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스마트공장 3만개 구축…"中企 제조강국 도약"

머니투데이 이원광 기자 2018.12.13 11:20
글자크기

중기부, 13일 '中企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10만 스마트공장 전문인력' 양성

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왼쪽). /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홍종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왼쪽). / 사진제공=중소벤처기업부


정부가 2022년까지 전국 3만개의 스마트공장 구축과 전문인력 10만명 양성에 나선다. 스마트공장을 통해 제조 중소기업의 생산성과 혁신 동력을 끌어올리고 '중소기업 제조강국'으로 도약한다는 목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산업통상자원부 등 9개 부처는 13일 오전 경남도청에서 '중소기업 스마트 제조혁신 전략 보고회'를 열고 이 같은 내용의 혁신전략을 발표했다. 중기부가 목표치로 내세운 스마트공장 3만개는 지난 3월 발표한 '스마트공장 확산 및 고도화 전략' 대비 1만개 증가한 규모다.



중기부는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정책의 성과를 고려해 이같이 결정했다고 설명했다. 중기부는 현재까지 전국 중소기업 7800여곳에 스마트공장 구축을 지원했다. 이들 기업은 스마트공장 구축 전과 비교해 △생산성 30%↑ △불량률 43.5%↓ △원가 15.9%↓ △평균 2.2명 추가고용 등의 효과를 보였다.

이에 중기부는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구축을 희망하는 제조 중소기업을 모두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통계청에 따르면 2016년 기준 10인 이상 제조 중소기업은 6만7000여곳으로 이중 48%에 달하는 3만2000개곳이 스마트공장 구축 의사를 밝혔다.



구축 지원 모델도 다양화한다. 통상 정부와 중소기업이 구축 비용을 5대 5로 나누던 방식에서 △정부, 지방자치단체, 중소기업이 각각 4대 2대 4로 부담하는 '지자체 참여형 모델' △정부와 대기업이 5대 5로 부담하는 '후불형 모델'을 도입한다. 후불형 모델은 중소기업의 스마트공장 운영으로 얻은 수익금 일부를 대기업이 돌려받는 방식이다.

정부, 대기업, 중소기업이 3대 3대 4로 나누는 '상생형 모델'도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내년부터 동반성장지수 평가항목에 이같은 스마트공장 지원실적을 반영해 대기업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한다는 것. 지난 4월 상생형 모델 도입 후 삼성전자, 삼성디스플레이, 현대자동차, 포스코 등 대기업 4곳이 120억6000만원을 출연한 상황이다.

또 산업은행과 기업은행, 중소기업진흥공단과 함께 스마트공장 설비 투자자금으로 2조원을 지원한다. 모태펀드 출자와 민간자금 유치를 통해 3년간 3000억원의 펀드를 조성하고 벤처투자사를 거쳐 스마트공장 공급‧구축 기업에 투자한다.


원활한 스마트공장 운영을 위한 '스마트 제조인력 10만명 양성 목표'도 밝혔다. 2022년까지 '스마트공장 배움터' 확대와 현장지도, 직무교육 등을 통해 기존 재직자 6만명을 스마트 인력으로 전환한다는 계획이다. 또 직업계고와 대학에서 4만명의 신규 인력도 양성하는 한편 대기업에서 퇴직한 스마트공장 운영 전문가를 중소기업에 파견하는 '스마트 마이스터' 사업도 진행한다.

홍종학 중기부 장관은 "스마트공장 사업은 문재인 대통령의 특별 관심 사안"이라며 "'스마트 제조혁신'이라는 거대한 비전을 가지고 추진하는 사업"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제조 혁신을 이루면 중소기업 뿐 아니라 이들을 협력사로 둔 대기업의 경쟁력도 동반 상승한다"며 "한국이 글로벌 제조산업에서 핵심적인 선도국가로 나설 수 있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