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포스코 등 호주와 수소협력사업 수요 100건 이상 확인

머니투데이 캔버라(호주)=정진우 기자 2021.12.13 10:03
글자크기

[the300][호주 국빈방문]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2021.12.13.[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확대회담을 하고 있다. 2021.12.13.


호주는 광대한 국토를 기반으로 각종 재생에너지의 생산 잠재력이 크다. 호주 정부는 재생에너지 잉여 전력의 활용 방안으로 수소를 주목하고 포스트 화석연료시대 신성장 동력으로 인식해 적극 활성화에 나섰다. 풍부한 천연가스와 석탄 잠재력을 이용한 블루 수소 생산도 가능해 앞으로 수소 생산에 높은 잠재력을 갖고 있다.

이런 호주가 우리나라를 수소경제 협력 파트너로 꼽았다. 수소경제를 미래 먹거리 산업으로 정한 우리나라로선 호주와 협업이 필요하다. 우리 기업들의 앞선 기술력 때문이다. 재생에너지 자원이 필요한 우리나라와 기술력을 원하는 호주의 윈윈 전략이다.



우리나라는 호주 측의 요청에 따라 지난 10월31일 G20 계기 한·호주 정상 간 기후변화 공동 대응 및 친환경 협력 강화를 위한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성명 발표했다.

이 파트너십은 호주가 그간 독일·일본·영국 등 타 국가와 체결한 유사한 파트너십에 비해 차별화된 점이 많다. 수소 공급망, 철강 등 우리의 산업적 특성이 반영된 분야를 강조했고 기술 개발뿐 아니라 실증사업까지 포괄한 게 눈에 띈다. 기업의 수요를 반영한 플래그십 프로젝트 선정을 통한 신속한 협력도 추진한다.



문 대통령은 이번 호주 국빈방문을 통해 이 파트너십의 신속한 이행 추진을 스콧 모리슨 호주 총리와 논의했다. 내년엔 두나라가 협의를 통해 연구 개발 협력 핵심 프로젝트를 선정하고 협력 범위와 분야를 늘릴 계획이다.

한국과 호주는 우선 수소공급망을 확충키로 했다. 수소경제를 뒷받침할 수소의 원활한 공급을 위해 수소 생산과 저장, 운송기술을 함께 개발할 방침이다.

또 저탄소 철강 생산에 힘을 모으기로 했다. 철강생산 시 사용하는 원료를 화석연료(유연탄 등)에서 수소로 전환하기 위한 기술(수소환원제철 등) 및 수출용 철광석 가공 시부터 저탄소 공정기술 개발하는 게 골자다.
[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열린 한-호주 확대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13.[캔버라=뉴시스] 전진환 기자 = 호주를 국빈 방문 중인 문재인 대통령이 13일 캔버라 국회의사당 내 대위원회실에서 열린 한-호주 확대회담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1.12.13.
아울러 CCUS(이산화탄소 포집·활용·저장기술, Carbon Capture Utilization and Storage) 개발에 힘쓰기로 했다. CO2 포집기술 고도화, 양국 간 CO2 지중·해저 저장 프로젝트 협력, CO2 광물화 등 활용기술 개발이 핵심이다.


두 나라는 이날 탄소중립과 수소분야 협업을 강조하며 기후변화에 공동 대응하기로 했다. 우리나라는 탄소중립을 위해 가용한 자원을 모두 활용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호주와 협력 모색이 필요하다.

이밖에 우리나라 기업의 호주와의 협력이 필요한 곳을 중점적으로 지원하는 등 산업계에 필요한 중장기 수소공급망·CO2 대량저장소 등 확보를 지원하기로 했다.

수소·CCUS·태양광·ESS 등 분야에서 우리 기업들의 R&D 및 실증 프로젝트 수요 100여 건 이상으로 확인됐다. 정부는 해외 수소공급망을 40개소로 늘리고, 모빌리티·전력·철강 부문 수소 공급 위해 호주와 협력이 필요하다. 호주는 그린 수소(태양광·풍력), 블루 수소(갈탄·가스) 생산 에너지원 풍부하다. 현대차·고려아연·포스코 등은 호주와 그린 수소 협력을 이미 추진 중이다.

이산화탄소 포집을 통한 온실가스 감축 시 저장소 확보가 필수적인데 호주는 2004년부터 육·해상 폐광구에 대규모 CO2 저장 프로젝트 추진 중이다. K-CCUS를 중심으로 호주 프로젝트 참여 및 공동 R&D 수요를 늘릴 방침이다. 현재 K-CCUS엔 SK E&S, 포스코, 현대중공업, 삼성중공업 등 80여 개 정부·산·학·연 협의체가 참여중이다.

청와대 관계자는 "호주는 탄소중립 기술 파트너십 체결을 우리나라에 먼저 제안하고 우리 정상의 호주 방문을 지속적으로 요청하는 등 우리와의 협력 의지가 높다"며 "호주는 화석연료 중심의 제조·에너지 생산방식에 있어 기술혁신을 통한 탄소배출 감축 의지가 높아 기술 분야에 있어 발전적 협력 가능성 크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