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은행 12·12 조치, 어떻게 나왔나

머니투데이 유일한 기자 2007.12.13 11:22
글자크기
12월12일 미 연준(FRB)이 주도한 5개 중앙은행의 '연대 유동성 공급 방안'은 지난달 남아프리카공화국 케이프 타운에서 있었던 'G20' 회의에서 처음 구상돼 우여곡절 끝에 실행됐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보도했다.

유럽중앙은행에 따르면 세계20개국(G20) 경제정책회의에서 중앙은행 관료들은 개별적인 일련의 조치보다 공조하는 게 낫다고 의견을 모으고 이 방향으로 대응하자고 했다.



중앙은행들은 통화정책을 바꾸고 유동성 공급 방안을 수정하는 과정에서 자칫 '중앙은행은 해당 국가의 약점을 모두 알고 있다'는 비난을 가장 껄끄러워하는 상황이었다.

앞서 중앙은행들은 지난 8월과 9월 신용경색이 절정에 달하자 유동성 공급 공조 체제를 취하자는 게 바람직하다는 생각을 했다. 그러나 9월18일 연준의 첫번째 금리인하 이후 위기가 진정되자 긴박함이 사라졌다.



그런데 11월들어 다시 제2차 신용경색 조짐이 강화되자 자국에서 따로 진행하던 유동성 보강 프로그램의 실효성에 의문이 들었다. 결국 중앙은행 협조의 필요성을 절감하기에 이르렀다.

이번 조치의 기본 원칙은 지난달 18일 G20 회의에서 세웠다. 비밀유지가 가장 중요했다. 그래서 이 내용은 G20 성명서에 포함되지 않았다.

구체적인 세부안은 지난주 긴박하게 정해졌다. 토론은 매우 심도있고 격렬하게(intense) 진행됐다. 문제는 발표시기였다. 일부 중앙은행이 유동성 공급과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이 명확하게 구분되어야한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결정적으로 미연준이 달러화 스왑을 다른 통화와 진행하기 위해서는 공개시장위원회(FOMC)의 승인을 얻어야했다. 그래서 발표는 화요일(11일) FOMC 이후 하루만에 전격 이뤄졌다. 시장참여자들은 금리 인하 실망으로 미증시가 급락한 것을 외면하고 하루 뒤 새로운 유동성 공급 조치를 내놓았다고 비난했지만 그럴 수 밖에 없는 사정이 있었던 것이다.

유럽중앙은행(ECB)은 이번 유동성 공급방안 발표 이후에도 "연준은 통화정책과 유동성 공급 조치의 경계선을 분명히 해야한다"고 재촉할 것이라고 FT는 전했다.



한편 이번에 연준이 집행하는 400억달러 유동성 공급 방안은 기존 환매조건부채권(RP) 매입, 매각을 통해 이뤄지던 공개시장조작과 차이가 크다. 길어야 만기가 일주일이었으나 연준의 이번 유동성 공급은 만기가 4주, 5주에 이른다. 단기 자금 조달 금리가 여전히 불안한 데다 연말 자금 수요가 집중된 것을 감안한 혁신적인 조치로 평가받고 있다. 때문에 월스트리트저널은 유동성 공급 방법이 진보적이고 그 규모도 '혁명적'이라는 전문가 코멘트를 실기도 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