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화문]올리브 나무가 자란다…추운나라였는데

머니투데이 김경환 정책사회부장 2021.07.23 03:05
글자크기
학창시절 우리나라는 온대 기후 지역에 속해 있다고 배웠다. 하지만 전남 남해안 노지에선 이제 올리브 나무가 자란다. 신이 내린 선물로 불리는 올리브나무는 지중해 연안에서 볼 수 있는, 대표적 아열대 지역의 과일 나무다. 반면 과거 대구가 주산지였던 사과의 재배지는 충북과 충남을 넘어 강원 산간지역까지 올라갔다.

기상청이 우리나라 1912∼2020년 기후변화 추세를 분석한 결과, 1991∼2020년의 연평균 기온은 1912∼1940년 보다 무려 1.6도 상승했다. 109년간 전 지구적 평균에 비해서도 우리나라 연평균 기온은 0.8도 더 올랐고, 이산화탄소(CO2) 농도는 6.5ppm 높은 것으로 분석됐다. 빠른 산업화에 따른 반작용이다.



아열대는 1년 중 4개월에서 11개월에 걸쳐 월 평균기온이 20도를 웃도는 지역을 일컫는다. 이미 한반도는 중부지역까지 아열대 기후대가 된 것이다.

이상기후와 기상이변은 전지구적 현상이다. 안정적 기후를 자랑하던 서유럽 국가인 벨기에, 독일은 폭우로 수십명이 사망하는 재난을 겪었다. 독일 기상청이 '1000년 만의 폭우'라고 했을 정도로 이례적인 상황이다. 이제는 더 이상 유럽 선진부국도 기상이변 재해에서 예외가 될 수 없음을 보여준 사례다.



시베리아에는 폭염으로 인한 산불이 번진다. 러시아 사하 공화국의 수도 야쿠츠크에는 거의 한달 동안 산불이 지속되고 있다. '타이가'로 불리는 침엽수림대의 화재는 지구 환경 전체에 막대한 영향을 미친다. 영구동토층에 저장된 막대한 양의 온실가스를 방출하는 것은 물론 탄소를 흡수하는 숲을 태우기 때문이다. 건조기후 지역인 중국 베이징에는 누적 강수량이 200mm를 넘어서며 폭우 경보가 발령됐다.

여름철에도 서늘한 기후인 캐나다 서부 지역에선 열돔 현상으로 최고 50도까지 육박하는 기온이 일주일 간 이어졌다. 미국 서부와 캐나다에 기록적인 폭염이 강타하면서 산불도 걷잡을 수 없을 정도로 번지고 있다.

이같은 기후변화는 이상고온으로 북극 지방의 온도가 오르고 아열대 지방과 온도 차이가 줄어들면서 찬 공기와 따뜻한 공기를 섞어 주는 제트 기류가 약해졌기 때문이다.


가뭄·폭우와 같은 전 세계 기상이변이 지속될 경우 농산물 가격 상승을 부채질 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극단적 기온은 농산물 생산을 크게 줄인다. 우리나라처럼 수입 곡물에 크게 의존하는 국가의 부담은 이상기온 하에서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현재 주요 곡물생산국인 미국 서부, 브라질·남미 등의 가뭄이 심각한 상황이어서 작황은 더욱 나빠질 것이다. 곡물가격이 이끄는 인플레이션(애그플레이션)은 물론 빈곤, 기아까지 나타날 수 있다.

세계기상기구(WMO)에 따르면 지구의 평균기온은 산업화 이전 대비 1.2도 가량 올랐다. 기후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는 2100년까지 산업화 이전 대비 지구 평균 온도 상승 폭을 1.5도로 제한하는 것을 목표로 삼고 있다. 앞으로 0.3도만 남은 셈이다. 1.5도 제한은 지구 동식물의 괴멸적 타격을 막을 마지노선이다.

각 국은 기온 상승 최소화를 위해 2050년 탄소중립(넷제로) 달성을 선언하기에 이른다. 석탄·석유 등 화석연료를 사용하는 대신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탄소 배출을 최소화해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드는 것을 의미한다.

탄소중립으로 가는 길에는 기업들의 막대한 투자와 비용 투입이란 고통이 수반된다. 정부의 전적이고 과감한 투자 지원이 반드시 필요한 이유다. 환경기술 투자를 통해 혁신적인 탄소포집 등 환경을 살릴 신기술에 집중해야만 한다. 가보지 않은 길을 가는 우리 앞에 지구의 운명이 달려 있다. 환경 문제 대응의 의미를 넘어 인류의 생존과도 직결된다.

교과서에 앞으로 대한민국의 기후는 아열대 기후라고 표시될까 두렵다.

[광화문]올리브 나무가 자란다…추운나라였는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