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獨·日 장악한 '자기센서칩' 국산화 성공…해외진출 추진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3.03.21 09:20
글자크기

DGIST(원천기술)-㈜EV첨단소재(모듈양산)-㈜광우(제품제작) 협업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EV첨단소재, 광우와 마이크로자기센서 양산·제품화를 위한 MOU(업무협약)을 맺었다/사진=DGIST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EV첨단소재, 광우와 마이크로자기센서 양산·제품화를 위한 MOU(업무협약)을 맺었다/사진=DGIST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이 EV첨단소재, 광우와 마이크로자기센서 양산·제품화를 위한 MOU(업무협약)을 맺었다고 21일 밝혔다.



이번 MOU는 DGIST의 원천기술과 EV첨단소재의 상용센서 공급, 광우의 제품 적용으로 국산화 기술로 제작된 마이크로 자기저항 센서의 해외시장 진출을 목적으로 마련됐다.

마이크로자기저항 센서는 전기자동차, 전류 제어, 내비게이션, 엔코더 및 바이오 진단 분야에 사용되고 있다.



1990년대부터 전 세계에서 '스핀트로닉스 고감도 자기저항 센서'를 경쟁적으로 개발했고 현재는 독일, 일본, 미국 업체에서 독점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이번 협약을 통해 마이크로자기저항 센서를 국내 기술로 개발·생산하게 되면서 해외 기업이 독점 중인 글로벌 시장에서 경쟁력을 갖추게 됐다.

이번 협약식의 배경이 된 기술은 DGIST 자성기반라이프케어연구센터에서 개발한 '자성다층박막 평면 홀 자기저항 기술'로, 미세 자기장 측정 감도를 향상시키기 위해 다층간 교환결합 조절 방법을 활용한 기술이다.


EV첨단소재는 해당 기술의 국내외 특허를 보유하고 있는 김철기 교수로부터 2020년에 관련 기술을 이전받았다.

이후 산업통상자원부로부터 4년간 96억원의 후속연구개발 지원을 받고 김철기 교수의 자문을 통해 성서 공단 내 '자성 다층박막 증착 장비 및 마이크로 소자 제조공정' 생산 설비를 구축했다. 이를 활용해 마이크로 자기센서 모델 제품 개발에 성공했다.

그리고광우에서 해당 센서를 장착한 엔코더 모듈을 제작하고 작년 하반기에 성능평가를 통과, 마이크로자기저항 센서 및 응용 제품 국산화에 성공했다.

DGIST 관계자는 "수입에 의존하던 엔코더 모듈 생산을 국내 기술로 제작할 수 있게 됐고, 성능과 가격 경쟁력을 모두 갖춘 제품으로 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발판을 마련하게 됐다"고 말했다.

DGIST 김철기 교수는 "자기센서의 국산화 성공은 90년대 후반부터 한국에서 1000억 이상 투입된 스핀트로닉스 연구의 첫 번째 결실"이라며 "국내 자동차, 내비게이션, 각종 전자 제품 생산을 위해 전량 수입에 의존하던 고감도 자기센서 모듈을 앞으로는 국산화 모듈로 활용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또 "향후 성능과 가격 경쟁력으로 23.8억 달러 규모(2020년 기준, 연 성장률 6.51%)의 해외 센서 시장 진출의 초석이 될 것"고 덧붙였다.

EV첨단소재 김태완 개발본부장은 "고감도 자기 센서 국산화에 성공한 만큼 향후 글로벌 시장에서 연 30억개 이상의 수요를 가진 전기자동차, 로봇, 항공 분야 등에 적용 범위를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광우 어웅선 사장은 "이번에 개발한 제품은 CNC공작기계, 밀링머신, 드릴링머신, 그라인딩머신 등에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면서 "향후 초정밀 가공이 요구되는 로봇, 국방, 의료 등에 개발된 엔코더 적용이 가능해 고부가가치 산업분야에서 국가 경쟁력 확보에 일조할 수 있는 전기 전자 핵심부품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