中 "홍콩 시위는 美불장난"…장기화 관측에 힘실려

머니투데이 김수현 기자 2019.07.30 19:06
글자크기

中, 국제 반발 우려해 군·계엄령 동원 사실상 어려워…시위대 요구 받아들일 가능성도 낮아 '진퇴양난'

지난 주말(28일), 홍콩 센트럴 지역에서 시위대가 최루탄을 막기 위해 우산을 펼쳐 들고 있다. /사진=로이터지난 주말(28일), 홍콩 센트럴 지역에서 시위대가 최루탄을 막기 위해 우산을 펼쳐 들고 있다. /사진=로이터


나날이 격화하는 홍콩 '범죄인 인도법(송환법)' 반대 시위가 금방 끝나지 않을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중국이 홍콩 시위에 대해 좌시하지 않겠단 공식입장을 내놓은데 이어 이날은 중국 외교부가 나서 홍콩의 폭력 시위는 미국의 작품이라고 비판하며 위험한 불장난을 그만두라고 요구했다.

신화통신에 따르면 화춘잉 중국 외교부 대변인은 30일 정례 브리핑에서 '미국에도 시위가 잦다며 중국 정부가 홍콩 일과 관련해 협의하고 올바르게 대처하길 바란다'는 마이크 폼페이오 미 국무장관 발언과 관련한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화 대변인은 "그(폼페이오 장관)는 홍콩의 최근 폭력 활동이 합리적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다. 다 알겠지만 (홍콩 시위는) 미국의 '작품'"이라고 재차 주장했다.

중국의 강경 입장과 평일에도 이어지는 홍콩의 대규모 파업 등 시위가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면서 시위가 장기화될 수 밖에 없다는 관측도 나온다.



호주 싱크탱크 로위연구소의 벤 블랜드 동남아시아프로젝트 이사는 29일(현지시간) CNBC에 "홍콩에서의 시위는 금방 끝나지 않고 앞으로 몇 달간 계속될 가능성이 높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홍콩 시위가 어떻게 마무리 될 것인지에 대해 △중국 중앙정부가 직접 개입해 군대·계엄령 동원 강제진압 △홍콩 당국의 유의미한 양보로 타협 △시위 세력 자연 둔화 등 3가지 시나리오를 내놨다. 특히 그는 "베이징과 홍콩이 시위가 잠잠해지기를 기다린 후 시위 지도자들을 체포하고 이 도시를 천천히 다시 정돈해나가는 시나리오가 가장 유력"하다고 말했다.

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판공실의 양광(사진) 대변인은 29일 기자회견에서 “홍콩 시위가 일국양제 원칙의 마지노선을 건드렸다”며 엄정 대처 방침을 밝혔다. /사진=로이터중국 국무원 홍콩·마카오판공실의 양광(사진) 대변인은 29일 기자회견에서 “홍콩 시위가 일국양제 원칙의 마지노선을 건드렸다”며 엄정 대처 방침을 밝혔다. /사진=로이터
중국은 홍콩에 군대를 투입할 수 있다는 강경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만 실제 군 투입 가능성은 아직 낮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블랜드 이사는 "중국 정부가 홍콩에 계엄령을 행사할 수는 있지만 그것은 '일국양제(一國兩制· 한 국가 두 체제)' 원칙의 끝"이라며 "이는 영국과의 조약을 깨는 일"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화롱(华融)증권의 잭슨 웡 자산운용부장은 "중국 정부가 중국 인민해방군을 홍콩으로 보내 상황 안정을 도모한다면 시장에 크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홍콩이 자율적이라는 믿음이 크게 깨져 투자자들이 대거 빠져나가면 이에 따른 국제적 반발을 중국 정부가 감당하기 어려울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당국이 시위대의 요구를 받아들일 가능성도 아직까지는 낮은 것으로 보인다. 홍콩 시위대는 △송환법 완전 폐기 △경찰의 과잉진압 규명을 위한 독립위원회 설치 △6월12일 시위의 '폭동' 규정 철폐 △체포 인사 석방 △홍콩 행정수반과 입법회에 대한 직선제 선거 실시 등을 요구하고 있다. 그러나 블랜드 이사는 "중국이나 홍콩 정부가 이번 사태를 촉발한 '범죄인 인도법'의 폐기를 넘어 의미 있는 양보를 할 의사는 없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동아시아 전문가인 미 인디애나주 노트르담대학교의 신 킹 교수는 "캐리 람 행정장관의 사임은 중국 정부가 패배를 인정하는 꼴"이라며 "그것은 완전한 민주주의의 모습으로, 중국이 베이징이나 상하이 등 다른 도시들에 안좋은 선례를 남기고 싶어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홍콩 시위대가 지하철 열차 문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 사이에 서서 열차가 떠날 수 없도록 하는 등 철도 운행을 막으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홍콩 시위대가 지하철 열차 문과 승강장 스크린 도어 사이에 서서 열차가 떠날 수 없도록 하는 등 철도 운행을 막으며 농성을 벌이고 있다. /사진=로이터
당국과 시위대 모두 한치도 물러서지 않는 강경한 모습을 보이면서 현 사태가 장기화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시위대의 요구를 받아들이기도, 국제적 반발에 부딪힐 것을 우려해 강경 진압을 하기도 어려운 중국 당국이 앞으로 홍콩 시위 상황을 가만히 주시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는 것.

한편 홍콩 시위대가 주말에 이어 평일로도 시위를 확대하면서 양측의 대립은 더욱 격화하고 있다. 학생 중심이던 시위는 회사원들과 정부 소속 공무원들로까지 번졌다. 시위대는 지하철역과 공항, 도로 등 주요 교통수단을 점거해 농성을 벌이고 있다. 다음달 5일에는 금융과 정보통신(IT) 등 여러 업종에서 대규모 파업이 예정돼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