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마감] 트럼프, 연내 무역합의 기대에 찬물…사흘째 미끄럼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19.12.04 07:06
글자크기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시한 없어, 내년 대선까지 미룰 수도"…"트럼프, 대중국 협상 전략일 수도"

[뉴욕마감] 트럼프, 연내 무역합의 기대에 찬물…사흘째 미끄럼


뉴욕증시가 사흘째 급락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미중 무역합의가 내년 11월 미 대선 이후로 미뤄질 수 있다며 시장의 연내 무역협상 타결 기대에 찬물을 끼얹으면서다.

◇트럼프 "미중 무역협상 시한 없어…내년 대선까지 미룰 수도"



3일(현지시간) 뉴욕증시에서 블루칩(우량주) 클럽인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는 전날보다 280.23포인트(1.01%) 떨어진 2만7502.81에 거래를 마쳤다.

대형주 위주의 S&P(스탠다드앤푸어스) 500 지수는 20.67포인트(0.66%) 하락한 3093.20을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종합지수는 47.34포인트(0.55%) 내린 8520.64에 마감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영국 런던에서 옌스 스톨텐베르그 NATO(북대서양조약기구) 사무총장과의 양자회담에 앞서 기자들로부터 중국과의 무역협상에 '데드라인'(시한)이 있냐는 질문을 받고 "없다. 난 데드라인을 갖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나는 어떤 면에서 중국과의 무역합의는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낫다고 생각한다"며 "만약 당신이 진실을 원한다면 선거 이후까지 기다리는 게 좋을 것"이라고 말했다. 여기서 선거는 트럼프 대통령 자신의 재선 여부를 가를 내년 11월 미 대선을 말하는 것으로 풀이된다.

그는 "중국은 지금 합의를 하고 싶어하고, 우리는 그 거래가 옳을지 그렇지 않을지 볼 것"이라며 "이 협상은 내가 타결을 원하는지 여부에 달려있다"고 덧붙였다.


한편 윌버 로스 미국 상무장관도 이날 미국 경제방송 CNBC와의 인터뷰에서 "만약 미중 무역협상에서 실질적 진전이 없다면 오는 15일 대중국 추가 관세를 계획대로 부과할 것"이라고 밝혔다.

미국은 오는 15일부터 1560억달러(약 180조원) 규모의 중국산 상품에 대한 1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예고한 바 있다.

로스 장관은 "만약 우리가 합의를 하지 않는다면 트럼프 대통령은 관세를 계속 부과하는 것에 완전히 행복할 것"이라며 "그래서 그는 어느 쪽으로든 우리가 꽤 좋은 입장에 있다고 느끼고 있다"고 했다.

로스 장관은 "트럼프 대통령의 목표는 언제나 옳은 거래를 하는 것"이라며 "그의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고 강조했다.

미중 고위급 협상단은 지난 10월11일 미국 워싱턴 협상에서 1단계 무역합의, 이른바 '스몰딜'(부분합의)에 도달했지만 아직 합의문에 서명하진 못했다. 양국은 당초 11월 중 서명을 추진했지만 실무협상에서 이견이 좁혀지지 않으면서 최종 타결이 미뤄지고 있다.

중국은 기존 추가관세 철회를 1단계 무역합의의 조건으로 내세우는 반면 미국은 중국의 지적재산권 침해, 강제 기술이전 등의 문제가 해결되지 않는 한 관세 철회는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다.

◇"트럼프, 대중국 협상 전략일 수도"

BMO캐피탈증권의 이안 린젠 금리본부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오늘 발언은 2가지로 해석될 수 있다"며 "표면적 의미 그대로 무역전쟁이 향후 수년간 국제통상의 반영구적 국면이 될 것으로 이해할 수 있고, 또는 중국의 양보를 끌어내기 위한 협상 전략으로 볼 수도 있다"고 밝혔다.

유럽증시도 대체로 하락했다. 이날 범유럽 주가지수인 스톡스유럽 600은 전날보다 2.53포인트(0.63%) 내린 398.48에 거래를 마쳤다.

프랑스 CAC40 지수는 59.52포인트(1.03%) 하락한 5727.22, 영국 FTSE100 지수는 127.18포인트(1.75%) 떨어진 7158.76을 기록했다.

반면 독일 DAX 지수는 24.61포인트(0.19%) 오른 1만2989.29에 마감했다.

국제유가는 이틀째 올랐다. OPEC(석유수출국기구)이 감산 규모 확대를 검토 중이라는 소식 때문이다.

이날 뉴욕상업거래소(NYMEX)에서 내년 1월 인도분 서부텍사스산원유(WTI)는 전날보다 배럴당 14센트(0.25%) 오른 56.10달러에 거래를 마쳤다.

국제유가의 기준물인 내년 1월물 브렌트유는 런던 ICE 선물거래소에서 밤 10시13분 현재 8센트(0.13%) 상승한 61.00달러를 기록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OPEC은 오는 5∼6일 오스트리아 빈에서 열릴 회의에서 감산 규모를 현재 하루 120만배럴에서 160만배럴로 40만배럴 가량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미 달러화는 약세였다. 이날 오후 4시50분 현재 뉴욕외환시장에서 달러인덱스(DXY)는 전 거래일보다 0.12% 내린 97.74를 기록했다. 달러인덱스는 유로, 엔 등 주요 6개 통화를 기준으로 달러화 가치를 지수화한 것이다.

대표적 안전자산인 금 가격은 올랐다. 같은 시간 뉴욕상업거래소에서 내년 2월물 금은 전장 대비 14.00달러(0.95%) 상승한 1483.20달러에 거래됐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