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그라지지 않는 아프리카돼지열병…中·러시아서 넘어왔나

머니투데이 기성훈 기자 2020.05.07 11:00
글자크기
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입 추정경로./사진제공=환경부국내 아프리카돼지열병 바이러스 유입 추정경로./사진제공=환경부


국내에서 발생한 야생멧돼지 아프리카돼지열병(ASF)이 러시아와 중국에서 유입됐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환경부 소속 국립환경과학원은 7일 이 같은 내용을 담은 국내 야생멧돼지 ASF의 발생 원인과 전파경로 등을 분석한 역학조사 중간결과를 내놨다.

이번 역학조사는 대학교수, 멧돼지 전문가, 관련 기관 전문가 등 20여 명으로 구성된 역학조사반이 지난해 10월 2일 야생멧돼지 폐사체에서 처음으로 ASF가 확인된 이후 지난달 말까지 국내에서 발생한 585건을 대상으로 했다.



16개 시도 177개 시·군·구의 멧돼지 시료 중 파주, 연천, 철원, 화천, 양구, 고성, 포천 등 7개에서만 ASF 바이러스 양성으로 검출됐다. 지역별 양성건수(검출율)는 연천 230건(39.3%)과 화천 222건(37.9%)이 제일 높았다. 이어 파주 96건(16.4%), 철원 29건(0.5%), 양구 3건(0.5%), 고성 3건(0.5%), 포천 2건(0.3%) 순으로 나타났다.

또 국내 야생멧돼지에서 검출된 500여 건의 ASF 바이러스는 모두 유전형Ⅱ(Genotype Ⅱ)로 확인됐다. 이는 러시아와 중국 등에서 유행하고 있는 ASF 바이러스와 동일한 것이다.



현재까지 25개의 유전형이 확인된 ASF 바이러스 유전형은 단백질을 생성하는 p72 일부 유전자의 염기서열로 분류한다. 유전형 Ⅱ는 동유럽(조지아공화국)에서 발생해 유럽과 아시아 지역(중국, 러시아, 몽골, 베트남 등)으로 전파됐다.
/사진제공=환경부/사진제공=환경부
아프리카돼지열병의 국내 유입경로는 러시아·중국에서 유행 중인 ASF 바이러스가 비무장지대 인근 접경지역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됐다. 국내 유입경로는 하천, 매개동물, 사람·차량 등의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유입경로 규명을 위해선 추가적인 조사가 필요하다는 게 당국의 판단이다.

국내 유입 이후의 발생지역 내에서 전파 경로는 주로 감염된 멧돼지 또는 폐사체 접촉인 것으로 판단됐다. 멧돼지 간의 전파는 △가족집단 내 얼굴 비빔 △잠자리 및 먹이 공유 등의 행동 △번식기의 수컷 간 경쟁 또는 암수 간의 번식행동 시 멧돼지 간의 접촉을 통해 일어난다. 멧돼지가 감염된 폐사체의 냄새를 맡거나 주변 흙을 파헤치고, 폐사체에 생긴 구더기를 섭취하는 과정에서도 감염될 수 있다.

장윤석 국립환경과학원장은 "앞으로 추가적인 역학조사·분석을 통해 정확한 유입 및 전파경로를 규명해 효과적인 방역 대책에 기여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