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소 국제표준, 2030년까지 15건 제안.. '4대 선도국' 도약

머니투데이 세종=권혜민 기자, 유영호 기자 2019.04.03 09:00
글자크기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 로드맵 발표… 수소거래 시장 활성화 위해 충전 계량기 표준화 등 추진

수소 국제표준, 2030년까지 15건 제안.. '4대 선도국' 도약


정부가 다가올 수소경제 시대를 주도하고 기술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국제표준 선점 경쟁에 뛰어든다. 2030년까지 수소충전소, 차세대 연료전지 등 15건 이상의 국제표준을 제안해 미국, 일본, 독일에 이은 4대 수소기술 국제표준 선도국가로 자리매김할 계획이다.

그간 20%에 달하는 측정 오차 문제로 수소 거래 시장 활성화의 걸림돌로 지목돼 왔던 수소충전기 계량기에 대해서도 표준화를 추진하기로 했다. (☞2월26일 '규제 샌드박스' 넘은 수소충전소, 충전기에 발목? 참고)



산업통상자원부 국가기술표준원은 3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경제활력대책회의에서 이같은 내용의 '수소경제 표준화 전략로드맵'을 발표했다.

이번 계획은 지난 1월 발표된 정부의 '수소경제 활성화 로드맵'을 뒷받침하기 위해 마련됐다. 수소 산업생태계를 만들고 글로벌 시장에서 앞서 나가기 위해서는 표준화의 중요성이 크다는 판단에서다.



아직 수소산업은 시장형성 초기단계에 있다. 보급 확산을 위해선 수소 관련 제품·서비스의 성능과 안전성을 확인할 수 있는 표준·인증 제도 마련이 필수적이다. 특히 우리의 기술을 국제표준에 반영할 경우 글로벌 시장을 선점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 수소 분야 개발된 국제표준 37종 중 한국이 등록한 건은 없다. 이동형 연료전지인 '마이크로 연료전지' 표준 1건을 제안한 게 전부다. 국가표준인 KS인증도 19종이 제정돼 있을 뿐이다.

이에 정부는 이번 로드맵에서 2022년까지 5종, 2030년까지 총 15종 이상의 수소 선도기술을 국제표준으로 제안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이 기간까지 국제표준은 약 60건 이상이 개발될 것으로 전망되는데, 총 20% 이상을 우리 기술로 채우겠다는 계획이다.


구체적으로 모빌리티 분야에서는 드론이나 선박, 굴삭기 등 건설기계용 연료전지의 성능·안전과 관련된 표준 8건 이상을 제안할 예정이다. 수소 승용차나 상용차 분야는 이미 자동차 업계를 중심으로 국제표준 마련이 완료되거나 진행 중인 점을 고려했다.

에너지 분야에서는 발전용 차세대 연료전지 등에 대한 표준 4건, 수소공급 분야에서는 재생전력 연계 수전해 기술 표준 등 3건 이상을 제안하기로 했다.



국가표준 마련에도 나선다. 우선 2021년까지 국제표준 37종 중 국가표준이 아닌 18종을 KS표준으로 제정하고, 2022년까지 국제표준 등록이 진행 중인 17종도 KS로 채택해 제품 국산화를 유도할 계획이다. 현재 제정된 19종을 포함해 총 54종에 KS표준이 도입되게 된다.

이에 더해 제품 보급 촉진을 위해 충전소 부품, 가정·산업용 연료전지 제품 등을 중심으로 KS인증을 시행한다. 올해 하반기 고체산화물방식(SOFC) 가정· 건물용 연료전지를 시작으로 2022년까지 13개, 2030년까지 총 30개 품목에 KS인증을 도입하는 게 목표다.

수소충전기의 계량기 표준화도 추진하기로 했다. 수소 거래 시장 활성화를 위해서는 수소가스가 충전되는 양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게 중요하다. 수소가스가 얼마나 주입되는지를 알아야 요금에 맞는 양의 수소를 판매할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고압의 수소가스가 고속으로 충전되는 특성상 정밀한 측정이 쉽지 않다. 현재 유량계의 오차는 최대 20%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정부는 안전 인증역량강화사업을 통해 수소충전기 계량기의 오차 평가기술을 확보하고 충전량의 정확성을 끌어올리기로 했다. 또 2025년까지 수소 충전기를 법정계량기로 지정해 거래의 신뢰성을 높이기로 했다.

이상훈 국표원 표준정책국장은 "정확한 계량 측정이 가능해야 거래량이 성립하는 만큼 현장에서 계량 오차에 대한 문제제기가 있었다"며 "수소충전기 계량기의 오차 평가기술 확보를 가장 시급하게 서둘러서 추진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아울러 국표원은 수소 관련 국가 연구개발(R&D) 사업의 결과물이 국제표준으로 등록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 20개 이상의 과제를 지원하는 게 목표다.



또 중소·중견기업 전문가의 국제회의 참가를 지원하고 오는 6월 수소국제표준포럼, 내년 수소기술(ISO) 총회를 개최하는 등 표준 채택을 위한 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번 로드맵을 통해 2030년 미국, 일본, 독일에 이은 수소기술 국제표준 경쟁력 4위 선도국가로 도약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승우 국표원장은 "시장형성 초기인 수소산업에서 우리가 강점을 가진 기술들을 국제표준으로 반영해 세계시장 선점 기회를 갖고, 안전성이 보증된 인증 제품·서비스를 확산해 국민이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