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이 받아든 '계산서'…美 백악관 호출의 숨은 내막

머니투데이 심재현 기자 2021.04.03 07:33
글자크기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24일(현지시간) 반도체 등의 공급망 검토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직전 반도체 칩을 들고 연설하고 있다. /AFP=뉴스1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24일(현지시간) 반도체 등의 공급망 검토를 지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기 직전 반도체 칩을 들고 연설하고 있다. /AFP=뉴스1


미국 백악관이 삼성전자를 호출했다. 오는 12일 글로벌 반도체·자동차업계 관계자들을 초청해 회의를 한다는 소식이다.
'백악관 가는 삼성…美 반도체 대란 회의 초청' 참조

표면적인 이유는 전세계적인 반도체 공급 부족에 따른 대책 논의다. 업계에서는 이번 회의가 결국 미국 내 반도체 생산기지 유치를 위한 압박과 회유의 자리가 될 것으로 본다. 미국 주도의 반중 반도체 동맹의 출발을 알리는 계기가 될 수 있다는 해석도 나온다. "삼성전자가 바이든 정부로부터 계산서를 받았다"는 얘기가 나오는 이유다.



백악관 국가안보 보좌관이 회의를 주관하는 것부터 범상치 않다. 블룸버그통신의 2일 보도에 따르면 제이크 설리번 국가안보 보좌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위원장이 회의를 진행한다. 트럼프 행정부 시절의 중국 반도체산업 견제에 이어 최근의 반도체 대란을 대하는 방식까지 미국 정부가 반도체산업을 단순 경제 이슈 이상의 안보 문제로 보고 있다는 점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는 평가다.

삼성이 받아든 '계산서'…美 백악관 호출의 숨은 내막
시점도 묘하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월 말 반도체 공급망 검토를 위한 행정명령을 발동하고 꼭 한달 뒤인 지난달 24일 세계 최대 반도체기업 인텔이 파운드리 사업 재진출 계획을 3년만에 발표했다. 그 사이 세계 최대 파운드리(반도체 위탁생산)업체 대만의 TSMC는 애리조나 공장 투자를 발표했고 삼성전자도 텍사스 오스틴, 애리조나, 뉴욕 등을 후보지로 미국 현지 반도체 공장 신·증설을 검토 중이다.



삼성전자 (76,700원 ▲400 +0.52%)가 텍사스주 등 주정부와 세금혜택을 포함한 인센티브 협상을 진행하는 와중에 백악관 회의에 불려가는 셈이다. 4년 전 트위터에 직접 '땡큐 삼성'이라는 글을 올리면서 노골적으로 '선물 보따리'를 요구했던 트럼프 전 대통령처럼 거친 방식은 아니지만 바이든 정부가 어떤 의도로 삼성전자를 초청하는지 짐작할 만하다는 얘기가 나온다.

국제 통상·안보 전문가들에 따르면 바이든 정부는 반도체 생산기지를 미국 영토로 유치하는 문제에서 트럼프 행정부 당시의 '아메리카 퍼스트'를 뛰어넘는 강경파다. 전세계 반도체 생산력의 75%가 한국과 중국, 대만, 일본 등 동아시아에 집중돼 있고 이 같은 글로벌 분업 체제가 혁신과 함께 미국의 경제·안보적 취약성을 만들었다는 미국반도체산업협회의 분석이 바이든 정부의 반도체산업 정책과 맞닿아있다.

바이든 대통령은 반도체 공급망 검토를 개시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하면서 "반도체는 21세기 편자의 못"이라고 언급했다. 미국이라는 말을 뛰게 하려면 말발굽에 좋은 편자를 달아줘야 하는데 편자를 고정하는 못이 없으면 말을 잃고 나라가 망할 수 있다는 얘기다. 세계 최강국의 자리를 유지하기 위해선 반도체 패권 확보가 필수라는 게 바이든 정부의 기본 인식이다.


삼성이 받아든 '계산서'…美 백악관 호출의 숨은 내막
관건은 12일 회의에서 당근과 채찍이 어느 비율로 제시될 것이냐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달 31일 피츠버그 연설에서 2조2500억달러(약 2542조5000억원)에 달하는 인프라 투자 계획의 일환으로 자국 반도체산업 지원에 500억달러(약 56조5000억원)을 투입하겠다고 밝혔다. 텍사스주정부는 지난달 유권해석을 통해 삼성전자에 15년 동안 세금감면 혜택을 제공하는 방안에 대해 긍정적인 결론을 도출했다.

삼성전자 입장에서는 이런 사정과 별도로 백악관 회의 참석이 미국 주도의 반중 동맹에 참여하는 것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는 점에서도 부담이 크다. 미국과 중국은 삼성전자가 놓칠 수 없는 최대 시장이다. 삼성전자는 백악관의 구상을 파악하기 위해 국내외 정보력을 총동원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익명을 요청한 반도체업계 한 인사는 "미국 현지 생산시설 신·증설 문제뿐 아니라 미중의 패권경쟁 측면에서도 삼성전자의 고민이 클 수밖에 없다"며 "삼성전자의 전략적 판단이 어느 때보다 중요한 시점"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