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점휴업 상태의 기업이 포함됐다거나 벤처투자 혹한기 상황에서 기업가치가 떨어진 상황을 반영하지 못한다는 지적은 제쳐두고라도 양적 기준에서 유니콘 증가는 경제위기 상황을 뚫고 분명 소기의 성과를 냈다고 평가할 수 있다.
새롭게 유니콘에 등극한 곳 중 모바일게임을 개발하는 한 곳을 제외하곤 분야만 다를 뿐 모두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다. 이들을 포함한 국내 유니콘 22개사의 대다수가 B2C(소비자 대상) 플랫폼기업이다.
최근 이목이 집중된 인공지능이나 우주, 생명공학, 딥테크(첨단기술) 같은 기술 기반 기업은 찾아볼 수 없다. 내수 B2C 시장을 중심으로 한 '우물 안 개구리'로는 성장 잠재력에 한계가 있다.
하지만 벤처투자 시장이 얼어붙으면서 스타트업의 '성공방정식'은 완전히 달라졌다. 유동성이 넘치던 시기에 거액을 투자받아 외형성장에 집중한 플랫폼 스타트업이 가장 빠르게 생존의 위기에 직면했다.
정부는 그동안 유니콘의 수에만 치중한 경향이 있었다. 올해 '초격차 창업기업 1000+ 프로젝트' 등 세계 시장진출 가능성이 높은 곳을 집중발굴해 유니콘의 다변화에 나서기로 한 것은 늦었지만 잘한 일이다.
이 시각 인기 뉴스
단순히 유니콘을 늘리는데 그치지 않고 기술창업이 활발해지는 여건을 조성해 올해는 세계에서 경쟁력 있는 'K유니콘'이 다수 탄생하기를 기대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