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 인력부족·환자 '배변 도움'까지 로봇으로 해결한다

머니투데이 세종=최우영 기자, 권혜민 기자 2019.03.22 11:30
글자크기

산업부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중소기업 제조로봇·서비스로봇·로봇생태계 조성 집중

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 /사진=이정혁 기자삼성전자의 '웨어러블 보행 보조 로봇'. /사진=이정혁 기자


정부가 인력이 부족하고 생산성 향상이 시급한 뿌리산업·섬유산업 등 전통 제조업에 로봇을 집중보급한다. 돌봄, 의료 등 분야의 서비스로봇 확산을 위해 3000억원의 R&D 예산을 투입한다. 이를 통해 2023년 연매출 1000억원이 넘는 스타 로봇기업 20곳을 만든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2일 대구 달성 현대로보틱스에서 문재인 대통령과 로봇산업 산·학·연 관계자 30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로봇산업을 4차 산업혁명 시대 핵심산업으로 육성하기 위한 '로봇산업 육성전략 보고회'를 열었다고 밝혔다,



보고회에서 산업부는 중앙정부 차원의 '로봇산업 발전방안'을, 대구시는 '로봇산업 선도도시 추진방안'을 각각 발표했다. 산업부는 로봇산업 글로벌 4대 강국 달성을 위해 △3대 제조업 중심 제조로봇 확대 보급 △4대 서비스로봇 분야 집중 육성 △로봇산업 생태계 강화 등 3대 정책과제를 중점 추진하기로 했다.

국내 제조업 종사자 1만명당 로봇활용대수(로봇밀도)는 710대로 세계 평균 85대를 크게 웃돌 정도로 제조로봇 활용도가 높지만, 제조로봇 산업은 전자전기, 자동차 분야에 치우쳤다.



이에 산업부는 뿌리, 섬유, 식·음료처럼 근로환경이 열악하고 인력이 부족한 분야의 저조한 로봇 활용을 높이기 위해 로봇을 집중 보급하기로 했다. 로봇과 스마트공장을 접목해 전통 제조업을 되살리는 동력으로 활용한다.

우선 제조로봇 보급 사업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표준 활용모델 개발, 활용인력 교육을 함께 지원한다. 뿌리, 섬유, 식·음료 등 1080개사에 정부가 50% 비용을 부담하는 방식으로 제조로봇 7560대를 우선 보급한다. 이를 계기로 민간이 자율적으로 큰 부담 없이 로봇을 활용할 수 있도록 렌탈, 리스 서비스도 도입한다. 지난해 32만대인 로봇 보급을 2023년 70만대까지 끌어올린다는 계획이다.

아직 시장초기 단계인 서비스로봇은 앞으로 급성장이 예상돼 돌봄, 의료, 물류, 웨어러블 등 4대 유망 서비스로봇 분야를 적극 육성하기로 했다. 특히 의료 서비스로봇은 환자들이 수치심을 느끼는 간병인의 '배변 도움' 등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총 3000억원 규모 R&D(연구개발) 사업을 추진한다. 또한 돌봄로봇을 10개 지자체와 협력해 중증 장애인 등 사회적 약자를 대상으로 5000대를 보급하는 등 4대 서비스로봇 총 1만대를 보급할 계획이다.

아울러 서비스로봇 확산에 걸림돌이 되는 규제를 발굴, 개선하기 위해 올해 상반기 중 한국로봇산업진흥원에 '로봇 규제 샌드박스 지원센터'를 설치·운영한다.

로봇산업을 떠받치는 건강한 생태계를 만들기 위해 로봇제조사와 수요기업을 연결하는 로봇 분야 시스템통합 전문기업(SI)을 육성한다. 미국, 일본 등에 의존하고 있는 로봇 핵심 부품과 소프트웨어의 자립화도 추진한다.

이를 위해 2020년부터 7년간 약 1000억원을 투자해 차세대로봇에 필요한 지능형 제어기, 자율주행 센서, 스마트 그리퍼 등 3대 핵심부품과 영상정보 처리, 잡는 기술, 로봇소프트웨어 플랫폼, 인간로봇 교감 등 4대 소프트웨어 기술을 확보하기로 했다.

정부는 이를 통해 2023년까지 연매출 1000억원이 넘는 스타 로봇기업을 6→20개로 늘리고 로봇 산업을 6조→15조원 규모로 발전시키겠다는 목표다.

성윤모 산업부 장관은 "최근 인공지능, 5G통신 같은 새로운 기술이 로봇에 접목되면서 로봇이 더욱 지능화 되고, 제조업 현장은 물론 우리의 일상생활 곳곳에서 널리 활용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조로봇 시장을 확대하고 뿌리, 섬유, 식·음료 등 수요산업의 구조를 고도화하는 한편, 향후 고성장이 예상되는 서비스로봇 산업도 경쟁력을 강화해 로봇산업 4대 강국으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이 기사의 관련기사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