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中 또 관세폭탄…중국산 옷 91.6%가 관세영향

머니투데이 강민수 기자, 이상배 특파원 2019.09.01 17:27
글자크기

경기침체 위험↑…JP모건, 관세율 인상 전부터 "6~9개월 내 침체 가능성 40%"

임종철 디자이너 / 사진=임종철 디자이너임종철 디자이너 / 사진=임종철 디자이너


미국과 중국이 서로를 향해 또 다시 '관세폭탄'을 터트리며 세계적인 경기 침체의 우려도 커졌다. 1일(각 현지시간) 발효된 미국의 대중국 추가관세로 중국산 의류·신발 상당수가 타격을 입을 것이란 분석도 나왔다.

30일(현지시간) 미 경제전문매체 CNBC는 미국의류신발협회(AAFA)를 인용해 중국에서 미국으로 수입되는 의류의 91.6%가 1일부터 적용된 15% 대중국 관세의 영향을 받는다고 보도했다.



이에 따르면 인테리어 섬유·직물류는 68.4%, 신발류는 52.5%가 타격을 받을 것으로 조사됐다. 여기 포함되지 않은 수입품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1월 말 추수감사절, 블랙프라이데이 쇼핑 시즌, 성탄절 연휴 등을 고려해 오는 12월 15일로 관세 부과를 늦춘 품목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1일부터 평면TV와 신발 등 약 1100억달러(약 135조원)어치의 중국산 상품에 15%의 추가관세를 발동할 예정이다. 나머지 휴대폰, 컴퓨터, 장난감 등 약 1500억달러(약 181조원) 상당의 중국산 상품에는 12월15일부터 15%의 관세가 붙는다.



이에 맞서 중국도 같은 날 정오부터 750억달러 상당 5078개 미국산 제품에 5% 또는 10%의 '보복 관세'를 부과한다. 이중 일부 품목은 12월15일은 정오부터 관세가 부과될 예정이며, 품목별로는 농수산품에 10%, 공산품에 5%의 관세가 부과된 것으로 파악된다. 미국산 자동차와 자동차 부품에도 12월15일부터 각각 25%, 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했다.

스티븐 라마 AAFA 부회장은 "이정도 물량의 수입품 생산처를 관세 회피를 위해 중국에서 다른 나라로 옮기는 것은 현실적으로 매우 불가능하다"며 "중국 외 국가의 생산설비가 제한돼 있고, 제품 안전과 노동 법규 준수 등을 보장하는 업체를 골라 새로운 관계를 쌓아야 하며, 모든 업체가 동시에 생산기지를 옮겨야 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베스트바이, 메이시스 백화점, 홈디포 등 대형 유통업체는 관세 타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급업체나 수입선을 중국에서 동남아 등 다른 국가로 옮기는 방법을 추진 중이다. 소매유통 리서치업체 커스터머 그로스 파터너스의 크레이그 존슨 창립자는 "대부분 업체가 9월 1일 관세 부과 대상인 품목 수를 줄이려고 고심하고 있다"며 "실크 비중 70% 미만 티셔츠는 1일 부과 관세대상이어서 실크 함유 비중을 높이라고 공장에 주문하는 업체도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라마 부회장은 이러한 노력에도 유통업체가 직면하는 가격 상승 압박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했다. 그는 "중국산 의류에 대한 15% 추가관세는 다른 수입산 의류의 비용 상승도 불러올 수 있다"고 설명했다.

잇따른 관세폭탄으로 글로벌 경기침체 발생 확률도 커지게 됐다. 미국계 대형 투자은행(IB) JP모건은 당초 10%의 대중국 추가관세를 전제로 6~9개월 내 경기침체가 올 확률을 40%로 제시했는데, 관세율이 15%로 인상되면서 경기침체 확률은 더 높아졌다. 원래 미국은 중국산 수입품에 부과하는 추가관세율을 10%로 정했다가 중국이 보복관세를 예고하자 이를 15%로 높였다.

클리브 맥도널 스탠다드차터드프라이빗뱅크 주식전략부장도 "미중 무역분쟁 장기화로 12개월 내 경기침체 가능성이 기존 25%에서 최고 40%까지 오를 것"이라고 예상했고, 토머스 필립슨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은 최근 뉴욕타임스와 인터뷰에서 "일기예보는 다음 날 날씨에 영향주지 않지만 경제 보도는 소비자 영역에 영향을 준다"면서 우회적으로 경기에 대한 우려를 나타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