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조 경인선 지하화' 선거 타고 속도내나

머니투데이 이군호 기자 2012.04.09 05:12
글자크기

삼성물산 등 건설업계 사업제안 준비…사업비 조달 최대 관건

'13조 경인선 지하화' 선거 타고 속도내나


수도권의 대표적 지옥철로 꼽히는 '경인선 전철'의 지하화 사업이 탄력을 받고 있다. 4.11 총선을 앞두고 민주통합당 후보들이 '전철 1호선 지하화 공동공약'을 제시한데 이어 2000년대 후반부터 사업을 준비해 온 건설업체들도 잇따라 사업제안서 제출 검토에 나섰다.

다만 13조원에 달하는 사업비를 지상부분의 상업적 개발을 통해 충당하기 쉽지 않은데다, 경인선을 가로지르는 지하·고가 시설물이 많아 공사여건이 양호하지 않고 기존 역사 상가 상인들에 대한 보상 문제 등도 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지적이다.



◇경인선 지하화 카드 왜 나왔나?
경인선 지하화는 2008년 18대 총선에서 공약으로 제시됐었고 2009년 서울시, 인천시, 경기도 등 수도권 3개 지자체가 구성한 수도권 광역경제위원회에서 구체적 방안이 논의되기도 했다.

경인선 지하화가 대두된 이유는 지상구간이 많다는 점 때문이다. 서울구간 36.1㎞, 경인구간 21.8㎞가 지상구간이어서 △철도 주변 개발 지체로 인한 노후화 △지역간 단절 및 격차 발생 △소음·먼지 피해 등의 문제점이 지적돼 왔다.



현재 개발을 추진 중인 대심도급행철도(GTX)와의 환승을 위해 경인선 지하화에 대한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사업성을 높이기 위해선 하루 평균 46만6000명(2011년 기준)에 달하는 경인선 승객이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게 유리해서다.

앞서 지난달 26일 전철 1호선(경인선)을 경유하는 지역구 민주통합당 후보 14명은 서울시의회에서 공동공약 채택관련 기자회견을 갖고 "서울·부천 등 수도권 시민의 복지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고 생태문화도시로 도시를 재생시켜야 한다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며 지하화 당위성을 강조했다.

◇사업 규모는?
민주통합당 후보들은 경인선을 지하화하는데 필요한 총 사업비를 13조5059억원으로 추정했다.


지상 구간별로는 △온수~구로역 복복선 5.6㎞, 1조3739억원 △구로~서울역 3복선 11.7㎞, 4조3057억원 △청량리~창동역 복선 9.0㎞, 1조1040억원 △구로~금천구청역 복복선 5.6㎞, 1조3739억원 △인천~온수역 복복선 21.8㎞, 5조3483억원 등이다.

사업비는 민간투자사업을 통해 지상부분을 상업적으로 개발해 조달하고 나머지는 국비와 지방비를 투자하는 방안이 제시됐다.



건설업계는 이미 2000년대 후반부터 경인선 지하화를 민간투자사업으로 제안해 추진하는 방안을 검토해왔다. 삼성물산은 총 5조원 가량을 투자해 인천 주안역~서울 구로역간 27㎞를 지하화하는 제안서를 준비하고 있다. 삼성물산은 경인선과 GTX를 인천과 서울에서 한곳씩 환승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이 회사 관계자는 "사업비가 막대한 점을 감안해 경인선 전체 구간을 일시에 지하화하기보다는 공사 여건이 상대적으로 양호하고 지역간 발전 격차가 큰 주안역~구로역 구간을 우선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

◇사업비 조달이 관건
수도권 지자체가 경인선 지하화 필요성을 인지하고 있고 이번 총선에서 민주통합당 후보들이 당선될 경우 사업 추진은 속도를 낼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삼성물산도 향후 추이를 봐가며 민간투자사업 제안서를 제출할 계획이다.



다만 이 사업이 성공하기 위해선 5조원 이상의 막대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관건이다. 글로벌 금융위기 여파로 자금조달 시장이 여의치 않은데다, 지상부분 상업적 개발을 통해 5조원이나 되는 자금을 조달하긴 쉽지 않다는 우려가 깔려 있다.

삼성물산 관계자는 "지상부분 상업적 개발은 역세권을 중심으로 이뤄지겠지만 부동산시장 등을 감안할 때 자금 조달이 쉽지 않을 것"이라며 "특히 지상의 상업적 개발을 통한 사업비 회수가 가능하도록 법적으로 명문화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여기에 경인선을 가로지르는 지하나 지상 구조물이 복잡하게 얽혀있어 공사여건이 만만치 않고 기존 역사의 상가에 대한 보상도 사업 추진을 어렵게 하는 요인이다. 기존 군부대 시설 등을 이전해줘야 하는 부담도 가중될 것으로 업계는 내다보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