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등지고 버틸 기업 있나"…日도 '가미카제식' 보복 불안

머니투데이 이정혁 기자, 심재현 기자 2019.08.04 15:31
글자크기

삼성전자, 대체재 테스트 총력…日 "세계 1위 업체와 거래중단, 잃을게 많다" 우려

"삼성 등지고 버틸 기업 있나"…日도 '가미카제식' 보복 불안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화이트리스트)에서 제외하는 2차 경제보복을 감행하면서 양국의 산업 생태계가 최악의 상황을 맞았다. 겉보기에는 한국 반도체 산업이 일방적으로 피해를 입을 것처럼 보이지만 일본 소재·부품·장비 산업도 침체기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일본 내부에서 터져 나오고 있다.

한국이 고순도 불화수소(에칭가스) 등 소재·부품 대체재 발굴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는 가운데 삼성전자 (76,700원 ▲400 +0.52%)라는 대형 고객을 등지고 생존할 수 있는 일본 기업이 얼마나 되겠느냐는 우려다.



◇ 대체제 확보 총력…연내 판가름 날 듯=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 (177,800원 ▲7,200 +4.22%)는 국내외에서 생산하는 고순도 불화수소와 관련된 각종 테스트를 진행 중이다. 순도 '99.9999999999%'(12N·트웰브 나인)인 일본산과 품질면에서 얼마나 차이가 있는지 점검 중인데 올해 안에 일본 제품을 대체한다는 방침에 변화가 없다.

한 업계 관계자는 "국내 반도체 업계의 고순도 불화수소 재고는 2개월 수준"이라며 "테스트에 다소 시간이 걸리겠지만 순도가 조금 낮더라도 국산 대체재를 쓰지 않을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디스플레이 업계도 일본 제품을 제외한 고순도 불화수소 발굴에 착수한 상태다. 윤수영 LG디스플레이 연구소장(전무)은 최근 기자와 만나 "일본산 이외의 에칭가스 테스트에 착수한 상태"라고 밝혔다.

◇ 마지노선 넘기면 日 기업과 '재거래' 불가능 = 반도체·디스플레이 업계가 고순도 불화수소를 비롯해 소재·부품·장비 분야에서 '탈(脫)일본'에 성공할 경우 기존 일본 업체와 다시 거래를 재개하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는 게 업계 판단이다. 최첨단 공정 특성상 소재를 바꿀 때마다 거쳐야 하는 테스트 기간이 짧게는 2개월에서 길게는 6개월 이상 걸리기 때문이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올 들어 지난 5월까지 일본산 고순도 불화수소의 한국 수출 비중은 85.9%에 달한다. 사실상 생산하는 족족 한국에 판매했던 셈이다.


OLED(유기발광다이오드) 재료인 플루오린 폴리이미드도 일본에서 생산된 물량의 22.5%가 한국으로 수출됐다. 반도체 기판에 회로를 그릴 때 쓰는 포토레지스트의 한국 수출 비중은 11.6%다.

재계 관계자는 "장기적으로 일본은 한국이 소재 부품 대체재를 확보하는 것 이상으로 다른 수요처를 찾아야 하는 상황"이라며 "반도체 업황이 둔화되는 가운데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만한 고객을 찾기란 불가능에 가깝다"고 말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도 지난 2일 일본 정부의 2차 경제보복 발표 직후 "반도체 소재의 한국 수출이 늦어지면 일본 기업들이 피해를 볼 것"이라고 지적했다. 일본 고순도 불화수소와 반도체 장비 제조사 관계자들도 같은 날 아사히신문에 "어느 정도 영향을 받을지 가늠하기 힘들다", "한국의 반도체 생산이 늦어지면 우리도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고 우려했다.

◇ 국제 신용평가사도 "韓 대체 공급자 찾을 것" = 국제사회에서도 일본의 무리수를 지적하는 목소리가 크다. 국제 신용평가사 피치는 최근 보고서에서 장기적으로 일본 업체들이 손해를 볼 것이라고 전망했다. 피치는 "한국 업체들은 일본산 소재를 대신할 대체 공급자를 찾을 것"이라며 "일본 수출업자들이 잃을 게 많다"고 분석했다.

전문가들 사이에서는 일본이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면서 수출규제 품목을 명확히 밝히지 않은 게 이런 상황을 감안했기 때문이 아니냐는 분석이 나온다. 한국을 압박하면서도 상황에 따라 규제를 완화해 자국 기업의 피해를 최소화하려는 포석일 수 있다는 얘기다.

이를테면 전략물자 관리에 관한 자율능력을 인정받은 CP기업(자율준수프로그램인정기업)의 경우 기존 포괄허가와 비슷하게 3년에 한 번만 심사를 받는 '특별일반포괄허가' 방식으로 물자를 수출할 수 있다. 중국과 대만, 홍콩, 싱가포르 등이 현재 특별일반포괄허가 방식으로 일본업체와 거래 중이다.

민주사회를위한변호사모임(민변) 소속 국제통상 전문가인 송기호 변호사는 "특별일반포괄허가를 어느 범위까지 허용하느냐에 대한 고시 개정 범위에 따라 우리에게 큰 타격이 될 수도 있고 안 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