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도 본격 하락장"…노원·도봉·강북 아파트값 2억원 뚝

머니투데이 유엄식 기자 2022.09.24 08:30
글자크기
서울 노원구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제공=노원구청서울 노원구 아파트 단지 전경. /사진제공=노원구청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3회 연속 '빅스텝'(0.75%포인트 금리인상)을 단행하는 등 금리인상이 예상보다 커지면서 서울 아파트도 본격적인 시세 하락장에 돌입한 모습이다.

추석을 낀 지난 2주 간 서울 25개 자치구 아파트 가격이 평균 0.2% 이상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중저가 소형 아파트가 밀집한 노도강(노원·도봉·강북) 지역은 다른 자치구보다 낙폭이 2배 이상 컸다. 일부 단지에선 직전 거래가보다 2억원 이상 내린 거래가 성사됐다.



서울 아파트값 추석 낀 2주간 0.22% 하락...도봉구 0.81% 급락
23일 KB국민은행이 발표한 주간 주택시장 동향 통계에 띠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은 추석 이전인 2주 전과 비교해 평균 0.22% 하락했다.

자치구별 시세 하락율을 보면 도봉구가 0.81% 떨어져 가장 낙폭이 컸다. 이어 노원구(-0.52%) 강북구(-0.37%) 등도 아파트값이 상대적으로 많이 떨어졌다. 강동구(-0.33%) 강서구(-0.33%) 성북구(-0.27%) 동작구(-0.25%) 등도 평균 하락률보다 더 내린 지역으로 조사됐다.



도봉구 창동 '북한산아이파크5차' 전용 84㎡(7층)는 지난 7월 말 9억4000만원에 실거래 등록됐다. 지난해 9월 거래된 동일 면적 신고가 12억원보다 2억6000만원 내린 가격이다.

강북구 미아동 '삼성래미안트리베라2단지' 전용 59㎡(4층)은 8월 말 7억2000만원에 매매됐다. 올해 6월 거래가보다 1억원, 지난해 9월 거래가보다 1억6000만원 각각 하락한 금액이다.

"서울도 본격 하락장"…노원·도봉·강북 아파트값 2억원 뚝
금리인상 여파로 매수심리가 크게 위축된 탓에 절세 목적으로 처분하려는 시세보다 많이 내린 급매물이나 상대적으로 매물이 많은 대단지 외에는 거래가 잘 성사되지 않고 있다는 게 주변 공인중개소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도 동반 하락하는 추세다. 지난 2주간 평균 하락율은 0.18%로 집계됐다. 양천구(-0.49%) 강동구(-0.45%) 송파구(-0.40%) 강남구(-0.31%) 등의 아파트 전셋값 낙폭이 컸다.

양천구 한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겨울방학 이사를 위한 문의가 조금 있지만 거래는 여전히 부진하다"며 "수리가 잘 된 급전세 물건 위주로만 계약이 되고 있으며 이번 주에는 목동 단지들의 전세가격이 약세를 보였다"고 말했다.

수도권, 지방 광역시 아파트값도 출렁…수원 영통구 아파트값 2주 만에 1.92%↓
수도권과 지방 대도시 아파트도 매매, 전월세 시장이 침체된 모습이다.

경기도는 2주 전과 비교해 아파트 매매가격은 0.36%, 전세가격은 0.34% 각각 하락했다. 같은 기간 인천 아파트 매매가격은 0.27%, 전세가격은 0.24% 떨어졌다.

경기도에선 입주 물량이 많은 수원 영통구가 1.92% 떨어져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남양주(-0.74%) 광명(-0.68%) 안성(-0.67%) 안양(-0.58%) 오산(-0.54%) 군포(-0.49%) 등도 아파트값이 많이 내렸다.
"서울도 본격 하락장"…노원·도봉·강북 아파트값 2억원 뚝
인천을 제외한 5대 광역시 아파트값은 2주 동안 0.18% 하락했다. 대구가 0.35% 떨어져 낙폭이 가장 컸고 대전(-0.21%) 부산(-0.12%) 광주(-0.08%) 울산(-0.07%) 순으로 매매가격이 약세를 나타냈다.

5대 광역시 아파트 전세값 하락율은 0.14%로 집계됐다. 대구가 0.34% 내렸고 대전(-0.14%) 부산(-0.07%) 울산(-0.06%) 광주(-0.05%) 등도 아파트 전셋값이 동반 하락했다.

집을 새로 사려는 사람보다 보유한 주택을 팔려는 사람이 확연히 많다. 매수자와 매도자 비중을 나타내는 매수우위지수는 21.7로 지난 조사(21.9)보다 더 낮아졌다. 이 지표는 100을 기준으로 수치가 낮을수록 매도자 비중이 많다는 의미다.

지역별 매수우위지수를 보면 서울(23.8)을 비롯해 경기(16.7) 인천(11.8) 5대 광역시(13.2) 등 대부분의 지역에서 역대 가장 낮은 수준을 기록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