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특구 창업학교 출범···"바이오클러스터 첫 '산·학·연·병' 협력모델"

머니투데이 류준영 기자 2021.06.01 18:00
글자크기

정기택 첫 창업학교(GRaND-K) 교장 "중견·대기업 연계 및 美 랩센트럴 등 바이오 허브와의 교류 통해 스케일업"

홍릉 창업학교에 첫 교장이 된 정기택 경희대 교수(前 보건산업진흥원장)/사진=KIST홍릉 창업학교에 첫 교장이 된 정기택 경희대 교수(前 보건산업진흥원장)/사진=KIST


"국내 바이오 클러스터 최초의 '산·학·연·병 협력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서울 동대문구에 위치한 홍릉강소연구개발특구의 첫 '창업학교'(GRaND-K)가 2일 문을 연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과 홍릉강소특구사업단이 바이오창업클러스터 육성을 위해 마련한 것이다. 사전 참가신청서를 넣은 총 133개팀 중 심사를 통과한 예비창업팀 24곳, 3년 이하 초기 창업팀 40곳 등 총 64개팀이 이날 입학식에 참석한다. 이들은 공통 창업교육을 6주간 받게 되며, 전 과정 수료 시 오는 9월부터 진행될 오디션형 창업경진대회에 참가할 수 있는 자격을 부여받게 된다.

홍릉 창업학교에 첫 교장이 된 정기택 경희대 교수(前 보건산업진흥원장)는 최근 머니투데이와 만나 "창업학교는 결코 단순한 학교가 아니"라며 이 같이 말했다. 이어 "대학과 기업, 연구소 간 유기적 협력이 일어나는 싱가포르의 바이오 R&D(연구·개발) 산업단지 '바이오 폴리스'처럼 홍릉 특구가 발전해 나가기 위해선 창업학교처럼 산·학·연·병 간 협력 시너지를 만들 창구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 교장은 '창업학교가 기존과 다른 점이 뭐냐'는 질문에 "첫째도 둘째도 '퍼블릭 프라이빗 파트너십'(Public private partnership·민관협력)에 있다"고 간단히 답했다. 그에 따르면 국내 주요 바이오 클러스터는 △대구·경북 첨단의료복합단지 △오송 첨단의료복합단지 △송도 바이오프론트 △원주 의료기기 테크노밸리 △서울 바이오허브 △대덕연구개발특구 △판교-광교 테크노밸리 등이 있다. 이런 다수의 바이오 클러스터가 활성화되려면 산·학·연·병들이 공동으로 참여하는 협력사업 모델을 구축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 하지만 아직 그런 곳이 단 한 군데도 없다는 지적이다.

홍릉 창업학교에 첫 교장이 된 정기택 경희대 교수(前 보건산업진흥원장)/사진=KIST홍릉 창업학교에 첫 교장이 된 정기택 경희대 교수(前 보건산업진흥원장)/사진=KIST
정 교장은 "바이오 클러스터를 성공적으로 이끌어 가기 위해선 대학과 병원, 기업, 연구기관, 임상 대행업체, 금융투자기관 등 다양한 생태계 참여자들 간 연계·협력이 필수적"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번 창업학교는 산(서울 바이오허브), 학(경희대), 연(KIST, 고등과학원), 병(경희대병원, 고려대 안암병원)이 전부 참여하는 데다 11개의 VC(벤처캐피털)와 액셀러레이터에 이어 최근에는 3~4개 민간·국책은행까지 참여의사를 밝혀오고 있다"면서 "지금까지 이런 모델은 없었다"고 강조했다.



창업학교 교육 과정은 성공사례 위주로 짜여졌다. 이를테면 문병석 한국콜마 부사장이 신약 개발과 'K푸드' 성공 사례를 소개한다. 클라우드서비스 분야에서 상한가를 치고 있는 베스핀글로벌에 이한주 대표가 '시장에 거대한 파도가 불면, 주저말고 올라타 도전하라'는 주제로 강연한다. 김종성 보스턴대 교수가 해외 창업 성공사례를 발표하고, 김호민 스파크랩 대표가 펀딩계획 수립과 스케일업 전략을 전수한다. 이밖에 스타트업 특허경영전략, 지적재산(IP)펀드, 회사 운영 시 필요한 영업비밀, 창업 이후 엑시트(Exit) 성공방안 등 다채로운 과목으로 채워졌다.

이 과정을 수료한 뒤엔 총 4라운드로 이뤄진 창업경진대회가 진행되며, 여기서 최종 입상한 10개 팀에겐 총 10억원 상당의 홍릉펀드 투자와 팁스 프로그램 연계, 창업 공간, 기술 이전, 임상 실증 등의 등 다양한 지원이 이뤄질 예정이다.

정 교장은 "향후 창업학교를 통해 배출한 바이오 스타트업을 국내 중견·대기업에 연계하고, 나아가 미국 보스턴의 바이오 스타트업 지원기관인 '랩센트럴', 매사추세츠공대(MIT) 기술상용화산업협력기구 등 해외기관과 연계·지원하는 체계도 구축해 나갈 계획"이라며 "이를 통해 국내 바이오 스타트업을 스케일업 하는 동시에 홍릉 특구를 선진국형 바이오클러스터로 진입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코로나 이후에도 의료분야의 디지털 전환이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앞으로 창업학교에서 한국이 잘하는 ICT(정보통신기술) 분야를 충분히 활용한 정밀의료 분야에 역량 있는 스타트업들이 많이 배출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OECD(경제개발협력기구)는 오는 2030년, 바이오 기술이 반도체·자동차·화학제품 등 기존 선도산업의 예상 합계규모인 3조6000억 달러(약 4012조원)를 추월, '바이오 경제'(4조 4,000억 달러 규모·약 4903조원) 시대를 이룰 것으로 전망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