넘어진 적 없는데 허리 통증 60대, 병원 갔더니 '골절 초고위험군'

머니투데이 이창섭 기자 2022.06.16 05:20
글자크기
넘어진 적 없는데 허리 통증 60대, 병원 갔더니 '골절 초고위험군'


#1. 자영업자 박모(65)씨는 석 달 전 이유 없이 지속되는 허리 통증으로 병원을 찾은 뒤 척추 골절을 진단받았다. 박씨는 넘어지거나 허리에 큰 충격을 받은 기억이 없었다. 그러나 의료진은 박씨의 골밀도 수치가 -4.5로 골다공증을 앓고 있고 이미 척추뼈가 부러졌기 때문에 '골절 초고위험군'이라고 설명했다.

#2. 김모(79)씨는 7~8년 전 골다공증으로 인한 척추와 고관절 골절로 큰 수술을 받았다. 이후 매일 골다공증 약을 먹지만 의사는 여전히 김씨 뼈가 "계란 껍질만큼 약해져 있다"며 추가 골절 위험이 높다고 경고했다.



최근 대한골대사학회 등 국내외 전문가들이 골다공증 진료지침을 개정해 '골다공증 골절 초고위험군'이란 개념을 새롭게 선보였다. 골다공증 진행으로 골절 발생 위험이 훨씬 큰 환자를 뜻한다. 골절이 임박한 초고위험군을 치료할 수 있는 새로운 치료법에도 관심이 쏠린다.
15일 의료계에 따르면 대한골대사학회는 지난달 말 '골다공증 진료지침 2022'을 출간했다. 골다공증은 '뼈에 구멍이 생기는 질환'으로 뼈의 강도가 약해져 일상적인 충격에도 쉽게 부러질 수 있는 상태를 말한다.

초고위험군이 중요한 이유는 골다공증 골절이 환자의 건강, 심하게는 생명까지 앗아갈 수 있기 때문이다. 고령 환자는 골절로 인해 합병증이 동반하는데 뼈가 부러지면 움직이지 못해 욕창, 폐렴, 요로감염, 하지정맥혈전 등이 생길 수 있다. 또한 폐혈관이 막히는 폐색전증이 발생하면 급작스럽게 사망할 수도 있다.



초고위험군 기준에는 △최근 12개월 내 골절 경험 △여러 부위에서 다발성 골절 발생 △골밀도 수치(T-score)가 -3.0 이하로 진단 등이 있다.

대한골대사학회 등 연구에 따르면 한 번 골절이 일어난 부위에서 1년 이내 뼈가 다시 부러질 확률은 25%다. 재골절 72%는 척추에서 발생하며 척추 골절 시 대퇴골절 위험이 3.8배 증가, 반대편 대퇴골절 위험도 3배 늘어난다.

또한 국내 고관절 재골절 후 1년 내 사망률은 17%(남성 27.9%, 여성 14.3%)에 달하며 척추 골절 사망률도 5%(남성 11%, 여성 4%)로 치명적이다. 50세 이상에서 고관절 골절 발생 시 6명 중 1명은 1년 내 사망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이현욱 순천향대학교 부속 부천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평균 수명이 길어지면서 과거에 비해 70~80대 골절 환자가 느는데 대부분 골다공증이 매우 심각해 수술로도 부러진 뼈를 제대로 붙이는 게 쉽지 않다"며 "고령일수록 가벼운 충격에도 재골절이 쉽게 일어난다. 내 몸 상태가 '계란 껍질처럼 약해져 있는 초고위험군'이라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내외 골다공증 진료지침에서 골절 초고위험군에게 1차 치료제로 권고되는 약은 '로모소주맙'이다. 골흡수 억제와 골형성 촉진에 동시 작용하는 이중기전 치료제로 한 달에 한 번, 최대 1년간 총 12회 피하에 주사한다.

로모소주맙 1년 치료로 골밀도가 안정적 수준으로 회복되면 이후에는 골흡수 억제제로 후속 치료를 이어간다. 이 교수는 "골절 초고위험군에게는 골절 직후 1년 동안 빠르게 골밀도를 높여 추가 골절을 막을 수 있는 치료가 권고된다"고 설명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