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년새 이자 113만원 늘었다…물가잡기 '빅스텝'에 금리쇼크(종합)

머니투데이 오상헌 기자 2022.07.13 14:36
글자크기

6% 물가에 한은 0.5%p 기준금리 올려 대출금리 더 오를듯
지난해 8월 이후 기준금리 1.75%p↑ 가계이자 24조원 불어
한은 총재 "연말 3.0% 기대 합리적" 인당 이자 161만원 ↑

(서울=뉴스1)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2.5.26/뉴스1  (서울=뉴스1)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6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통화정책방향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2.5.26/뉴스1


한국은행이 사상 초유의 '빅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5%포인트 인상)에 나서면서 다중채무 가계와 한계기업, 자영업자 등 취약계층의 빚 상환 부담이 더 커질 전망이다. 지난해 8월부터 11개월 사이 기준금리가 1.75%포인트(연 0.50→2.25%) 오르면서 늘어난 가계의 이자 부담만 24조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추산된다. 기준금리가 연말 3.00%까지 오르면 가계가 1년 남짓 만에 추가로 내야 하는 이자는 33조원 이상 불어난다.

가계 빚 1752조, 이자 24조 늘어, 1인당 113만원 ↑
13일 한국은행에 따르면, 지난 3월 말 기준 판매신용을 합한 가계신용 규모는 1859조 4000억원으로 이 중 가계대출 잔액은 1752조7000억원이다. 금리 인상 위험에 고스란히 노출된 변동금리 대출 비중이 77%(잔액 기준)에 달한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가 이날 사상 처음으로 기준금리를 연 1.75%에서 2.25%로 한 번에 0.50%p 인상하는 '빅스텝'에 나서면서 취약차주들의 원리금 상환 부담과 대출 건전성 악화 우려가 더 커질 것으로 보인다.



대출금리가 기준금리와 동일하게 오른다고 가정하면, 0.25%p만 금리가 올라도 가계의 추가 이자부담액은 3조3739억원 규모로 추산된다. 이번 인상분(0.50%p)을 반영하면 6조7478억원 수준이다. 차주(대출자) 1인이 부담하는 연간 이자도 32만1000원 가량 늘어난다. 지난해 8월 이후 이달까지 여섯 차례 금리 인상(1.75%p)으로 늘어난 가계의 연간 이자부담액은 모두 23조 6173억원(차주 1인당 112만7000원)에 이른다.

한은이 연말까지 두 세 번 더 올려 기준금리가 연 3.00%에 도달하면 가계 이자부담액은 33조7390억원(차주 1인당 161만원)으로 커진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이날 연말 기준금리가 2.75~3.00%까지 오를 수 있다는 시장 전망에 "주요 선진국 금리와 유가, 경기 등 여러 요인에 달려 있다고 본다"면서도 "물가 상승세가 높아 지금 기대로는 합리적"이라고 했다.



주담대·신용·전세대출 6% 넘어, 취약차주 금리상승 직격탄
(서울=뉴스1) = 하나은행은 코로나19에 이어 최근 금리 상승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금융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HANA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박성호 은행장(왼쪽)이 지난 4일 소상공인 밀집 지역에 소재한 을지금융센터 지점을 찾아, 소상공인 고객과 직접 상담을 하고 있다. (하나은행 제공) 2022.7.5/뉴스1  (서울=뉴스1) = 하나은행은 코로나19에 이어 최근 금리 상승 등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는 금융취약계층을 지원하기 위해 'HANA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시행한다고 5일 밝혔다. 박성호 은행장(왼쪽)이 지난 4일 소상공인 밀집 지역에 소재한 을지금융센터 지점을 찾아, 소상공인 고객과 직접 상담을 하고 있다. (하나은행 제공) 2022.7.5/뉴스1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대출금리 상승 압력은 계속될 전망이다. 이날 기준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은행의 고정형(혼합형) 주택담보대출 금리는 연 4.27~6.144% 수준이다. 변동금리 주담대 금리도 연 3.63~6.135%로 최상단이 고정형과 비슷한 수준이다. 신용대출 금리는 연 3.98~6.02%, 전세자금대출 금리는 연 3.42~6.115%로 집계됐다.

금융당국과 정치권의 압박에 은행들이 대출금리를 속속 인하하고 상승 속도를 조절하고 있으나 주담대, 신용, 전세대출 모두 최상단 금리가 6%를 넘은 셈이다. 추가 기준금리 인상 폭에 따라 대출금리 7% 시대가 곧 열릴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대출금리 상승 여파는 저소득층과 소상공인·자영업자, 한계기업 등 취약계층에 직격탄이 될 가능성이 크다. 2금융 등 여러 금융회사에서 빚을 진 다중채무자와 초저금리 시대 빚으로 집을 사거나 주식·코인에 투자한 '빚투·(빚 내서 투자)·영끌'(영혼까지 끌어모아 대출)족, 코로나19 장기화로 벼랑끝에 선 자영업자의 허리가 특히 더 휠 전망이다.

대한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은의 빅스텝으로 대기업과 중소기업의 이자부담액은 각각 1조1000억원, 2조8000억원 늘어난다. 금리 인상 여파가 매출이 상대적으로 작고, 신용이 낮은 중소기업에 더 많이 전가될 수 있다는 것이다. 오는 9월 코로나 대출 만기연장과 상환유예 조치가 종료되면 착시효과가 걷혀 대출 건전성 문제가 본격화할 것이란 우려도 크다. 금융감독당국과 정치권의 주문에 5대 은행이 최근 금리상승기 취약차주 금융지원 프로그램을 잇따라 발표하는 것도 취약층의 빚 부담을 줄여 대출 건전성을 확보하기 위한 고육책으로 읽힌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