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7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NST)가 최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출연연 전체가 보유한 특허 수는 지난해 기준 4만4922건이다. 이중 기술 실시·양도·출자 등에 활용된 특허는 1만6410건으로 36.1%에 그친다. 나머지는 '활용을 추진 중'이지만 사실상 가능성은 희박한 특허가 2만4574건(53.7%), 미활용 특허가 4655건(10.2%)으로 파악됐다.
외부기관이 별도로 실시한 평가도 박하다. 대한변리사회가 '전문가 평가 기반 특허등급평가시스템'으로 국내 19개 출연연의 특허 384건을 분석한 결과, '우수'에 해당하는 특허는 1건에 불과했다. 대부분 '장롱특허'라는 얘기다. 기술보증기금도 출연연 특허 중 기술성이 떨어져 보증지원대상에서 제외할 정도인 C등급 이하가 작년 기준 53.9%에 달했다고 발표했다. 특허는 많지만 '돈 되는 아이템'이 없다는 야유가 쏟아진 이유다.
전문가들은 이에 대해 단기적 성과내기에 급급한 출연연의 관행과 특허 내용이 어찌됐든 그 수만 카운트해 '무늬만 특허'를 양산케 한 국가 R&D과제 성과관리시스템을 조속히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진단한다. 아울러 '창업'을 기술이전 사업화의 강력한 대안으로 제시했다. 출연연 창업은 2001년부터 10년간 정체됐다가 최근 '제2 벤처붐'과 함께 증가 추세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에 따르면 2019년 기준 출연연 창업은 총 424개가 설립됐고 이중 현재 332개가 운영 중이다. 창업 유형으론 연구원 창업(66.5%)이 가장 많고, 연구소 기업(30.4%)이 뒤를 이었다.
해외 연구소에선 기술이전 사업화를 창업으로 푸는 사례가 적지 않다. 독일 대표 연구기관인 프라운호퍼의 경우 '프라운호퍼벤처'를 통해 기술이전 프로젝트용 투자 전용펀드(FTTF)를 운영하고, '테크 브릿지'라는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을 지원해 연구원 창업을 활성화하고 있다. 윤기동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연구전략본부 박사는 "일반 기술창업 아이템에 비해 출연연의 기술 성숙도가 낮고 사업모델을 찾기까지도 많은 초기 투자금이 필요하다"며 △체계적인 창업지원시스템 구축 △전문 창업지원인력 확보 등을 통해 출연연 창업 활동을 활성화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