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안펀드 검토, 채권 시장 '급한 불' 끄는 당국..."강력한 카드 필요"

머니투데이 정혜윤 기자 2022.10.19 10:04
글자크기
/사진제공=하나증권/사진제공=하나증권


채권시장 혼란 속에 나온 정책당국의 시장 안정화 조치가 시의적절했지만, 아직 부족하단 의견이 잇따른다. 건전성과 관련된 부동산 PF(프로젝트파이낸싱) 우려가 유동성 문제로 전이된 만큼 유사시에 쓸 수 있는 카드에 대해 충분히 준비해놓을 필요가 있단 의견이다.

지난달 말 지자체 보증 자산유동화기업어음(ABCP)에 대한 보증 채무 미상환 사태로 단기 신용채권시장의 차환리스크가 본격적으로 수면위에 떠올랐다.



김상만 하나증권 연구원은 19일 "사실 PF 유동화증권이 일차적으로 해당 사업장에 대한 담보대출을 금융투자자들에게 유동화시키는 과정에서 이차적으로 시공사나 증권사의 책임준공 내지 매입약정 등의 신용 보강이 가미된, 이중적인 담보가 개입된 금융상품"이라고 정의했다.

하지만 김 연구원은 "실제로 해당 프로젝트의 사업성이나 담보가치에 대해 큰 의미를 두지 않고 시공사나 증권사, 나아가 지자체 등의 신용보강에 의존한 사업생태계가 유지될 수 있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즉 PF ABCP는 실제로는 PF GBCP(Guarantee-Backed Commercial Paper)였던 것"이라고 부연했다.



부동산 PF와 관련해 금융시장에서 우려하는 포인트는 부동산 경기둔화가 장기화할 경우 자산들이 부실화돼 금융사들의 자산건전성이 훼손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 같은 건전성에 대한 우려가 관련 자산, 상품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지면서 차환이 원활히 이뤄지지 못하는 유동성 문제로 전이가 되고 있다.

그는 "현재 건전성이 문제가 안 되는 상태라고 해도 유동성 문제가 불거지면 건전했던 건전성도 더 이상 건전하지 못하게 되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책당국에서는 회사채 시장 안정화 방안 규모를 확충하고 필요시 채권안정펀드를 재가동하는 걸 검토하고 있다. 김 연구원은 "시장안정화조치가 시장의 큰 물줄기를 돌리지는 못하겠지만 유사시 금융 안전판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필요하고 시의적절했다"고 평가했다.


그러나 "아직 충분하다고 볼 수 없다"고 분석했다. 그는 "금리상승, 달러 강세 등 대외적인 금융시장 여건이 심상치 않다"며 "지금 상황이 그렇게까지 급박하지 않아도 유사시 쓸 수 있는 카드에 대해 충분히 준비해 놓을 필요가 있다"고 했다.

그는 "오히려 지원이 안 돼 유동성 문제가 확대될 경우 부동산, 가계부채 문제가 현실화하면서 거시건전성 관리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비칠 가능성이 더 크다"며 "외양간에 불이 나면 물 호스로 끄려고 할 게 아니라 초기에 물탱크를 터뜨려서 압도적인 수력으로 문제를 무력화시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화재 원인 규명은 차후의 일"이라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