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기업+연구시설 준비된 경북…"폐배터리서 미래를 캔다"

머니투데이 포항(경북)=고석용 기자, 구경민 기자 2019.07.23 04:40
글자크기

[닻 올린 지역혁신요람 '규제자유특구']④경북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2차전지 소재산업 허브 도약"

핵심기업+연구시설 준비된 경북…"폐배터리서 미래를 캔다"


전기차 판매가 늘어나면서 사용 후 배터리(2차전지) 재사용·재활용 등 리사이클링 산업이 떠오르고 있다. 전기차에 사용하는 고출력·고용량 배터리는 성능이 나빠져도 ESS(에너지저장장치) 등 저사양 배터리로 재사용하거나 핵심소재인 리튬·코발트 등을 추출해 새 배터리 제조에 활용할 수 있어서다.

실제로 해외에서는 관련 산업 육성이 한창이다. 일본의 닛산자동차는 배터리 리사이클링으로 탄생한 ESS를 출시했고, 테슬라도 리사이클링 시스템을 갖춘 공장 ‘기가팩토리’를 운영 중이다. 미국, 유럽, 중국 등은 국가 차원에서도 전기차 업체들의 배터리 리사이클링 연구·개발(R&D) 등에 지원을 아끼지 않는 모습이다.



국내는 아직까지 안전성 등의 이유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이 금지돼있다. 하지만 사단법인 한국자동차순환협회는 2024년이면 우리나라 전기차에서 나오는 사용 후 배터리도 연간 1만대를 돌파해 2040년 누적 576만대를 기록할 것으로 추산한다. 신산업 육성기회를 놓쳐서는 안될 뿐 아니라 넘쳐나는 사용 후 배터리의 처리방법도 고민해야 한다는 의미다.

경상북도는 이 같은 신산업 육성을 위해 중소벤처기업부에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규제자유특구 지정을 요청했다. 포항시 영일만산업단지와 블루밸리산업단지의 2차전지 핵심소재 제조업체들과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생태계와 안전기준을 만들어 경북 남부지역을 국내 2차전지 소재산업의 허브로 만든다는 구상이다.



◇“미래먹거리 배터리 리사이클링…생태계 마련 시급”=경북도의 핵심 요청사항은 기술·시설을 갖춘 특구사업자에게 전기차 사용 후 배터리 분해·매각 등을 허용하고 재사용·재활용 등 리사이클링 사업을 가능하도록 하자는 것이다. 해당 산업이 시장 가능성이 높을 뿐 아니라 국내 2차전지 산업생태계에도 꼭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배터리 리사이클링 사업은 대기환경보전법과 전기차 배터리 반납에 관한 고시 등에 의해 ‘적합한 자격을 갖춘 전문기관이나 업체’만 할 수 있다. 전기차 배터리는 발화점이 낮고 충격에도 취약해 폭발·화재 위험성이 높고 처리 과정에서 소재를 제대로 관리하지 못할 경우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할 수 있어서다. 정부는 정확한 검증을 위해 배터리 리사이클링 가이드라인과 세부 안전규정을 마련하지 않고 국내 업체들의 진입을 막아왔다.

경북도는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도내에서 먼저 산업 가이드라인을 만들겠다는 계획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급증하는 전기차의 사용 후 배터리 재사용·재활용을 논의할 때가 됐다”며 “선제적으로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을 육성하지 않을 경우 해외 업체들에 미래먹거리를 다 빼앗길 수 있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전 세계 배터리 리사이클링 시장 규모가 2050년까지 600조원으로 급성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자원안보 관점에서 생각할 필요가 있다고도 강조했다. 현재 2차전지 제조업체들은 원가의 36%를 차지하는 리튬, 코발트 등 소재를 전량 수입에 의존한다. 이 관계자는 “리사이클링 산업 발전이 더뎌 사용 후 배터리를 해외에 매각할 경우 소재 국산화의 기회를 또 놓치게 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국산화 시기를 놓쳐 경제보복 도구로 사용된 불화수소의 전철을 밟을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핵심기업·연구시설까지…경북에 다 있다”=경북도는 포항이 배터리 리사이클링 산업을 실증해나가기에 가장 적합한 환경이라고 강조했다. 국내 주요 2차전지 핵심소재 제조업체들과 포스텍2차전지연구소, 포항가속기연구소 등 연구시설들이 모여있기 때문이다.

경북도 관계자는 “포항에는 2차전지 핵심소재인 양극재 및 전구체와 음극재를 제조하는 전문업체들이 모여있다”며 “에코프로GEM과 성호기업, 피플웍스, SI셀, GS건설, 경북테크노파크 등 7개사가 특구사업자로, 인선모터스, 포스텍 나노융합기술원 등 12개사가 협력사업자로 참여한다”고 말했다.

경북도는 포항, 구미를 중심으로 2차전지소재 허브가 조성된다면 차로 한 시간 떨어진 울산광역시 LG화학, 삼성SDI, SK이노베이션 등 2차전지 제조기업과도 시너지를 낼 것으로 기대했다. 이 관계자는 “차세대 배터리 리사이클링 특구로 적어도 1000여명의 고용창출, 20% 이상의 2차전지소재 수입대체효과 등을 낼 것으로 전망한다”면서도 “대한민국 신사업의 시작점인 만큼 운영하기에 따라 기대 이상의 시너지 효과를 불러올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핵심기업+연구시설 준비된 경북…"폐배터리서 미래를 캔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