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70%, "연내 기준금리 추가인상 없다"

더벨 한희연 기자 2010.10.20 09:11
글자크기

[기준금리 전망]금리인상 여부 물가보다 대내외 불확실성 지속여부에 달렸다

더벨|이 기사는 10월19일(13:50) 머니투데이가 만든 프로페셔널 정보 서비스 'thebell'에 출고된 기사입니다.
10월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이후 전문가들의 연말 기준금리 전망치가 대폭 조정됐다.



더벨이 19일 국내외 금융회사의 경제 및 채권 전문가 21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응답자의 71.4%인 15명이 연말 기준금리 수준을 2.25%로 전망했다. 나머지 6명은 2.5% 수준을 예상했다.

열흘 전인 지난 7일 조사에서는 응답자의 85%인 17명이 연말 기준금리 수준을 2.50%로 전망했고 나머지 3명만이 2.25% 수준을 예상했었다.



이때 10월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던 전문가 12명중 9명이 금통위 이후 연내 추가 인상이 힘들다는 쪽으로 전망을 수정했다.

img1.gifimg1.gif
김중수 한은 총재가 10월 금통위 이후 기자간담회에서 대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절박한 상황'이 됐다고 설명했다. 금통위 성명서에는 "앞으로 주요국 경기 및 환율의 변동성 확대 등이 세계경제의 위험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다"는 문장까지 더해졌다.


금통위 후 시장 참가자들 사이에서는 한은의 통화정책 결정이 현 상황에서는 환율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인식이 퍼졌다. 국제적 환율 전쟁이 마무리 되야 한은의 초점이 다시 물가로 올 수 있다는 생각은 금리 인상 시점이 더 멀어졌다는 전망의 근거가 됐다.

지난 10월 금통위 전부터 연내 기준금리 인상이 어렵다고 주장한 전문가들은 한은이 주장하는 대외 경제 불안을 생각하면 올해 안에는 한은이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거의 없다는 분석이다.

최석원 삼성증권 애널리스트는 "글로벌 환율 경쟁과 그 여파로 국내 경제가 둔화될 위험이 (10월)정책금리 동결의 주된 이유였다"며 "이는 빠른 시일 내에 불안감이 사라지긴 어려울 것으로 보여 연내 정책금리인상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금리 상승의 계기는 정책 금리보다 환율과 관련된 합의, 물가, 국채 발행 장기화 등에 의해 마련될 가능성이 높다"고 분석했다.

김일구 대우증권 애널리스트는 "당장 환율 때문에 금통위가 움직일 수 있는 여지가 작아 보인다"며 "환율전쟁이라고 표현할 정도로 심각하게 대립하고 있는 선진국과 이머징 국가들 사이에 합의가 만들어진다면 금통위가 금리를 올릴 수 있는 여지도 생길 수 있다"고 설명했다.

박종연 우리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통화정책 결정시 국내 물가만 고려했다면 정책효과의 시차를 감안했을 때 7월 금리인상 이후 지속적인 금리인상이 바람직했을 것"이라며 "대외변수의 의존도가 높은 국내경제의 구조를 감안할 때 금리인상 재개 여부는 국내 물가보다는 대내외 불확실성의 지속 여부에 달려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하지만 연내 한 차례 정도 추가 금리 인상 여지가 있다고 보는 전문가들은 그래도 인플레이션 압력을 한은이 무시하지 못할 것이란 입장이다. 금리로 환율을 잡을 수 없다는 논리도 있다.

이정준 HMC투자증권 애널리스트는 "세계적 달러 약세 흐름속에서 언제까지 기준금리 동결로 원화 절상을 제어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며 "만일 인플레이션 압력이 가중되는 상황에서 환율 갈등이 해소되지 않는다면 일정수준 원화 절상을 용인할 수 밖에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4분기부터 본격화 될 인플레이션 압력과 금리정책 시차를 고려한다면 연내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은 여전히 유효하다"고 설명했다.

임노중 솔로몬투자증권 이코노미스트는 "경기와 물가측면에서 금리인상 압력이 커진 가운데 자산시장의 버블 우려가 더해지고 있다는 점이 금리인상 압력을 높이고 있는 요인"이라며 "금리인상을 안한다고 해서 환율이 떨어지지 않는 것은 아니다"고 말했다.

박희찬 미래에셋증권 이코노미스트도 "10월 금리 동결의 가장 큰 이유는 미국, 일본 양적 완화 속 환율 변동성이 높아진데 따른 부담감 때문"이라며 "부동산 대책 효과가 아직 잘 드러나지 않고 있어 정부 정책과의 공조도 중요한 근거가 된다"고 분석했다.이어 "12월에는 11월에 비해 환율 변동성이 조금 완화될 것으로 보이고 부동산 대책 효과도 지금보다는 좀 더 가시화될 수 있기 때문에 인상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img10.gifimg10.gif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