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이오업계, CMO사업 잇단 출사표…"캐시카우·생산기지 확보"

머니투데이 김근희 기자 2019.10.09 14:41
글자크기

제넥신, 코오롱등 사업 진출, KBCC 입찰경쟁도 치열...글로벌 CMO 시장 2020년 130조 전망

바이오업계, CMO사업 잇단 출사표…"캐시카우·생산기지 확보"


바이오 업체들이 의약품위탁생산(CMO) 사업에 잇따라 뛰어들고 있다. 관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고 있는 데다 상대적으로 사업구조도 안정적이기 때문이다. 특히 신약개발 전문 바이오 업체들은 생산기지를 확보하고, 자체 바이오의약품 생산 노하우를 쌓기 위해 전략적으로 CMO 사업에 도전하고 있다.

◇CMO 사업 도전하는 업체들=9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송도 바이오의약품 생산시설인 생물산업기술실용화센터(KBCC) 위탁경영 입찰에 바이넥스, 이원다이애그노믹스(EDGC (415원 0.00%))컨소시엄, 아미코젠 (7,490원 ▼110 -1.45%)·유바이오로직스 (14,050원 ▲220 +1.59%) 컨소시엄, 알테오젠 (175,100원 ▲1,400 +0.81%) 등이 뛰어들었다. KBCC는 2005년 산업통상자원부가 1000억원을 투입해 만든 연간 1000L 규모 의약품 생산시설이다. 바이넥스가 2009년부터 10년간 위탁경영을 했고, 올해 11월 계약이 만료된다. 입찰 결과는 이달 중 발표된다.



이번 입찰에서 눈에 띄는 점은 유전체 분석서비스 업체인 EDGC컨소시엄과 바이오베터 개발업체인 알테오젠이 도전했다는 것이다. 이들은 사업 다각화와 생산시설 확보를 이유로 이번 입찰에 참여했다.

면역항암제 개발업체인 제넥신 (7,300원 ▼50 -0.68%)은 지난달 태국 현지기업과 계약을 맺고, 태국 CMO 합작사를 설립했다. 코오롱생명과학 (22,400원 ▼450 -1.97%)은 최근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에스엘바이젠과 후보물질 위탁생산 계약을 체결했다. 골관절염 유전자치료제 '인보사' 허가 취소로 가동이 중단된 충주공장을 활용해 세포치료제 CMO 사업에 나설 계획이다.



◇"안정적 사업구조 매력적"=업체들이 CMO 사업에 진출하거나 강화하는 것은 그만큼 관련 시장이 성장하고 있기 때문이다. 시장조사업체 프로스트 앤드 설리번에 따르면 글로벌 의약품 CMO 시장규모는 2015년 726억달러(약 86조원)에서 2020년 1087억달러(약 130조원)까지 증가할 전망이다.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관계자는 "전 세계 제약사들은 새로운 화학 제형 원료의약품, 바이오 의약품 생산을 점차 아웃소싱하는 추세"라며 "신흥시장 성장, 제약 특허 절벽, 새로운 제조방식 등으로 인해 CMO 시장은 성장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CMO 사업구조가 상대적으로 안정적이라는 것 역시 매력적이다. 의약품 생산의 경우 한 번 고객사를 확보하면 계약이 오래 지속된다. 생산 업체를 바꿀 경우 일일이 다시 인증을 받아야 하기 때문이다. 신약개발 등 위험성이 높은 사업을 하는 바이오 업체의 경우 CMO 사업을 통해 안정적으로 수익을 얻고, 이를 다시 연구·개발(R&D)에 재투자할 수 있다.


◇CMO로 성공한 '셀트리온 벤치마킹'=업계에서는 바이오 업체들이 CMO 사업에 진출하는 것이 생산시설 확보와 미래전략 차원에서도 유리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셀트리온 (177,500원 ▲100 +0.06%)이 설립 초기 CMO 사업을 발판 삼아 성장했듯이 말이다.

셀트리온은 2005년 다국적제약사 BMS의 의약품을 위탁생산하면서 의약품 제조 및 품질관리기준(cGMP) 인증과 미국 식품의약국(FDA)의 검증 과정 등을 익힐 수 있었다. 회사는 이를 발판으로 바이오시밀러를 자체 생산하고 허가까지 받았다.

실제로 EDGC, 알테오젠, 제넥신 등은 CMO 사업 진출을 통해 자체 생산시설을 확보한다는 전략이다. 박순재 알테오젠 대표는 "생산시설을 확보하고, 나아가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으로 사업을 확장해 다른 바이오 벤처들과 협업할 것"이라며 "사업확장을 위해 CMO 입찰에 나섰다"고 설명했다.

일각에선 업체들의 CMO 도전이 녹록지 않을 것이란 의견도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CMO는 단순히 시설만 있어서 되는 것이 아니고 고객사가 원하는 품질을 맞춰줄 수 있어야 한다"며 "업체들은 생산기술과 품질관리 수준을 높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