콜라인콜


라인 쇼케이스에서 공개한 3가지 신규선비스 중 가장 먼저 선을 보인 것은 라인 콜이다. 라인에서 일반전화를 걸 수 있다는 점은 스카이프와 같다. 요금이 일반 휴대전화보다 저렴한 것도 다른 모바일 인터넷 전화와 비교해 큰 차이가 없다.



하지만 자신이 라인에 가입할 때 쓴 전화번호를 그대로 발신번호로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은 라인 콜의 가장 큰 경쟁력이다. 스카이프에서도 발신번호를 설정할 수 있지만, 별도의 변경신청과 인증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라인 콜은 해외 시장, 특히 동남아시아나 남미와 같은 휴대전화 사용에 경제적 부담을 갖는 국가를 겨냥한 서비스로 해석된다. 요금이 일반 전화보다 절반 이상 저렴하고, 라인 가입자끼리 통화할 때는 무료이기 때문에 이용자 확보를 위한 카드라 할 수 있다.
라인 비즈니스 커넥트 구성도라인 비즈니스 커넥트 구성도
라인 비즈니스 커넥트는 일본과 미주, 유럽 등 ICT 인프라가 발전한 국가를 겨냥한 서비스다. 일방향 메시지 전달에 머물렀던 공식계정의 한계를 극복하고 기업과 고객이 직접 소통할 수 있는 창구를 만든다는 것이다.

더 나이가 API를 개방해 기업의 서비스와 라인 계정이 연동돼 새로운 서비스 구현이 가능해진다.


예를 들어 피자를 주문하고 싶으면 공식계정으로 라인에서 구매한 피자 스티커를 보내기만 해도 회원 DB와 라인 계정을 연동해 배달이 이뤄지고, 자신의 위치를 설명하지 않아도 라인의 위치정보만으로 택시를 부르는 것이 가능해진다.

'Beyond Line'='메신저 넘어 플랫폼 거듭나기'
스티커 오픈마켓이라 할 수 있는 라인 크리에이터스 마켓은 현지화를 염두에 둔 사업모델이다. 지금까지 스티커는 라인이 직접 제작하거나, 제휴사가 만든 것을 유료 또는 무료로 제공하는 모델이 전부였다. 이를 개방해 스티커 제작자를 늘려 보다 창의적인 상품을 만들기 위해 도입됐다. 특히 해외 제작자가 스티커 제작에 참여하면 라인은 큰 비용을 들이지 않고도 현지화를 진행할 수 있게 된다.

모리카와 아키라 라인 대표는 "3가지 서비스는 모두 메신저인 라인을 플랫폼으로 확장시키기 위한 사업모델"이라며 "라인은 지금까지 성과에 만족하지 않고 스마트폰 시대에 포털이 될 수 있도록 사업모델을 확장시켜 갈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