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화 점찍은 美 필리조선소, 방산·해상풍력·LNG '삼박자'

머니투데이 이세연 기자, 김도현 기자 2023.10.10 05:15
글자크기
해상풍력설치선 철강 절단식 참석을 위해 지난 7월 필리조선소를 찾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세번째) /사진=필리조선소 홈페이지해상풍력설치선 철강 절단식 참석을 위해 지난 7월 필리조선소를 찾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왼쪽 세번째) /사진=필리조선소 홈페이지


한화오션 (32,500원 ▼100 -0.31%)이 필리조선소 인수를 추진하는 주된 이유는 방산 이다. 미국은 연 500조원 규모의 세계 최대 방산 시장으로, 미국시장 안착은 곧 글로벌 경쟁력 제고로 이어진다. 해상풍력·액화천연가스(LNG) 등 신사업 추진을 위해서도 현지 조선소 확보는 필수적이다.

9일 머니투데이 취재를 종합하면 한화는 가장 관심이 컸던 특수선사업 외에도 계열사와의 해상풍력·LNG 시너지가 충분하리라 판단하고 대우조선해양을 인수해 한화오션을 출범시켰다. 미국 조선소 인수는 당시 수립한 청사진을 이행하는 첫 단추로 풀이된다.



현재 필리조선소는 2020년 미국 해사청(MARAD)으로부터 수주한 국가안보 다중임무선박(NSMV) 5척을 건조하고 있다. 미국 정부는 1960년대 보급된 해양생도 훈련선박을 차세대 선종으로 교체하는 작업을 진행하는 데 이를 필리조선소가 맡게 됐다. 첫 선박인 엠파이어스테이트호가 뉴욕주립해양대학으로 인도됐고 잔여 선박도 순차적으로 건조될 예정이다.

해군 수송함의 수리·개조 사업도 필리조선소의 핵심 사업 영역이다. 미 해군의 연간 유지보수정비(MRO) 예산은 18조원 규모다. 한화오션은 출범 당시 해외 유지보수정비(MRO) 전담 조직을 신설하고 관련 역량을 강화하고 있다. 필리조선소가 보유한 네트워크 역량을 활용한다면 한화오션뿐 아니라 한화에어로스페이스·한화시스템 등의 북미시장 연착륙에도 적잖은 도움이 된다. 이를 통해 캐나다를 포함한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내에서 한화 위상도 높아지게 된다.



한화 점찍은 美 필리조선소, 방산·해상풍력·LNG '삼박자'
필리조선소는 한화오션이 꿈꾸는 대서양을 무대로 한 해상풍력 사업을 펼치기에도 적합하다. 필리조선소는 중·소형 컨테이너선과 유조선을 주로 취급하다 고수익 선종으로의 변화를 꾀하는 중이다. 2021년 자국 기업으로부터 1억9700만달러 규모의 해상풍력설치선 수주에 성공한 바 있다. 첫 선박의 건조 결과에 따라 1척을 추가하는 옵션계약이 포함돼 있어 최대 3억8200만달러의 수주고를 올릴 수 있다.

필리조선소의 해상풍력설치선 수주는 이번이 처음이다. 미국 연안에서 사업하기 위해선 역내에서 일정 수준 이상 건조·조립해야 한다는 연안무역법(Jones Act)이 있었기에 가능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7월 필리조선소에서 열린 신규 해상풍력설치선 철강 절단식에 참석했을 정도로 정부 관심도 높다. 미국은 2030년까지 해상풍력 발전량 30GWh 보급을 목표로 한다. 한화오션의 기술력이 더해진다면 압도적인 수주경쟁력이 예상된다. 한화는 올 초 미국 조선소 인수의 주된 이유로 해상풍력설치선 건조를 꼽은 바 있다.

한화는 미국서 생산된 LNG를 유럽에 공급하는 사업을 구상한다. ([단독]대우조선 품은 한화, 유럽 LNG 공급 사업 추진 참고)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발발 후 미국에서 유럽으로 수출하는 LNG 물량이 증가하기 때문이다. 미국 현지에서는 LNG 수출 물량이 많아지면서 LNG운반선에도 연안무역법이 적용돼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졌다. 미국에는 LNG운반선 건조능력을 지닌 조선사가 전무하다. 필리조선소 노조는 2019년부터 회사 경쟁력 강화를 위해 LNG운반선 기술 확보를 요구해왔다.


한 조선사 관계자는 "단순 선박 건조는 국내 조선소를 활용하는 것이 가장 효율적일 것"이라면서 "방산 등 다양한 사업적 시너지를 기대할 수 있기 때문에 한화오션이 미국 진출을 감행할 수 있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