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니콘 '리디' 창업멤버 4인방, 레몬베이스 재창업

흥미로운 건 10년전인 2013년 리디에 처음 투자하기 시작해 프리IPO까지 8차례 투자하며 유니콘(기업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을 만드는데 일조했던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이번 레몬베이스의 시리즈A 투자를 주도했다는 것이다. 앞서 시드 투자에도 62억원의 뭉칫돈이 몰렸는데 당시 투자에 참여했던 카카오벤처스, 본엔젤스벤처파트너스가 이번 시리즈A 투자에도 참여했다. 레몬베이스의 누적 투자유치금은 총 140억원이다.
홍민선 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 심사역은 "리디에 투자했던 김제욱 부사장이 리디 초기멤버인 권민석 대표, 현정환 이사와 10년간 인연을 이어오다가 다시 투자 기회로 이어졌다"고 밝혔다.
"압도적으로 잘하는 SaaS 기업에 투자할 기회 얻었다"에이티넘인베스트먼트가 투자를 결정한 것은 단순히 10년간 알고 지낸 창업자들에 대한 강한 신뢰 때문만은 아니다. 홍 심사역은 "전세계적으로 인사평가 시장의 트렌드가 상사 중심의 일방적 평가에서 다면평가 방식으로 빠르게 변화하고 있는데, 해당 분야에선 레몬베이스가 국내에서 압도적으로 잘 하고 있어 투자를 결정한 것"이라고 말했다. 레몬베이스가 경쟁사들 대비 고객사를 많이 확보한 것도 이런 배경에서라고 설명했다.
실제 레몬베이스가 2020년 4월 서비스 출시 후 약 3년간 카카오엔터테인먼트 비상장 (640,000원 0.00%), 카카오모빌리티 비상장 (16,100원 ▲200 +1.26%), 우아한형제들, 쏘카 (12,120원 ▲190 +1.59%), 마이리얼트립 비상장, 메가존클라우드, 아이지에이웍스 비상장 (10,850원 0.00%), 핑크퐁, 오늘의집, 컴투스 (44,700원 ▲900 +2.05%) 등 빠르게 성장하는 테크기업들은 물론 롯데제과 (109,200원 ▼2,500 -2.24%), 사람인, 롯데백화점, 한화생명 (2,855원 ▼35 -1.21%) 등 다양한 산업에서 2000여개 기업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면서 "HR SasS의 특성상 기업의 인사 제도·프로세스와 데이터가 통합됐기 때문에 이 자체로 진입장벽이 높고, 고객사가 증가할수록 제품이 개선·고도화되는 특징도 매력적"이라고 덧붙였다.
홍 심사역은 레몬베이스가 경쟁력 있는 HR SasS를 선보일 수 있었던 것은 공동 창업자들이 리디를 운영하면서 HR의 중요성과 페인포인트(pain point·불편함을 느끼는 지점)를 잘 알고 있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레몬베이스가 운영 중인 피플 사이언스(People Science)팀도 차별화된 경쟁력으로 꼽았다. 홍 심사역은 "다른 회사에는 없는 조직으로, 현재 블로그, 뉴스레터 등을 통해 지속적으로 인사담당자들을 위한 콘텐츠를 기획·생산하며 레몬베이스의 인지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했다.
그는 또 "레몬베이스가 현재 리뷰·목표·피드백 등 성과관리('Performance') 기능만 출시했지만 향후 기업들이 최상의 업무환경을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HR테크기업으로 성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머니투데이 스타트업 미디어 플랫폼 '유니콘팩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