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년 맞은 '노란조끼' 시위…인원은 10분의 1로 줄어

머니투데이 강민수 기자 | 2019.11.18 08:20

NYT "노란조끼, 목표·장기 전략 부재로 내부에서 무너져"

16일(현지시간) 프랑스 남부 난테스에서 열린 노란조끼 1주년 집회에서 시위대 중 한 명이 마스크를 착용하고 있다. /사진=AFP

지난해 11월 프랑스 정부의 유류세 인상으로 촉발된 '노란조끼' 시위가 1주년을 맞아 되살아났다. 올해 봄 소강 사태에 접어든 이후 몇 개월만에 충돌이 발생했으나, 참여 인원은 1년 전에 비하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들었다.

16일(현지시간) 로이터·AFP통신 등에 따르면 이날 파리, 마르세유, 몽펠리에 등 프랑스 전역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노란조끼 시위가 열려 4만명(주최 측 추산·경찰 추산 2만8600명)이 거리에 나섰다. 파리에서만 참가자 수가 4700명에 달했다.

이날 오전 일부 시위대는 파리 외곽순환도로를 점거해 바리케이드를 세우고, 은행을 부수거나 차량을 불태우는 등 과격 양상을 보였다. 이에 경찰은 물대포와 최루탄으로 대응하며 충돌이 벌어졌다. 당국은 이날 오후 8시까지 파리에서만 시위대 147명을 체포했으며, 이 중 129명을 구금했다고 전했다. 에펠탑 등 관광명소와 지하철역 20곳은 출입이 금지됐다.

파리 도심인 알르 드 파리 지역에서는 이른 저녁까지 산발적으로 충돌이 이어졌다. 이외 남부 마르세유에서 1000여명이 행진을 벌였고, 서부 도시 난테스에서 1000여명이 시위를 벌이다 충돌이 일어났다. 이외 파리 외곽 지역에서는 대체로 평화롭게 진행됐다.

노란조끼 시위대는 1주년인 17일까지 주말 동안 파리와 리옹, 마르세유 등 대도시를 중심으로 전국에서 200여 개의 시위를 이어갈 계획이다.

지난해 11월 17일 유류세 인하 요구로 시작된 노란조끼 시위는 직접 민주주의 확대, 에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퇴진 요구 등으로 번지며 매주 토요일 이어져 왔다. 시위는 최저임금 월 100유로 인상, 저소득층 연금 과세 증액 대상 제외 등 굵직한 노동정책 변화를 앞당겼으나, 한때 28만명(경찰 추산)에 달했던 시위는 올해 봄 이후 급격히 참여 인원이 줄어들었다.


16일(현지시간) 프랑스 남부 난테스에서 열린 노란조끼 1주년 집회에서 시위대가 '이제 시작일 뿐이다'라고 적힌 플랜카드를 들고 행진하고 있다. /사진=AFP

뉴욕타임스(NYT)는 "시위는 초반 임금 정체와 생활 수준 저하 등에 대한 불만으로 강한 공감을 샀지만, 파리와 일부 대도시에서 폭력 시위로 번지며 대중적 지지는 대부분 사라졌다"고 설명했다. 엘라베연구소가 실시한 조사에 따르면 프랑스 국민의 55%가 노란조끼에 일부 공감하거나 지지한다고 답했지만, 63%가 시위가 다시 격화되는 것을 원치 않는다고 응답했다.

NYT는 "마크롱 대통령은 현금 투입, 무장 경찰 배치, 대화라는 세 가지 전략을 통해 노란조끼 운동을 가라앉혔다"고 분석했다. 마크롱 대통령은 보조금 지급, 세금 우대 등 190억달러(약 22조원)에 달하는 재정 지원 정책을 통해 시위대의 대다수를 차지한 중하층 노동자들을 달랬다. 전문가들은 이러한 정책이 한 가구당 구매력을 900달러가량 높였을 것으로 추산한다.

경찰의 강경 진압 역시 시위 확산을 막았다. NYT는 "2000여명이 넘는 부상자와 고무탄에 의한 수십 명의 실명은 시민들이 시위에 참여하지 않도록 공포를 불어넣었다"고 전했다. 소도시까지 전국 곳곳을 순회하며 네 달 동안 벌인 공청회 '대토론'도 시위를 잠재우는 데 영향을 미쳤다.

NYT는 "노란조끼 시위는 지도부가 고정된 목표와 장기 전략을 세우는 데 실패하면서 내부에서 무너졌다"고 덧붙였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베스트 클릭

  1. 1 "나랑 안 닮았어" 아이 분유 먹이던 남편의 촉…혼인 취소한 충격 사연
  2. 2 "역시 싸고 좋아" 중국산으로 부활한 쏘나타…출시하자마자 판매 '쑥'
  3. 3 "파리 반값, 화장품 너무 싸"…중국인 북적대던 명동, 확 달라졌다[르포]
  4. 4 "이대로면 수도권도 소멸"…저출산 계속되면 10년 뒤 벌어질 일
  5. 5 김정은 위해 매년 숫처녀 25명 선발… 탈북자 폭로한 '기쁨조' 실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