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기부는 4일 154개 과제에 총 194억원을 지원하며 선정된 과제들에 최대 2년간 5억~6억원을 지원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중기부는 우선 2차전지 분야에선 △활성화 공정용 충·방전 장비 △소재 가공용 정밀 레이저 가공기 △박막 표면처리용 롤투롤(Roll to Roll:양·음극 기판, 동박 등을 회전 롤에 감으면서 소정의 물질을 도포, 압축하는 장비) 장비 등 제조장비 △폐배터리 소재 재활용기술 △전해액 첨가제 합성기술 △고순도 양극안정제 공정기술과 같은 소재·공정개발 관련 총 8개 과제를 선정했다.
첨단로봇 분야에선 로봇산업의 고도화와 첨단제조기술 확보를 위해 △제조업 작업자 지원 협동로봇 △관로 안전점검용 이동로봇 등 제조 첨단로봇과 △다기능 복합 물류 관리 로봇 △인공지능(AI)기반 사물 부착형 이동로봇 등 서비스 로봇 개발을 위한 7개 과제가 선정됐다.
또 미래차 분야에선 △전기차용 인버터 전류 센서 △레이더 센서 사후정비 기술 등 센서관련 과제 △전기차 모터용 축전압 저감 장치 △다기능 주거용 전기차 충전기 등 보급·인프라 관련 7개 과제가 선정됐다.
중기부는 선정된 과제를 대상으로 8월 중 신속히 협약을 체결해 과제 수행을 위한 연구비를 빠르게 지원하고 선정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연구개발 수행계획, 연구비 계상 및 집행, 연구윤리 등 과제 수행을 위한 기본지침 안내도 병행할 계획이다.
윤석배 중기부 기술개발과장은 "국내 중소·벤처기업들이 글로벌 시장에서 독보적 기술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지속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라며 "2차전지, 첨단로봇 등 미래 유망분야에서 잠재력 있는 중소·벤처기업들도 적극 발굴해 육성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향후 중소기업의 자율적이고 창의적인 연구 활동이 가능하도록 사업비 집행 자율성과 부담 최소화를 위한 제도개선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