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CSR와 SRI 특징 3가지

머니투데이 황국상 기자 2009.02.19 22:02
글자크기

20일 기업사회책임 포럼, "'녹색' 일색, 정책지원은 산재, 국민연금이 핵심주자"

"환경경영이 다른 모든 이슈를 장악했다."

"기업 사회책임활동을 지원하는 정부 정책이 산발적이다."

"국민연금이 키플레이어(핵심주자, Key Player)다."



학계와 투자자, 컨설팅 전문가들이 평가한 우리나라의 기업사회책임(CSR) 활동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정책, 그리고 사회책임투자(SRI)의 현 주소다.

19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KOSIF)과 독일 콘라드 아덴하워 재단 한국사무소가 공동으로 주최한 '세 가지 관점에서의 CSR - 산업별 고유성, SRI 및 정부의 관점'이란 주제의 포럼에서 각계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지속가능 경영의 현황과 과제에 대해 논했다.



안병훈 카이스트 서울부총장의 사회로 진행된 이날 포럼에서는 정수영 에코프론티어 지속가능금융센터장, 노한균 국민대 경영대 교수, 류영재 서스틴베스트 대표가 각각 컨설팅사, 학계, 투자자의 입장에서 국내 CSR·SRI의 현황에 대해 발제했다.

◇전기전자, 금융업이 대표CSR주자, 지원정책은 미흡
정 센터장은 제조업 부문 중엔 전기·전자업종을, 서비스업 부문 중엔 금융업을 각각 국내에서 CSR을 잘 이행하는 업종으로 꼽고, 최근 이들 업종이 다양한 CSR 이슈 중 유독 환경경영에 주력하고 있다고 평가했다.

전기·전자업종은 유럽연합(EU)의 유해물질 규제에 맞춰 EMS(환경경영시스템)을 구축하거나 제품 내 대체물질 개발 등 제품 환경성을 높이는 쪽으로 대응하는 동시에 이를 대외에 알려 자사 경쟁력을 높이는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점이 높이 평가됐다.


금융업종은 대출·소매상품을 운용하거나 투자대상 기업의 환경성을 면밀히 검토하는 내부 시스템을 갖추는 등 환경문제로 부각될 리스크 관리에 이전보다 적극 나서고 있다는 점이 고려됐다.

노 교수는 2001~2008년 기간 동안 정부 주요 부처에서 발표한 정책 보도자료 111개를 분석한 자료를 통해 '국내 CSR 지원정책을 주로 입안한 부처는 현 지식경제부이며 주로 논의된 주제는 윤리경영·사회공헌으로 기업의 자율참여를 권장하는 성격의 정책이 중심'이었다고 분석했다.



또 "처음엔 친기업 환경조성이라는 방향에서 접근한 정부가 점차 CSR 이슈가 세계적 흐름이며 대세라는 걸 깨닫고 국제 표준에 우리 기업이 적응할 수 있도록 하는 쪽으로 방향을 전환한 듯하다"고 설명했다.

노 교수는 "부처에 따라 '일자리 창출'(노동부) '복지서비스 제공'(보건복지가족부) '환경지속가능성 강화'(환경부) 등 각양각색의 CSR 지원책이 뒤섞이지 못한 채 산재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EU처럼 CSR 관련 종합정책이 없는 데다 여전히 정부는 '기업의 인적·물적 자원을 동원해 개별 부처의 정책목적을 추구하는' 데에 CSR 정책의 초점이 맞춰진 듯하다"고 비판했다.



◇전문성으로나 규모로나 국민연금이 SRI 핵심주자, SRI지수작업 필요
아울러 류 대표는 국내 주요기업 투자홍보(IR) 관계자 4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 이 중 20명이 'CSR이나 사회책임경영이 자사의 장기가치 제고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응답했다고 소개했다.

향후 CSR을 잘 이행하는 기업이 환경·사회적 이슈로 초래될 리스크나 기타 평판이 나빠질 수 있는 상황에 선(先)대처하고 있기 때문이라는 판단 때문이라는 설명이다.

류 대표는 국민연금이 2006년부터 6500억원 규모의 SRI 자금을 운용하고 있는데 2010~2012년까지 이를 45조~50조원 규모로 늘릴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다며 "국민연금은 국내 SRI에 있어 전문성으로나 규모로나 매우 중요한 키플레이어"라고 말했다.



또 "SRI 투자자들에게 기업의 환경·사회·지배구조(ESG) 관련 정보를 투명하게 제공토록 하는 공시제도 개선이 필요하다"며 "이와 동시에 투자기준이 될 만한 기업들을 추려 만드는 SRI지수가 도입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략적 컨셉 없던 기업들이 경기침체 이유로 CSR축소"
한편 이날 토론회의 공동주최기관인 아덴하워 재단의 마크 지멕 소장은 "현재의 경제위기는 당연히 CSR에도 영향을 미친다"며 "CSR은 장기사업이기 때문에 전략적 정책으로 이같은 컨셉이 없던 기업들이 (요즘같은 상황에) CSR을 축소한다"고 지적했다.

안 부총장은 "기업에게 있어서 CSR활동이란 별도의 밥상 같은 게 아니라 원래 밥상 위에 올라가 있어야 할 그릇을 제대로 얹어두는 것"이라며 "최근의 금융위기는 바로 금융기관들이 CSR활동을 제대로 하지 못했다는 방증"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