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칼럼]'안정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

안병옥 동아제약 신약연구소 전임상연구팀장 2008.02.13 16:04
글자크기
[신약칼럼]'안정성 확보'가 최우선 과제


우리는 2004년 PPA(페닐프로필아민)함유 감기약 파문으로 온 나라가 시끄러웠던 것을 기억하고 있다. 약국에서 쉽게 접할 수 있었던 감기약이 뇌졸중을 유발 시킬 수 있다는 보고에 PPA 함유 감기약이 회수되는 충격적인 사건이었다.

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한 사회적 관심이 급증해 2007년 의약품 부작용 보고 실태가 전년 대비 52% 증가한 총 3750건이었다고 식품의약품안전청이 발표했다.



이러한 사례는 비단 국내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국적 제약 회사인 머크사의 골관절염약 바이옥스(Vioxx)가 2004년 심혈관계 부작용을 우려, 25억 달러의 재정 리스크에도 불구하고 자발적으로 회수된 사례도 있다.

이 후 미국 FDA는 안전성을 문제로 신약승인을 거부하거나 연기하고 더 많은 자료를 요구하는 등 허가기준을 대폭 강화하고 있다. 이는 소위 빅파마(Big Pharma)라고 불리는 거대 다국적 제약회사도 피해 갈 수 없는 사항이다.



바이옥스의 사례에서도 보는 바와 같이 의약품의 안전성에 대한 문제는 기업자체에는 재정적으로 큰 타격을 주기도 하지만 그 보다 더 우려되는 것은 환자의 건강과 목숨을 담보로 한다는 것이다.

환자에의 위험 감소와 제약사의 재정적 리스크 감소를 위해 신약의 안전성 평가는 신약연구 초기 단계부터 선행되고 있다.

얼마 전 까지만 해도 신약을 평가하는 데 있어서 유효성, 즉 약효가 무엇보다 중시되는 경향이 있었으나 요즈음에는 의사와 환자 모두 약효보다도 안전성을 더욱 중요시 하고 있다. 즉 비슷한 효력을 가지고 있다면, 더 안전한, 부작용이 적은 의약품이 더 경쟁력을 가진다는 이야기다.


의약품의 안전성을 평가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독성시험들이 수행되어야 한다. 독성 시험은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임상시험에 앞서 세포, 조직, 실험동물을 대상으로 어떤 종류의 독성이 어떤 조건에서 발현되고 환자에 적용시 안전역(safety margin)이 확보될 것인지 안전성에 대한 충분한 정보를 확보하기 위해 실시된다.

기본적인 독성시험항목으로는 시험 약물을 단회 투여하여 나타나는 일반상태의 변화를 주된 지표로 하는 단회 투여 독성시험, 시험 약물이 반복적으로 노출 되었을 때 표적장기와 안전한 용량은 얼마인지를 파악하기 위한 반복투여 독성시험이 있다. 또, 실험 동물에서 종양발생 유무를 검색함으로써 인간에의 암발생 위험성을 평가하는 발암성시험, 면역계의 구조와 기능에 영향을 주는지 또한 쇼크와 같은 이상면역반응을 야기하는지를 평가하는 면역독성시험, 시험물질이 DNA나 염색체에 손상을 주어 이상을 일으키는지를 관찰하는 유전독성시험, 사람의 생식 및 발생과정에 시험 약물이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는 생식·발생 독성시험 등도 있다.

이외에도 약물의 특성에 따라 항원성시험, 국소자극성시험, 국소내성시험, 의존성시험, 특수독성시험 등이 요구되기도 한다. 신약허가를 위해서는 이러한 모든 독성시험을 우수실험실운영규정(GLP)에 적합하게 실시하여 신뢰성과 재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우리나라도 2003년부터 GLP를 의무화하여 신약허가를 위해서는 국제규격에 적합한 독성자료를 요구하고 있다.

최근에는 화학물질외에 천연물신약, 단백질 치료제, 유전자치료제, 세포치료제, 단크론항체 등 다양한 치료제가 개발됨에 따라 기존의 독성시험법보다 더 신속하게, 더 정확하게 약물의 안전성을 평가할 목적으로 독성시험법에 대한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독성기전과 부작용발생 잠재성까지도 찾아내기 위한 독성유전체학 (toxicogenomics) 등에 대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의약품의 특성상 부작용 발생은 불가피한 문제이다. 그러나, 이를 조기에 파악하여 부작용이 적고, 안전한 의약품을 개발하여 국민의 건강을 지키고 삶의 질을 개선하기 위해 지금 이 시간에도 많은 분들이 노력하고 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