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침공해주면 고맙겠습니다"

머니투데이 뉴욕=이상배 특파원 2019.11.12 03:05
글자크기

[이상배의 이슈 인사이트] 히틀러에 자국 침공 요청한 이집트 파루크 왕…무지할수록 자신을 과대평가하는 '더닝 크루거 효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아베 신조 일본 총리


인류 역사상 외교적으로 가장 무능한 지도자들을 꼽으라면 이집트의 마지막 왕이었던 파루크를 빼놓을 수 없다. 윈스턴 처칠 당시 영국 총리의 시계를 슬쩍한 건 그의 다른 '실수'들에 비하면 애교에 가깝다. (처칠은 정색하고 시계를 돌려달라고 했다.)

이집트는 1922년 영국에서 명목상 독립했지만 실상은 그렇지 못했다. 영국은 이집트에 대규모 주둔 병력을 그대로 남겨뒀다. 이집트의 외교·국방·교통도 영국이 모조리 틀어쥐고 있었다. 사실상 '준(準) 식민지'였다.



이런 상황에서 파루크 왕은 이집트 국민과 영국 양쪽에서 욕을 먹었다. 국민들은 왕이 영국의 꼭두각시 노릇을 한다고 비난했고, 영국은 그가 꼭두각시 노릇을 제대로 안 한다고 불만이었다.

1939년 제2차 세계대전이 발발하자 파루크 왕은 세계사에 길이 남을 어처구니 없는 만행을 저지른다. 독일 나치 정권에 호감을 느낀 그는 아돌프 히틀러에게 자기 나라를 침공해주면 고맙겠다는 정중한 편지를 보냈다. 독일군이 영국군을 쫓아내줄 거란 기대였다.



독일과 이탈리아 등 추축국은 그의 부탁대로 정말 이집트를 침공한다. 여기서 파루크 왕은 또 한번 어이없는 행태를 보인다. 독일군의 폭격을 피하기 위해 알렉산드리아 전체가 암전 상태일 때 그는 궁궐을 환하게 밝힌 불을 끄지 못하게 했다.

2차 대전이 끝나갈 무렵 파루크 왕은 뒤늦게 정신을 차리고 추축국에 맞서 참전을 선언했다. 하지만 이미 전세가 기운 터라 전승국으로 제대로 인정받지도 못했다. 파루크 왕의 실정에 질린 군부는 1952년 그를 폐위시켰다. 이후 이탈리아를 떠돌던 그는 1965년 로마의 한 레스토랑에서 식사 후 시가를 피우다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났다.

심리학에 '더닝 크루거 효과'라는 게 있다. 심리학자 데이비드 더닝과 저스틴 크루거가 '무능에 대한 무지'란 논문에서 소개한 인지적 오류다. 어떤 일을 잘 못하는 사람일수록 자신의 능력을 과대평가해 선택이 잘못됐음을 알아차리지 못한다는 내용이다. 자신이 무엇을 모르고 무엇이 부족한지 모르기 때문이다. 반대로 그 일을 잘하는 사람은 자신의 능력을 과소평가하는 경향이 있다.


외교에 무지한 지도자가 왜 그토록 잘못된 외교 노선을 고집하는지, 그리고 그런 지도자가 왜 위험한지 설명해주는 개념이다. 만약 그 지도자가 세계 최강대국의 대통령이라면 문제는 더욱 심각해진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참모들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시리아 철군을 강행했다. 이역만리의 미군들을 고향으로 데려오겠다는 명분이었다. 그 결과, 터키는 시리아 북부 쿠르드족 소탕에 나섰고 이를 수습하는 과정에서 러시아가 터키와 시리아에서 영향력을 확대했다.

지중해와 흑해를 잇는 전략적 요충지 보스포루스 해협을 낀 터키는 러시아 흑해함대의 진출을 막는 NATO(북대서양조약기구)의 핵심 회원국이다. 그런 터키가 NATO의 적국 러시아와 점점 가까워지고 있다. 군사정보 유출을 우려한 NATO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미 러시아제 미사일까지 구매한 터다.

만약 터키가 러시아와 손을 잡고 흑해함대에 길을 열어준다면? 자신의 결정 때문에 러시아 함대가 지중해를 휘젓고 다니는 사태까지 걱정해야 한다는 사실을 트럼프 대통령은 충분히 생각했을까.

과거사 문제 때문에 동맹국을 사실상 적국으로 돌린 아베 신조도 다를 바 없다. 그렇다고 상대방의 오판에 단견으로 맞서는 것 역시 현명한 지도자가 갈 길은 아니다. 정치적 이유로 국민의 생명과 직결된 안보를 희생한 선택을 역사는 뭐라고 평가할까. 지도자의 섣부른 판단보다 더욱 위험한 건 선택을 되돌리지 않는 고집이다.

"우리나라 침공해주면 고맙겠습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