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수첩] 인구가 고작 1만명 줄었을 뿐인데

머니투데이 안재용 기자 2024.02.05 06:19
글자크기

[the300]

최근 약 2주간 고향인 한 지방 도시에 머물 일이 있었다. 2주간 살펴본 고향은 학생 때인 20년 전과 크게 달라져 있었다. 지방이지만 오후 4~5시면 사람이 북적이던 시내 중심가는 걷는 사람조차 찾아보기 어려웠고 상가에는 공실이 눈에 띄었다. 결혼식장은 노인복지회관이나 장례식장, 요양병원 등으로 바뀌었고 약 20년간 영업하던 멀티플렉스 영화관은 폐업했다. 비교적 최근 생긴 영화관도 내부 수리 중이라 한시적이지만 영화를 볼 수 없는 도시가 돼 있었다.

놀라운 사실은 눈에 띄게 줄어든 활력에 비해 해당 도시의 인구는 생각보다 크게 줄어들지 않았다는 것이다. 현재 이 도시의 인구는 12만9000명대 후반을 기록하고 있다. 20년 전인 2004년 초에는 14만명 수준이었다. 20년간 인구가 불과 약 1만명(7%) 줄었을 뿐이지만, 고령화 때문인지 체감상의 변화는 매우 컸다.



통계청에 따르면 한국의 인구는 2020년 정점인 5184만명을 기록한 후 꾸준히 줄어들고 있다. 주민등록기준으로 지난달 말 한국의 인구는 5131만명이다. 4년 만에 약 50만명이 줄어들었다. 통계청이 지난해 7월 발표한 '장례 인구추계: 2022~2072년'에 따르면 우리나라 총인구는 2072년 3622만명까지 쪼그라들 전망이다. 2040년 초반에 5000만명선이 무너지고 4000만명대로 접어들 가능성이 크다.

통계청의 인구추계를 보며 '그래도 2040년까지는 괜찮겠네'라고 생각하는 것은 위험한 발상일 수 있다. 20년간 불과 1만명의 인구가 줄어들었을 뿐인 한 지방 도시의 현재 모습을 보면 한국의 인구가 100만명만 더 줄어도 영세 자영업자·소상공인 등 내수 관련 산업이 크게 어려워질 수 있음을 예상할 수 있다. 학령인구가 2022년 750만명에서 2040년 412만명으로 반토막나는 것을 고려하면 교육산업의 타격은 더 클 것이다.



그나마 다행인 점은 여야 모두가 4월 총선 주요 공약으로 저출생 문제 해결을 들고나왔다는 점이다. 법 자체를 바꿀 수 있는 국회가 저극적으로 움직여야 해결의 실마리라도 잡을 수 있다. 여야 모두 인구 위기를 해결할 수 있는 골든타임이 이제는 정말 얼마 남지 않았다는 인식을 가지고 파격적으로 대응해주길 기대한다.
안재용 기자 /사진=머니투데이안재용 기자 /사진=머니투데이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