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보세]치킨배달 유료화 논란, 가맹본부가 나서야

머니투데이 조성훈 기자 2018.05.09 04:40
글자크기
교촌치킨이 지난 1일부터 주문 한 건당 배달료로 2000원을 받기로 함에 따라 치킨업계의 배달 유료화에 대한 논쟁이 뜨겁다.

일부 소비자들은 "꼼수인상"이라거나 "프랜차이즈 업체들이 폭리를 취하니 사먹지 말아야 한다"는 식의 비판을 제기한다. 반면 "최저임금이 오르는 상황에서 배달료 부과는 불가피한 수순"이라는 현실론도 적지않다.

소비자들 입장에서는 사실상 가격인상과 같은 배달 유료화가 달갑지 않을 것이다. 그러나 최저임금 인상과 임대료 상승으로 치킨집들의 원가 부담이 누적된 현실을 감안해야 한다. 실제 일부 가맹점은 존폐의 기로에 서 있다. 패스트푸드나 외식, 식품업계 대부분이 올들어 대대적인 가격 인상에 나섰지만 국민간식인 치킨만 그 대열에서 빠졌다. 지난해 한차례 인상을 시도했으나 정부가 급격한 물가 상승을 우려해 제동을 걸었기 때문이다. 정부 눈치를 보다 보니 정상적인 가격인상 대신 배달료 부과라는 '우회로'를 택했다.



속사정을 들여다 보면 배달료 부과가 마냥 비판받을 일도 아니다.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점은 대부분 직장에서 퇴직한 부부가 차리는 경우가 많다. 오픈 비용도 평균 5000만원 안팎으로 영세한, 생계형 창업이다. 수익도 쥐꼬리다. 통상 치킨 한마리를 팔고 손에 쥐는 돈은 3000~4000원 정도다. 그마저도 배달대행업체를 사용하면 건당 3000원씩 수수료가 나간다. 치킨 한마리 팔아서 남는 게 거의 없는 셈이다. 배달 수수료를 한 푼이라도 아끼기 위해 점주나 자녀들이 치킨을 직접 배달한다. 이 때문에 배달 유료화에 동의하는 소비자들도 점점 늘고 있다.

배달 유료화 논란이 가중된 것은 치킨 프랜차이즈 가맹본부의 모호한 태도와 무관치 않다. 교촌을 제외한 주요 치킨 프랜차이즈들은 "배달 유료화를 아직 결정하지 않았다"는 입장만 되풀이한다. 시장 반응을 보는 것이다.



이런 가운데 원가부담을 이기지 못해 개별적으로 배달료를 받는 가맹점들이 늘고 있다. 비공식적으로 배달료를 받는 가맹점이 증가하면서 소비자들의 혼선만 커지는 것이다. 가맹점이나 브랜드별로 배달료도 둘쑥날쑥이다.

프랜차이즈의 핵심은 어느 가맹점에서나 동일한 서비스를 받는 것이다. 배달료 문제도 다르지 않다. 회피한다고 해결될 사안이 아니다. 배달료 부과가 불가피하면 가맹본부가 나서 당당히 소비자를 설득하고 공론화해 혼선을 정리해야 한다. 소비자들 역시 '배달=공짜'라는 뿌리박힌 인식에서 벗어나야 한다.
조성훈 산업2부 차장조성훈 산업2부 차장




TOP