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조기민영화 요청 왜

머니투데이 반준환 기자 2009.08.12 18:32
글자크기

현행 지배구조로는 성장 한계

우리금융그룹이 얼마전 금융당국에 조기 민영화 추진을 요청한 것은 '성장의 목마름'에서 비롯된다. KB·신한·하나지주 등이 시장여건 변화에 순발력있게 대응하는 데 비해 우리금융은 현행 지배구조의 한계로 운신의 폭이 너무 제약돼 있다는 것이다.

우리금융 (11,900원 0.0%)은 주요 현안에 대해 최대주주인 예금보험공사(지분율 73%)에 의사를 물어야 한다. 평소에는 문제가 없으나 지난 연말처럼 글로벌 금융위기로 상황이 급박히 돌아갈 때는 경영효율성을 되레 저해하는 요인이 될 수 있다.



일례로 유상증자문제를 들 수 있다. 글로벌 금융위기로 건전성이 악화된 국내 금융지주사들은 잇따라 증자를 통해 자본을 확충했다. 하나금융은 지난해 12월 하나은행에 1조5000억원을 유상증자했고 신한지주 (56,500원 ▼400 -0.70%)는 올 3월 지주사 가운데 처음으로 유상증자를 실시, 1조2764억원을 확보했다. KB금융 (83,600원 ▲1,100 +1.33%)도 1조원의 유상증자를 추진중이다.

우리금융도 재무건전성 제고 등을 위해 유상증자가 필요했으나 출자에 부담을 느낀 예보의 반대로 검토 수준에 그쳤다. 이로 인해 우리은행은 높은 이자비용을 내며 후순위채 발행에 매달릴 수밖에 없었다. 예보는 (우리금융) 증자에 참여하면 공적자금을 추가로 투입해야 하고 주식도 늘어 민영화가 어렵다는 입장이었다.



자회사 관리문제도 있다. 대부분 금융지주사는 계열사 지분을 100% 보유한다. 의사결정의 통일성을 확보하고 계열사의 수익을 한곳에서 관리해 운영효율을 높이자는 취지다.

우리금융은 그러나 우리은행과 함께 주력 계열사인 우리투자증권 지분율이 34.9%에 지나지 않는다. 서민금융 지원이라는 역할을 맡은 우리파이낸셜 지분도 50%에 불과하다.

금융권 관계자는 "금융지주사의 취지상 우리투자증권도 지분을 100% 보유하는 게 맞지만 지배구조문제 때문에 개선되지 않고 있다"며 "우리투자증권에서 내는 수익 중 지주사몫이 3분의1에 불과하니 우리금융의 수익성 회복도 늦어진다"고 말했다.


이런 제약은 해외진출이나 인수·합병(M&A) 등 주요 현안에서도 나타난다는 게 금융계의 지적이다.

시중은행 관계자는 "우리금융이 잠재력에 비해 성과를 내지 못하는 데는 여러 이유가 있으나 근본적인 것은 민영화 지연"이라며 "개정된 금융지주회사법을 활용해 예보 지분을 서둘러 매각하는 게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우리금융 차트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