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정책으로 물가 잡았다", 민간은 '글쎄'(종합)

머니투데이 세종=우경희 기자 2013.06.03 10:36
글자크기

5월 물가상승 IMF이후 최저...정부 "정책효과" vs 민간 "봄 돼 채소값 내린 것"

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농산물을 구입하고 있다./사진=머니투데이한 대형마트에서 소비자들이 농산물을 구입하고 있다./사진=머니투데이


5월 소비자물가지수 상승률이 IMF금융위기 이후 13년 8개월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다. 정부는 정책효과가 나타나고 있다는 입장이지만 민간은 다른 분석을 내놓고 있다. 계절효과일 뿐 여전히 물가전망은 어둡다는 것이다.

통계청은 5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7.3으로 전년 동월대비 1.0% 상승에 그쳤다고 3일 밝혔다. 7개월 연속 상승률이 1%대에 머물렀다. 단일 상승폭으로도 외환위기 직후인 지난 1999년 9월 0.8% 이후 최저다.



같은 달 장바구니 물가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생활물가지수 역시 전년 대비 0.2% 오르는데 그쳤다. 0.2% 상승은 지난 1996년 생활물가지수에 대한 통계작성이 시작된 후 최소 폭 상승이다.

정부는 두드러진 물가수치 안정세가 정부정책의 결과라는 입장이다. 김보경 통계청 물가동향과장은 "정부의 농산물 유통구조 개선 노력이나 공급확대 등 가격 안정 노력이 물가에 반영됐다"며 "정책효과가 물가 안정에 영향을 줬다고 본다"고 말했다.



실제 농산물 가격은 하락했다. 5월 신선식품지수는 전월 대비 3.6%나 내렸다. 전년 동월대비도 1.9% 내렸다. 채소가 전월 대비 9.8%, 전년 동월대비 0.1% 각각 하락했다. 과실은 전월 대비 1.3%, 전년 동월 대비 4.4% 각각 하락했다. 기타신선식품은 전년 동월대비 0.8% 하락했다.

물가수치가 안정세를 보이자 기획재정부도 자료를 통해 "5월 소비자물가 안정은 공급 측 불안요인 해소와 제도적 효과 때문"이라고 밝혔다. 무상보육 확대에 따른 제도적 요인, 공공서비스 가격 안정세도 물가 안정에 기여했다는 설명이다.

그러나 정부의 고무적 분위기와 달리 민간은 고개를 갸웃거리고 있다. 정책효과도 물가에 영향을 줬지만 수치를 끌어내린 주요 원인은 석유 등 정책외적 변수일 뿐 서민물가 부담은 여전하다는 것이다.


유현조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물가지수 상승률이 1.0%에 그치긴 했지만 농산물과 석유류를 제외한 핵심소비자물가는 오히려 작년에 비해 1.6% 올랐다"며 "농산물과 석유류를 빼면 사실상 물가가 오른 셈"이라고 말했다.

이어 "농산물의 경우 원래 이맘때면 가격이 내린다"며 "이번 물가수치는 계절적 요인에다 유가 하향안정의 영향을 크게 받은 것일 뿐 정책효과라고 보기는 어렵다"고 덧붙였다.

실제 5월 석유류 물가지수는 전년 동월대비 7.4%나 내렸다. 지난 1월 0.6% 내린 이후 5개월 연속 하락세다. 낙폭도 4월 5.3%를 기록하는 등 점차 확대된다. 신선식품지수 하락이 1.9%에 그친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물가안정은 국제유가 하락이 주도한 셈이다.

이를 반영하듯 정부도 물가안정 기조가 유지될 것인지에 대해서는 부정적 입장을 보이고 있다. 김 과장은 "석유 값이 떨어지고는 있지만 서비스부문 물가 상승이 지속되고 있어 내달 상승률 0%대 진입은 쉽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민간의 전망도 대체로 일치한다. 유 연구원은 "계절적 요인이 희석되면서 농산물 가격이 물가안정의 발목을 계속 잡을 것"이라며 "하반기 에도 물가는 계속해서 올라갈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