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색국가 제외]韓 스마트폰 산업에도 '악재'

머니투데이 서진욱 기자 2019.08.02 14:44
글자크기

반도체·디스플레이·배터리 부품 조달 우려… 대체품, 업황 침체로 단기 영향은 '제한적'

지난달 31일 서울 딜라이트 홍보관을 찾은 관람객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지난달 31일 서울 딜라이트 홍보관을 찾은 관람객이 삼성전자 스마트폰을 살펴보고 있다. /사진=김창현 기자.


일본 정부가 한국을 전략물자 수출심사 우대국(백색국가)에서 제외하면서 삼성전자, LG전자 등 국내 스마트폰 제조업계도 비상이 걸렸다. 이들은 일본 정부의 경제 보복 확대가 가져올 파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업계에선 부품 공급처 다각화가 상당히 진행된 만큼 스마트폰 산업에 미칠 당장의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 정부는 2일 열린 각의(국무회의)에서 한국을 백색국가에서 제외하는 내용을 담은 출무역관리령 시행령 개정안을 의결했다. 이에 따라 1120개 한국 수출 물품이 포괄 허가에서 개별 허가 대상으로 바뀐다.



해당 품목에는 스마트폰 핵심 부품인 반도체, 디스플레이 부품·소재·장비들이 총망라됐다. 반도체, 디스플레이 산업뿐 아니라 스마트폰 생산에도 타격이 불가피하다. 부품 수급 문제로 제품 생산 일정이 장기간 지연될 경우 판매 실적에 악영향을 끼칠 수밖에 없다. 제품 수요를 공급량이 따라가지 못하는 최악의 상황에 직면할 수도 있다.

업계에선 일본의 백색국가 제외 조치로 스마트폰 주요 부품소재인 이미지 센서, 2차전지 분리막, 메탈마스크, 스마트폰카메라 차광필름 등의 품목 조달이 어려워질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이미지 센서의 경우 일본 소니 점유율이 51%에 달한다. 스마트폰 배터리 핵심 부품인 2차전지 분리막 분야에서 일본 업체들의 점유율은 50%를 상회한다. 메탈마스크는 사실상 전량 일본에서 수입하는 상황이다.



부품·소재 수입 조달이 차질을 빚을 경우, 삼성전자, LG전자뿐 아니라 국내 스마트폰 부품 공급업체들의 생산일정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업계 관계자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배터리 등 스마트폰 관련 산업에서 일본 부품소재가 폭넓게 활용되고 있다"며 "부품 공급업체가 국내 또는 일본 외 해외업체더라도 공정 과정에서 일본 부품과 소재가 필수적인 경우가 상당수"라고 말했다.

다만 이미지센서를 비롯해 스마트폰에 소요되는 부품소재 상당수가 국산화 및 일본 외 다른 국가에서 조달가능한 대체품들이어서 당장 큰 영향을 끼치진 않을 것이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공급망 조정과 화이트리스트 배제에 따른 허가 절차 기간을 최소화하는 게 관건이다. 이미 삼성전자는 주요 스마트폰 부품들에 대해 여러 공급업체를 두는 '멀티 벤더' 시스템을 갖췄다.


세계적으로 스마트폰 업황이 침체기라는 점도 일본 규제 악영향을 제한적으로 점치는 이유다. 현재 확보한 스마트폰 물량으로 상당기간 동안 지역별 수요 변동에 대처할 수 있다는 것. 주요 제조사들은 신제품 출시에 앞서 수개월치에서 1년치 재고를 확보하는 게 일반적이다. 시장조사업체 가트너에 따르면 올해 세계 휴대전화 출하량은 17억4540만대로 지난해보다 3.8%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앞서 컨퍼런스콜에서 밝힌 데로 새로운 허가 절차에 따른 부담과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말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