러 전쟁 여파에…"석탄 사용 늘리겠다" 獨 탈탄소 계획 흔들

머니투데이 정혜인 기자 2022.06.20 08:42
글자크기

천연가스 저장률 높이고자 석탄 화력발전소 가동 허가 준비…"일시적인 조치"

독일 에너지 대기업 RWE의 석탄 화력발전소 /AFPBBNews=뉴스1독일 에너지 대기업 RWE의 석탄 화력발전소 /AFPBBNews=뉴스1


러시아의 천연가스·석유 등 에너지 원자재 무기화가 유럽의 탈(脫)탄소 계획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

19일(현지시간) AFP·뉴욕타임스(NYT) 등 주요 외신에 따르면 독일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공급 감소에 대응하고자 일시적으로 석탄화력발전소의 가동을 늘리기로 했다. 러시아의 천연가스 공급 중단에 따른 에너지 위기를 석탄 사용량 증가로 극복하겠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는 탈탄소를 위한 독일의 에너지·환경 정책과 배치되는 조치다.

로베르트 하벡 독일 경제·환경부 장관은 19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가스 소비를 줄이려면 전기 생산에 사용되는 가스를 줄여야 한다"며 "대신 석탄 화력발전소를 더 많이 사용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지난 14일 러시아가 유럽 등 서방의 경제제재에 대한 보복 조치로 노르트스트림 가스관을 통해 독일로 공급하는 천연가스 물량을 약 40% 줄여, 공급부족·가스가격 급등 등의 문제가 발생했다. 이에 독일 정부는 그간 제한했던 석탄 화력발전소 가동을 허가하고, 석탄 사용량을 늘려 천연가스발 에너지 위기에 대응하겠다고 결정한 것으로 보인다.

하벡 장관은 "상황이 심각하다"며 일시적으로 석탄 화력발전소를 다시 가동해야 전력 소비가 높은 겨울을 견뎌낼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정말 씁쓸하지만, 이 상황에서는 가스 사용량을 줄이는 것이 필요하다. (천연)가스 저장 탱크를 올겨울까지 가득 채우는 것이 우리의 최우선 과제"라며 "새로운 조치에 대한 법안 개요가 몇 주 안에 채택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독일 일간 쥐트도이체차이퉁(SDZ)에 따르면 독일 정부는 현재 57%인 천연가스 저장률을 오는 10월 1일까지 80%, 11월 1일까지 90%로 끌어올린다는 계획을 세웠고, 이를 위해 150억유로(약 20조3535억원)를 추가 지원할 방침이다.

하벡 장관은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고, 물가를 높이며 우리를 분열시키는 것이 (블라디미르) 푸틴(러시아 대통령)의 전략"이라며 "우리는 그런 일이 일어나도록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우리는 단호하고 정확하며 신중하게 우리 자신을 방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푸틴 대통령의 가스공급 중단 압박에도 러시아산 에너지 수입금지 제재를 유지하고, 에너지 관련 러시아 의존도를 계속해서 낮추겠다는 뜻으로 읽힌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2월 15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회담을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2월 15일(현지시간) 모스크바 크렘린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우크라이나 사태와 관련한 회담을 마치고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AFPBBNews=뉴스1
독일 정부의 이번 조치는 탄소제로(탄소배출량 0)를 위해 석탄 사용량을 줄이겠다고 공언한 독일 정부의 그간 행보와 상반된 것으로 환경단체 등의 비판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와 관련 하벡 장관은 성명에서 이번 석탄 사용량 증가가 천연가스 시장 악화에 따른 '일시적인 조치'라는 점을 강조했다.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가 이끄는 사회민주당과 녹색당, 자유민주당(FDP) 등으로 구성된 연립여당은 탄소배출량 감축을 위해 오는 2030년까지 석탄 사용량을 줄이겠다며 석탄 화력발전소 가동을 제한했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닛케이)은 "국제 안보 측면에서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 탈피는 시급하다. 하지만 (러시아산을 대체할) 에너지 확보에는 시간이 필요하다"며 "이 때문에 (독일이) 탈탄소를 역행하는 석탄에 일시적으로 의존할 수밖에 없는 상황에 놓였다"고 진단했다.

한편 독일은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를 낮추고자 대체 에너지 확보에 총력을 가하고 있다. 최근엔 노르웨이와 네덜란드로부터 액화천연가스(LNG) 계약을 체결해 러시아산 천연가스 의존도는 기존 55%에서 35%로 축소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