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도형 해수장관 "2027년 세계 최초 태평양 횡단 녹색해운항로 구축"

머니투데이 부산=오세중 기자 2024.09.09 14:32
글자크기

韓, 2050년까지 모든 국제항해 선박의 친환경 전환을 목표

강도형 해수부 장관이 9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국제해운분야 대전환 시대,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열린 해사주간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해수부 제공강도형 해수부 장관이 9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국제해운분야 대전환 시대,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열린 해사주간 개회사를 하고 있다./사진=해수부 제공


강도형 해양수산부 장관이 "2027년 세계 최초로 태평양 횡단 녹색해운항로 구축을 목표로 한-미 녹색해운항로를 추진하고 있다"고 밝혔다.

강 장관은 9일 부산 파라다이스호텔에서 '국제해운분야 대전환 시대, 도전과 기회'라는 주제로 열린 해사주간 개회식 인사말에서 "세계 각국과 친환경 기술·정책 협력을 통해 녹색해운항로를 확대·연계해 나갈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강 장관은 "2023년 7월, 국제해사기구(IMO)는 2050 국제해운의 탄소중립을 목표로 하는 'IMO 2023 온실가스 감축 전략'을 채택하고 현재 탄소세 도입, 친환경 연료 도입 등 구체적인 실현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며 "대한민국도 국제사회의 탈탄소화 노력에 발맞추고자 2050년까지 모든 국제항해 선박의 친환경 전환을 목표로 기술개발(R&D), 무탄소 연료 인프라 구축, 금융 지원 등의 정책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최근 기후변화에 따른 전 지구적 재난의 유형과 피해는 우리의 예측을 넘어서고 있다"며 "기후변화 교과서로 불리우는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평가보고서에서는 향후 10년의 기후 행동이 지구의 운명을 결정할 것이며 즉각적이고 강력한 조치가 없다면
기후위기의 마지노선인 지구온도 1.5℃ 상승을 넘는 것은 시간문제라고 경고를 내놓고 있다"고 말했다.



특히 "해사분야는 기후변화 위기 대응을 위한 탈탄소화와 동시에 ICT(정보통신기술), AI(인공지능) 기술개발에 따른 디지털 전환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맞이하고 있다"며 "대한민국은 2021년 1월 세계 최초로 시행한 e-네비게이션을 통해 연안에서 디지털 해상교통안전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으며 현재는 독자적인 위성항법 시스템(한국형 GPS) 구축을 추진하고 있다"고 한국의 탈탄소 정책을 소개했다.

또 "2025년까지 선원 승선 없이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자율운항기술 개발을 목표로 지능형 항해시스템, 무인·원격 제어 기술 등 핵심기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고 밝혔다.

아울러 "첨단 기술이 발전해 갈수록 해사 사이버안전도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며 "해수부는 해상 사이버 공격과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사이버 안전관리지침'을 제정하고 사이버안전 기술개발, 보안 솔루션 보급 및 법령 제정 등 종합적인 대책 마련을 추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강 장관은 "탈탄소화와 디지털화는 해사분야의 시대적 과제이며 해사산업의 혁신의 길을 열어줄 열쇠가 될 것"이라며 "이 두 가지가 결합돼 시너지 효과를 발휘할 때 비로소 우리 해운산업은 새로운 변화의 물결을 기회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급변하는 국제정세와 기술 발전의 흐름 속에서 그 기회를 잡고 도약하기 위해서는 국경을 막론하고 정부, 산업계, 학계 등 다양한 계층의 전문가가 함께 연대해 대응하고 협력해 나가야 한다"며 "'누구도 뒤처지지 않고(Leave no one behind)', '모두가 함께 가는(Go together)' 연대 정신으로 모든 국가가 동참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날 해사주간 개회식에 참석한 임기택 IMO 명예사무총장도 "국제해운산업은 탈탄소와 디지털을 통한 큰 변화를 맞이할 것"이라며 "국제사회가 효과적으로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서 긴밀히 협력을 해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한편 한국해사주간은 지금부터 17년 전인 2007년 '서울국제해사포럼'으로 시작했다. 2017년부터 한국해사주간으로 그 명칭을 바꿔 오늘에 이르고 있다. 해적 퇴치, 선박평형수, 기후변화 대응에 이르기까지 매년 국제해사분야의 주요 현안을 선정해 심도 있는 주제발표와 토론을 통해 미래 정책 방향을 제시해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