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형마트, 창사 이래 첫 마이너스 성장 왜?

머니투데이 엄성원 기자, 장시복 기자 2014.02.23 09:00
글자크기

[박근혜 정부 1년]백화점·마트 규제에 '흔들'…식품은 도미노 가격인상

"전통시장과 대형마트, 백화점 매출이 모두 떨어졌는데 박근혜 정부의 내수 활성화를 과연 믿어야 할 지 모르겠습니다."

박근혜 정부 취임 1년동안 최악의 직격탄을 맞은 곳이 바로 유통업계다. 규제에 포위 당해 대형마트는 창사 이래 처음으로 마이너스 성장의 위기를 겪어야 했다.

그러나 유통업계 매출은 뒷걸음질 치고 있지만 정작 전통시장 매출이 되살아났다는 목소리는 들을 수 없다. "누구를 위한 규제인가"라는 반문을 낳는 대목이다. 유통업계의 신규 고용은 크게 주저앉아 규제 실효성마저 의심하게 하고 있다.



◇매출은 마이너스…투자·고용은 후퇴=유통업계 한 관계자는 "대형마트 1개를 출점한다면 각종 보고서와 평가서를 줄줄이 작성해야 하며 전통시장이나 인근 상인 눈치를 보고 상생협약까지 맺어야 한다"며 "대형마트가 이처럼 공공의 적 취급을 당한 적은 전무하다"고 밝혔다. 정부 규제 탓에 매장을 다 지어놓고도 문을 열지 못하는 웃지 못할 상황까지 나왔다.

이런 규제는 후폭풍도 만만치 않다. 현 정부 첫 해인 2013년 대형마트 3사 매출은 전년대비 1~4% 감소했다. 이마트와 홈플러스, 롯데마트가 동시에 매출 감소를 보인 것은 1990년대 초 대형마트가 한국에 등장한 이래 처음이다. 롯데·신세계·현대 등 백화점 3사도 매출 신장률이 2~3%대에 그쳤다. 물가상승률을 감안하면 사실상 역신장이다.



유통업계 신규 고용은 수년째 제자리다. 홈플러스와 롯데마트는 지난해 정규직 신입사원 공채로 각각 200명과 50명을 뽑았다. 창사 이래 가장 적은 규모다. 백화점 3사도 올해 신규 채용을 지난해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만 할 생각이다.

그러나 유통업계를 이렇게 흔들어도 정작 골목상권이나 전통시장이 살아나고 있다는 목소리는 들리지 않는다. 시장경영진흥원에 따르면 전통시장 매출은 2011년 22조1000억원에서 2012년 21조1000억원으로 되레 감소했다. 지난해도 매출이 한층 감소한 것으로 추정된다. 전통시장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온누리상품권 판매는 2012년 4260억원에서 2013년 2866억원(12월9일 기준)으로 32% 급감했다.

유통업계는 올해 6.4 지방선거를 앞두고 박근혜 정부의 유통 규제가 더욱 강화되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야당에서는 대형마트 판매품목을 제한하고, 출점 금지 지역을 확대하는 법안을 이미 발의했다. 박근혜 정부도 대형마트 판매장려금을 제한하고 백화점 특약매입을 축소하는 등 또 다른 규제 폭탄을 예고하고 있다.


◇고삐 풀린 가격인상…서민경기 어쩌나=박근혜 정부 1년은 서민 장바구니 물가가 급등한 것도 인상적이다. 2012년 말 대선 직후 두부·콩나물·밀가루·소주 등 서민 식품들이 일제히 오르는가 싶더니 지난해 말부터 식품 업체들의 가격 인상이 러시를 이루고 있다. 제과(오리온·롯데제과·크라운해태제과·농심)와 제빵(삼립식품), 음료(코카콜라·롯데칠성·팔도), 주류(디아지오), 외식(파리바게뜨·롯데리아·맥도날드·탐앤탐스)에 이르기까지 전방위 가격인상이 잇따르고 있다.

이명박 정부 시절 MB 물가지수를 적용해 통제했던 가격이 박근혜 정부에서는 제대로 지켜지지 않고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박근혜 정부가 집권 2년차로 접어들며 디플레이션(저물가 저성장) 가능성을 차단하려는 것이 식품업체들의 잇단 가격인상을 주도했다는 분석이다. 전문가들은 "주요 원자재 가격이 하락세지만 원가 부담을 이유로 업체들이 가격을 올리고 있는데도 박근혜 정부는 이를 묵인하고 있다"고 밝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