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한복판 수류탄 '펑'…북파공작원들, 왜 北 아닌 정부에 총 겨눴나[뉴스속오늘]

머니투데이 채태병 기자 2023.08.23 05:30
글자크기

편집자주 뉴스를 통해 우리를 웃고 울렸던 어제의 오늘을 다시 만나봅니다.

실미도 사건 유가족이 공개한 684부대 소속 병사 및 간부들의 단체 사진. /사진=실미도유족회실미도 사건 유가족이 공개한 684부대 소속 병사 및 간부들의 단체 사진. /사진=실미도유족회


1971년 8월 23일 오전 6시께 경기 부천군(현 인천 중구) 실미도에서 훈련을 받던 공군 소속 684부대 북파공작원 24명은 교관 및 기간병들을 살해하고 부대를 이탈했다.

북파공작원들은 섬에서 빠져나와 낮 12시께 인천에 무장한 상태로 상륙했다. 육군 해안 경계 부대를 뚫어낸 이들은 인천과 수원을 오가는 버스를 탈취, 서울 영등포를 지나 청와대로 돌격하고자 했다.



이 과정에서 북파공작원들은 군인, 경찰들과 총격전을 벌이기도 했다. 이들은 결국 서울 동작구 대방동 거리에서 진압 병력에게 포위됐다. 더 이상 나아갈 수 없다는 걸 깨달은 북파공작원들은 오후 2시20분께 버스 안에서 수류탄을 터뜨렸다.

실미도에서 숨진 1명을 제외하고 버스 안에는 23명의 북파공작원이 타고 있었다. 수류탄 자폭으로 이들 중 19명이 현장에서 사망했고, 4명은 큰 부상을 입고 체포됐다.



살아남은 4명의 북파공작원은 1972년 1월 군사 재판에서 사형 판결을 받았고, 같은해 3월 모두 총살됐다. 이들의 장례 절차는 진행되지 않았고, 시신조차 암매장됐다.

北 향했어야 할 총구…우리 정부를 겨눈 이유
1971년 8월23일 실미도 사건의 현장 모습. /사진=SBS 시사·교양 '그것이 알고 싶다'1971년 8월23일 실미도 사건의 현장 모습. /사진=SBS 시사·교양 '그것이 알고 싶다'
684부대는 김일성 등 당시 북한의 주요 인물을 암살하거나, 대한민국에 대한 북한의 도발이 발생할 경우 보복 행위에 나서는 임무를 수행하고자 창설됐다.


1968년 1월 21일 발생한 김신조 사건이 684부대 창설의 기폭제가 됐다. 당시 북한은 김신조 등 31명을 남파해 박정희 대통령을 암살하려고 시도한 바 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684부대의 진짜 창설 목적은 따로 있었다고 봤다. 청와대 인근까지 북한 무장 공비가 침투한 김신조 사건으로 분노한 박정희 대통령에게 보여주기 위한 행동이었다는 것이다.



실제로 684부대는 1969년 북한 침투를 위해 백령도에서 대기하기도 했다. 하지만 약 1개월의 대기 끝에 침투 작전을 철회했다. 전문가들은 당시 군이 북파공작원을 양성하긴 했지만, 정말로 북한에 투입하는 것은 부담스러웠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역사학자 심용환은 한 방송에서 실미도를 찾아 "1969년 국제적으로 (남과 북이) 화해 무드에 접어들고, 국내에선 중앙정보부장이 김형욱에서 김계원으로 교체됐다"며 "또 대통령은 유신 체제로의 변화를 원했기 때문에 북한과의 무력 충돌은 불필요했을 것"이라고 했다.

작전에 투입되지 않는 북파공작원들은 군 내에서 위험 요소로 취급됐다. 처음에는 부대 예산과 봉급이 줄었고, 시간이 흐르면서 음식 배급마저 제때 이뤄지지 않았다. 심지어 보안 유지를 위해 필요가 없어진 북파공작원들을 제거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오기도 했다.



북파공작원들도 자신을 둘러싼 흉흉한 소문을 듣게 됐고, 크고 작은 불만이 쌓여 "박정희 대통령을 만나 담판을 짓자"라는 여론이 형성됐다. 사형 선고를 받은 4명 중 이서천 대원은 "국가를 위해 싸우지 못하고, 국민에게 손가락질 받으며 죽는 게 억울하다"고 유언을 남기기도 했다.

40여년 흐른 뒤에야 비로소 찾은 안식
2017년 8월23일 경기 고양시 벽제 군 제7지구 봉안소에서 故 실미도 부대원 합동 봉안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뉴스12017년 8월23일 경기 고양시 벽제 군 제7지구 봉안소에서 故 실미도 부대원 합동 봉안식이 열리고 있다. /사진=뉴스1
정부는 실미도 사건에 대해 "무장 공비의 소행이었다"라는 초기 발표를 내놨다. 하지만 신민당 소속 제8대 국회의 이세규 의원이 684부대 정보를 입수해 폭로, 이 사건의 전말이 드러났다.

이세규 의원은 육군사관학교 7기, 예비역 준장 출신이었다. 결국 정부는 하루 만에 발표 내용을 수정했다. 해당 사건으로 박정희 정부의 눈 밖에 난 이세규 의원은 유신 선포 이후 체포돼 모진 고문을 당했다.



진실이 밝혀진 뒤에도 실미도 사건과 684부대는 금기의 영역으로 남았다. 이후 1999년 소설 '실미도' 발간과 2003년 영화 '실미도' 개봉으로 재조명되기 시작했다. 영화 실미도는 한국 영화 역사상 최초로 '천만 관객'을 돌파했다.

실미도 사건이 일어난 지 46년 만인 2017년 8월 23일, 사망자들을 위한 합동 봉안식이 진행됐다. 반세기에 가까운 시간이 흐른 뒤에야 사망자들이 안식을 찾게 된 셈이다.

2020년 12월 '2기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 정리위원회'가 출범했다. 위원회는 2021년 5월부터 실미도 사건에 대한 진상 조사에 나섰고, 지난해 11월 실미도 사건 사망자의 유해 암매장 사건에 국방부가 책임이 있다고 했다.



이에 위원회는 "국방부와 공군은 과거 사형 집행 후 암매장된 4명의 유해 발굴을 시행해야 한다"고 권고했다. 국방부는 올해 5월 위원회 권고를 받아들여 유해 발굴 착수 입장을 밝혔다.

/사진=영화 '실미도' 공식 포스터/사진=영화 '실미도' 공식 포스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