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카드 표준화는 산으로 가나

머니투데이 배성민 기자 2011.04.22 09:24
글자크기

[신용카드 질적경쟁시대]<2-2>통신-카드-제조사, 금융위-기표원-방통위 주도권 싸움

편집자주 1만원 미만을 카드로 결제해도 불편하지 않고 할인과 적립까지 되는 즐거운 세상입니다. 일각에서는 2003년 카드사태 재연을 우려하지만 그 때와는 시장과 소비자, 카드사가 모두 질적으로 다른 상황입니다. 이제 질적 경쟁 시대를 함께 일궈가야 할 때입니다. 이에 머니투데이는 현재 카드시장이 이전과는 어떻게 다른지, 각 카드사들의 질적 경쟁력은 무엇인지를 점검하는 '신용카드, 질적 경쟁 시대를 연다'는 기획을 마련했습니다.

모바일 카드의 확산이 대세임에도 불구하고 여러 난관도 거론된다. 대표적인 것이 최근 일부 금융사를 둘러싼 해킹 사태와 전산망 다운 등의 돌발 악재다. 또 결제표준안 마련도 주도권 싸움에 진척이 없다.

모바일카드의 주요 사용 기반인 스마트폰의 주요 리스크는 분실, 악성코드 감염, 정보유출 등이 꼽힌다.



우선 사용자가 폰을 분실할 경우 내부에 저장된 데이터 유출이 가능하며 와이파이(Wi-Fi)나 블루투스, 다이렉트 케이블을 이용한 PC 연결시 감염, 트로이목마 등을 이용한 단말기 정보 탈취가 가능하기 때문에 주의해야 한다.

또한 모바일은 악성코드 등의 확산으로 통화기록, 유심(USIM)정보, 위치정보 등이 공격 대상이 될 수 있다.



모바일카드 확대는 카드사들의 보안에 대한 신경도 곤두서게 하고 있다. 카드업체들은 최근 금융사 해킹, 전산망 이상 등을 계기로 고객정보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 작업에 나섰다. 한 카드사 관계자는 "해킹 모의실험 등을 통해 철저한 보안 점검에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모바일카드 결제 표준안 마련도 여러 난관이 따르고 있다. 애플, 구글, 퀄컴, 비자, 마스터카드 등 글로벌 기업들이 이미 모바일 결제 시장을 선점하기 위해 독자적인 시스템을 구축하고 기업 간 전략적 공조에 나선 가운데 우리나라는 업체(통신사, 전업계 카드)간 정부 유관 부처(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 방송통신위원회, 금융위원회 등)간 힘겨루기로 진척이 없는 상태다.

카드업계는 지난해 초부터 모바일카드 결제 표준안 마련을 위해 여신금융협회를 중심으로 협의체를 구성했다. 그러나 공감대만 형성됐을 뿐 특별한 움직임은 없었다. 그러던 중 지난해 12월 신한-삼성카드 (38,200원 ▼5,100 -11.78%)SK텔레콤 (50,900원 ▼200 -0.39%), KT (36,400원 ▲50 +0.14%), 마스터카드 등 5개사가 ‘모바일 페이먼트 & 커머스 5개사 공동사업단’을 만들면서 탄력이 붙었다. 이후 삼성전자, LG전자, 팬택 등 국내 휴대폰 3사와 금융결제원, BC카드 등이 ‘모바일지불결제표준화협회’를 구성, 민간기업을 중심으로 한 표준안 마련이 본격화 됐다.


이런 상황에서 지식경제부 기술표준원(기표원)은 올해 중 모바일카드 지급결제 국가표준을 제정한다는 목표로 지난 2월 말 ‘모바일 지급결제 표준화 추진협의회’ 구성에 나섰다.

또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도 자체적으로 모바일카드 활성화를 위한 표준안 마련을 위해 지난 3월21일 비공개 회의를 가졌다. 이 모임에는 5개 카드사와 3개 통신사, 금융결제원 등 기표원 협의회에 참석하는 대부분의 기관과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등도 참여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도 지난달 방통위 회의 이후 카드사 등에 모바일카드에 대한 의견 수렴을 별도로 실시하는 등 뒤늦게 모바일카드 지급결제 표준에 관심을 보이고 있는 상태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방통위가 나선 것이나 기표원에 금융당국이 참여하지 않은 점 등을 볼 때 자칫 카드사의 목소리는 사라지고 통신사의 요구만 받아들여지는 결과가 나오는 것이 아닐까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