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 PF 정상화 펀드, 5개 사업장 집행…빠른 속도 이유는

머니투데이 황예림 기자 2024.03.26 09:43
글자크기
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및 임원이 기자 설명회에서 지난해 영업실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오화경 저축은행중앙회 회장 및 임원이 기자 설명회에서 지난해 영업실적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사진제공=저축은행중앙회


저축은행 업무 권역에서 자체적으로 조성한 부동산PF(프로젝트파이낸싱)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가 속도를 내고 있다. 330억원 규모의 1차 펀드는 최근 5개 사업장에 투자를 마쳤고 다음 달엔 760억원 상당의 2차 펀드가 추가로 가동된다. 재무적 투자자(FI)가 출자한 펀드와 달리 수익률보다 사업장 정상화에 중점을 둬 상대적으로 원활히 운용되는 모습이다.

26일 저축은행중앙회에 따르면 '저축은행 부동산PF 부실채권 정리 및 자체 정상화 지원 펀드'의 운용 자금 330억원은 최근 5개 사업장에 전액 집행됐다. 지난해 10월 결성 이후 5개월 만이다.



저축은행 정상화 펀드는 저축은행이 업계의 부동산PF 시장 연착륙을 지원할 목적으로 만든 펀드다. 1차 펀드의 운용 자금 330억원은 △저축은행중앙회 △부동산PF 잔액이 많은 대형 저축은행 3곳(OK·한국투자·웰컴) △금융지주 계열 저축은행 7곳(KB·신한·하나·우리금융·NH·IBK·BNK)이 출자했다. 저축은행끼리 결성한 자체 펀드이기 때문에 FI 등의 도움 없이 저축은행만 출자금을 댔다.

1차 펀드의 투자를 받은 5개 사업장 중 4개는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 소재다. 나머지 1개는 대전 대덕구 평촌동 소재다. 펀드는 채권을 매입하는 방식으로 수도권 4개 사업장에 자금을 집행했다. 4개 사업장에 PF대출을 내준 저축은행으로부터 채권을 매입한 것이다. 펀드가 채권을 사들이면서 기존 채권자였던 저축은행은 부실화된 PF대출을 털어내게 됐다.



대전 사업장엔 증액 대출 방식으로 펀드 자금을 투자했다. 펀드는 신규 채권자로 사업장의 대주단에 참가해 일시적으로 유동성을 불어넣었다. 증액 대출 과정에서 펀드는 사업장의 선순위 채권자가 되고 저축은행으로 꾸려진 기존 대주단은 후순위 채권자가 됐다. 펀드는 물류센터로 개발될 예정이었던 대전 사업장을 데이터센터로 재구조화하고 사업장을 정상화한다는 계획이다.

1차 펀드는 순조롭게 집행된 것으로 파악된다. 수익률에 기대가 큰 FI가 펀드에 자금을 대지 않았기 때문에 집행 과정에서 채권 등의 가격을 둘러싼 이견이 적었다. 현재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도 금융권의 부동산PF 정상화를 지원하기 위해 1조1050억원 규모의 펀드를 운용하고 있으나 지지부진한 상황이다. 이 펀드는 FI가 출자에 참여하고 있는데, 기존 채권 가격보다 크게 낮은 가격으로 매입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반면 저축은행 업무 권역에서 자체적으로 조성한 펀드는 예금 금리 정도의 수익률을 목표로 하고 채권을 사들였다.

저축은행중앙회는 다음 달 조성될 760억원 상당의 2차 펀드도 신속히 집행될 것으로 예상한다. 2차 펀드도 1차 펀드와 동일하게 저축은행만 출자에 나서서다. 이번엔 일부 대형 저축은행이 아닌 전체 저축은행이 펀드에 참여할 예정이다. 저축은행중앙회 고위 관계자는 "PF대출을 내준 저축은행을 살리는 것이 저축은행 정상화 펀드의 가장 중요한 존재 이유이기 때문에 1·2차 펀드는 최소한의 수익률만 추구한다"며 "시장에서 두 자릿수의 수익률을 요구하는 것과 대조적"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