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직격탄 맞은 지역관광..강원 양양·속초·고성만 비껴간 이유는

머니투데이 유승목 기자 2023.01.04 16:35
글자크기

전국 지자체 지역관광발전지수↓..코로나19 여파에 지역 특색 담은 관광콘텐츠 부족으로 질적 하락

지난 1일 오전 관광객들이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천 2023 평창송어축제 얼음 낚시터에서 추위를 잊은 채 송어 낚시 삼매경에 빠져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개최하지 못했고 이번에 3년 만에 대면 행사로 겨울축제의 문을 열었다. /사진=뉴시스지난 1일 오전 관광객들이 강원 평창군 진부면 오대천 2023 평창송어축제 얼음 낚시터에서 추위를 잊은 채 송어 낚시 삼매경에 빠져들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 사태로 2021년부터 2022년까지 개최하지 못했고 이번에 3년 만에 대면 행사로 겨울축제의 문을 열었다. /사진=뉴시스


정부가 '굴뚝 없는 산업'으로 불리는 관광을 지역소멸·인구위기에 대응하는 해법 중 하나로 제시하고 지역관광 활성화 로드맵을 제시했지만 정작 지역 관광생태계 체질개선부터 필요하단 우려가 나온다. 지역의 관광 발전 정도를 판단하는 '지역관광발전지수' 조사 결과 지자체 관광수준이 하락했기 때문이다. 관광전문가들은 지역의 특색을 고려한 여행콘텐츠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한다.

4일 문화체육관광부와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하 연구원)이 전날(3일) 발표한 '2021 지역관광발전지수 동향'을 살펴보면 국내 광역지자체의 관광발전지수가 89.89점으로 직전 조사(91.44점) 대비 하락했다. 기초지자체도 88.89점에서 88.38점으로 떨어졌다.



문체부와 연구원은 2015년부터 2년 주기로 전국 17개 시·도와 152개 시·군을 대상으로 한 지역관광발전지수를 조사해 공개하고 있다. 지역 관광자원·인프라 수준과 관광객 수, 지자체 정책 등을 종합 분석한 진단자료로 지자체의 체계적인 관광정책 수립을 위한 것이다. 2015년부터 광역·기초 지차제 모두 가파른 상승세를 보여온 지역관광발전지수는 4번째인 이번 조사에서 처음으로 고꾸라졌다. 국내 지역 관광수준 전반이 악화됐단 얘기다.

이번 조사에서 관광발전지수 1등급을 받은 광역지자체는 강원과 제주도 두 곳에 불과하다. 2019년 조사에서 1등급에 올랐던 경기·경북·전남 모두 아래로 밀렸다. 1등급은 관광활동을 하기에 편리한 여건을 갖추고 방문이 활발한 곳을 뜻하는데, 강원·제주를 제외한 모든 광역지자체가 발전 노력이 필요한 곳으로 하락한 것이다.
코로나 직격탄 맞은 지역관광..강원 양양·속초·고성만 비껴간 이유는
특히 전남의 등급하락이 눈에 띈다. 여수·순천 등 유명 관광도시가 속한 서남해안 관광벨트의 중심으로 적지 않은 투자가 이뤄졌는데도 1등급에서 탈락했다. 기초지자체 차원에서도 여수만 2019년 조사에 이어 1등급을 지켰을 뿐 순천시는 빠졌다. 강원도의 속초·양양·고성이 새롭게 1등급에 진입한 것과 대비된다.



코로나19 여파로 관광사업이 '올스톱'되고, 지역 편중현상도 심화되면서 지역관광 전반의 질적 악화를 초래한 셈이다. 해외여행 대체재로 주목받은 제주도는 지난해 내국인 만으로 입도객 1359만명을 찍으면서 역대 최다를 기록했고, 강원도 역시 지난해 11월까지 1억4298만명이 방문하는 등 호황을 누린 반면 다른 지자체들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관광객이 증발했다. 지역마다 자랑하는 축제들이 모두 취소·연기된데다 고강도 거리두기 정책에 지자체들도 관광 홍보를 최소화했기 때문이다.

문체부 관계자는 "광역지자체는 홍보정책과 교통, 관광축제 등에서 발전지수가 하락했고, 기초지자체도 관광정책사업과 관광축제 등의 항목에서 저조한 평가를 받았다"면서 "코로나19 사태와 장기화가 지역 관광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코로나 직격탄 맞은 지역관광..강원 양양·속초·고성만 비껴간 이유는
지역 관광콘텐츠 부재도 문제점으로 지적됐다. 이번 조사에서 1등급에 오른 양양이 반면교사 지역으로 주목을 받은 이유다. 서핑의 메카로 뜨면서 지역에서도 관련 인프라 확충에 집중하는 선순환이 이뤄지면서 유입 인구가 늘어난게 등급 향상을 이끌었다. 반면 다른 지역의 경우 내세울 만한 관광콘텐츠가 부족하고 지역축제도 차별화가 없어 상대적으로 매력이 떨어졌단 분석이 제기된다.

장호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관광학과 교수는 "지역의 관광개발은 대부분 똑같은 형식의 계획을 세운다"면서 "친환경 사업이라고 하면 모든 지역이 특성이나 자원을 고려하지 않고 전기자동차·자전거 등 친환경 모빌리티(이동수단)를 천편일률적으로 포함한다"고 말했다.


결국 맞춤형 지역관광 콘텐츠에 대한 고민이 부족하단 설명이다. 워케이션(휴가와 일의 병행)과 생활관광, 야간관광 등 체류형 관광모델 확산으로 외부에서 특정 지역을 자주 찾는 관계인구를 조성해 지역경제에 활력을 불어넣겠단 정부 구상에 차질이 빚어질 수 있단 우려다. 지역의 한 관광업계 관계자는 "지역주민이 참여하거나 특색있는 관광콘텐츠가 없다보니 굳이 여행을 와도 오래 머무를 이유가 없다"고 아쉬워했다.

이와 관련해 문체부는 관광거점도시 확대와 민관거버넌스 중심의 지역 주도형 관광개발 정책 등을 통해 지역 관광산업 수준을 끌어올린단 계획이다. 장 교수는 "관광 활성화 지역을 위한 적절한 지원이 필요하다"면서 "지역 인재와 이를 활용할 수 있는 조직, 사업체가 제대로 없다면 지역관광 활성화는 요원한 길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