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술도 안 마시는데 지방간"…많이 먹는 '이것'이 원인이었다

머니투데이 정심교 기자 2024.09.17 11:00
글자크기

[정심교의 내몸읽기]

"술도 안 마시는데 지방간"…많이 먹는 '이것'이 원인이었다


민족대명절 추석만 되면 기름진 음식을 안주 삼아 오랜만에 만난 가족과 한 잔 기울이는 게 다반사다. 고칼로리 음식과 술이 공통으로 유발하는 간 질환이 있다. 바로 '지방간'이다.

그중 알코올과 상관없이 발생하는 지방간을 '비알코올성 지방간(NAFLD)'이라고 부른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방치하면 비알코올성 지방간염(NASH), 간섬유증, 최악의 경우 간경변증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지방간의 첫 번째 체크 요소는 바로 식습관이다. 특히 달콤한 음식이나 정제당을 선호해 왔다면 내 간 상태를 의심해 볼 필요가 있다. 365mc 천호점 조민영 대표원장은 "설탕은 음주만큼이나 간에 부담을 주는 요소"라며 "설탕 역시 알코올과 마찬가지로 간에서 처리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설탕은 글루코스와 과당으로 이뤄진다. 이 가운데 과당은 간에서 대사되며, 다른 조직에서는 거의 사용되지 않는다. 과당이 과다 섭취되면 간에서 이를 지방으로 전환하는 과정이 활성화되는데, 이때 생성된 지방이 간에 축적돼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 또 정제 당분을 과도하게 먹으면 간에서 중성지방 합성이 늘어난다. 이는 간세포 내에 지방이 축적되는 결과를 초래한다.



특히 액상과당은 포도당과 달리 간에 충분한 에너지가 있더라도 계속 간에 머물러 지방간의 직접적 원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음료에 시럽을 많이 넣는 습관, 탄산음료나 과일주스, 아이스크림 등의 간식을 즐기는 사람이라면 이를 반드시 줄여야 한다는 게 조 대표원장의 설명이다.

코로나19 범유행 이후 소아·청소년층에서도 지방간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는 국내 조사 결과도 발표된 만큼, 아이가 단맛에 푹 빠져 있다면 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아이를 단것에서 최대한 떨어뜨려 놓는 게 좋다.

"술도 안 마시는데 지방간"…많이 먹는 '이것'이 원인이었다
뱃살만 볼록 튀어나왔다면 지방간 의심을
복부비만이 심한 사람도 지방간을 의심해 봐야 한다. 내장지방이 심한 사람일수록 비알코올성 지방간에 노출될 우려가 높아서다.


복부비만은 피하지방과 내장지방이 쌓여 발생한다. 이때 내장지방은 간세포 내에 지방을 축적하고, 간의 염증 반응을 유도해 간 손상을 악화시킬 수 있다. 외모뿐 아니라 건강을 위해서라도 복부 비만을 해소해야 하는 이유다. 조 대표원장은 "복부비만 환자는 내장지방이 증가해 있을 가능성이 높고, 이는 간에 축적되는 지방의 양을 증가시켜 지방간을 유발할 수 있다"며 "비만한 체형이 아닌 마른 비만이라도 복부만 유독 불룩한 체형이라면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다행인 점은 지방간은 유산소 운동과 식단 관리로 개선될 수 있다는 것. 비알코올성 지방간은 주로 과식이나 정제 탄수화물의 과다 섭취 등 해로운 식습관으로 인해 발생한다. 이 말은 즉, 올바른 식습관과 생활 습관을 유지한다면 회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특히 당뇨병 환자는 비알코올성 지방간을 관리해야 할 것으로 보인다. 비알코올성 지방간이 심할수록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이 증가하고, 특히 제2형 당뇨병 환자의 경우 그 위험도가 더욱 높아진다는 연구 결과가 나와서다.

성균관대 의대 강북삼성병원 내분비내과 박철영 교수 연구팀이 2009년 건강보험 공단 자료를 이용해 7만7000명의 성인을 대상으로 당뇨병과 지방간 지수(fatty liver index)에 따른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분석했다.

연구팀은 ▲당뇨병 없는 지방간 없는 그룹 ▲당뇨병 없는 1단계 지방간 그룹 ▲당뇨병 없는 2단계 지방간 그룹 ▲당뇨병 있는 지방간 없는 그룹 ▲당뇨병 있는 1단계 지방간 그룹 ▲당뇨병 있는 2단계 지방간 그룹으로 나누고 심혈관 질환 발생 위험을 5년간 추적 관찰했다.



그 결과, 당뇨병과 지방간 둘 다 없는 그룹 대비 ▲당뇨병 없는 1단계 지방간 그룹에서는 1.19배 ▲당뇨병 없는 2단계 지방간 그룹에서는 1.38배 ▲당뇨병 있는 지방간 없는 그룹에서는 3.2배 ▲당뇨병 있는 1단계 지방간 그룹 3.8배 ▲당뇨병 있는 2단계 지방간 그룹에서는 4.5배 위험도가 증가했다.

박철영 교수는 "심혈관 질환 발병률 및 사망률은 지방간의 심각성에 따라 증가했는데, 이는 지방간이 간 질환뿐 아니라 여러 질환 발병에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라고 밝혔다. 이어 "지방간 수준이 낮더라도 당뇨병이 있기만 해도 사망률이 높게 증가했다"며 "당뇨병 환자의 심혈관 질환 및 사망 위험을 줄이기 위해서는 지방간 선별 및 예방이 필요한 것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