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는 폐차하지만 돈되는 배터리 어떻게 돌아오나

머니투데이 김훈남 기자 2024.05.05 13:20
글자크기

[MT리포트]RE, 배터리<1회>: 돌아오지 않는 배터리⑤ 폐배터리 재사용·재활용 방법은

편집자주 "건전지를 또 써?" 어린 시절 장난감 미니자동차에 들어갔던 AA 사이즈 충전지는 신세계였습니다. 한번 쓰고 버리던 건전지를 다시 쓸 수 있다니. 지금은 장난감이 아닌 진짜 자동차에서 나온 사용 후 배터리를 다시 쓰는 시대가 눈 앞에 다가왔습니다. 전기차가 진정한 의미의 '친환경차'가 되기 위해선 전기를 생산하는 과정은 물론 전기차 배터리의 생산과 폐기, 재사용·재활용에 이르기까지 전주기에 걸친 순환경제 조성이 필수적입니다. 머니투데이는 2022년 '오염의 종결자 K-순환경제' 시리즈를 시작으로 매년 주요 순환경제 분야를 조명하고 올바른 순환경제 모델을 고민해왔습니다. 올해의 주제는 배터리. 앞으로 30년 뒤 600조원 시장으로 성장할 사용 후 배터리 시장을 고민해봅니다.

경기 시흥 한국환경공단 수도권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전기차용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가 보관돼 있다. /시흥(경기)=이기범 기자 leekb@경기 시흥 한국환경공단 수도권 미래폐자원 거점수거센터에 전기차용 사용 후 배터리(폐배터리)가 보관돼 있다. /시흥(경기)=이기범 기자 leekb@


전기차는 수명이 다하거나 수리 불가능한 사고가 나면 폐차장으로 향하지만 탑재된 배터리는 그렇지 않다. 차를 구동하기에 부족해 졌을 뿐 잔존성능에 따라 얼마든지 다른 용도로 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혹여 수명을 다했더라도 새로운 배터리의 원료로 재탄생할 수 있는 게 배터리다.

전기차에서 나온 사용 후 배터리는 크게 '재사용'되거나 '재활용'된다. 우선 전기차를 폐차하면 차체나 다른 부품과 달리 배터리는 별도로 분리해 잔존성능을 검사한다. 한국환경공단에서 수행하는 SOH(State of Health, 잔존수명) 평가는 배터리를 완전히 충전한 뒤 방전시키는 방식으로 진행한다. 방전용량을 기본용량 값으로 나눈 SOH 값이 60%를 넘으면 재사용 배터리로, 60% 미만이면 재활용으로 분류한다.



잔존성능 평가에서 분류한 재사용 배터리는 셀 단위로 나눠 전기차보다 적은 출력이 필요한 기기에 사용한다. 전동오토바이나 자전거같은 소형이동장치의 동력으로 쓰거나 캠핑·가로등용 ESS(에너지저장장치), 무정전전원공급장치(UPS) 등으로 쓰는 식이다.

잔존성능이 부족해 재활용 배터리로 분류되면 배터리의 부품을 분리한 뒤 파·분쇄를 거쳐 블랙파우더(전자제품을 가루형태로 분쇄한 것)로 만든다. 블랙파우더에서 니켈과 망간, 코발트 같은 재활용 가능한 금속 성분을 추출한 다음 새 배터리 제조 공정에 투입하게 된다.



전기차 시장이 열린 지 10년가량 지난 데다 택시 등 운행이 잦은 상용 전기차량 증가 등으로 전기차의 사용 후 배터리는 본격적으로 나오기 시작했다.

배터리업계는 전기차 수명이 한 사이클을 지나 본격적으로 폐차가 시작되면 2040년에 전기차용 폐배터리가 4만대 분량가량 나올 것으로 보고 있다. 여기에 미국과 EU(유럽연합) 등이 재생원료 사용비중 상향등 배터리 순환경제 정책을 강화함에 따라 전기차 폐배터리의 재활용 배터리 소재 추출 기술과 활용도 중요해지는 시점이다.

정부와 배터리 업계에서는 사용 후 배터리 산업이 2050년 600조원 규모로 성장할 것으로 보고 있다. 배터리 순환경제의 성장은 단순히 배터리 재사용·재활용 기술을 벗어나 △재사용배터리 거래 △사용 후 배터리 운송·해체·분리 △민간영역에서의 배터리 잔존성능 검사 △안전성 검사 △배터리 여권 등 전주기 이력 추적 등 주변 산업도 육성된다는 의미다. 재사용과 재활용 기술력을 갖춘 기업을 육성하는 한편 제도적·정책적 보완역시 병행해야 한다는 조언이 나온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